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불완전한 주체의 윤리적 말하기 –김명순 소설의 근대여성주체를 중심으로

Ethical Discourse of an Incomplete Subject : Focusing on the Modern Female Subjectivity in Kim Myung-Soon’s Novel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3, v.0 no.59, pp.97-127
https://doi.org/10.15686/fkl.2023..59.97
이수진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김명순의 소설에 나타난 근대여성주체의 여성문학사적 의의를 주디스버틀러(J. B utler)의 윤리적 주체 이론을 통해 설명하고, 그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버틀러는 ‘추상적 보편성’의 폭력을 밝히고 ‘취약한 단수’로서 불완전한 주체가 ‘말걸기’를 통해 책임을 다해야 함을 주장한다. 김명순 소설 속 근대여성주체들은 근대의 규범 폭력에 의해 타자화를 경험하고 유무형의 폭력을 겪은 이들이다. 폭력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신체가 돌출되는 경험을 하고, 때로는 자신의출현 조건을 정당화하기 위한 노력에 끊임없이 실패하면서 그들은 자신 안의 타자성을 마주한다. 이렇게 타자성을 마주한 근대여성주체들은 ‘수동성’, ‘민감성’, ‘반응성’을 숨기지 않고 내비친다. 이는 분열하는 주체의 모습으로 편지를 쓰거나(「칠면조」), ‘타자의존성’을 자각하고 다른 여성들과의 연대 가능성을 인식하거나(「돌아다볼 때」), 문학을 통해 타율적 관계성을 조망하고 주체를 새롭게 구성해나가는(「탄실이와 주영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실천된다. 이와 같은 불완전한 주체로서 근대여성주체가 실천하는 윤리적 말하기는 문학사의 배제된 주체를다시 들여다봐야 할 이유를 드러내고 있다.

keywords
Kim Myung-soon, Butler, passivity, vulnerability, imperfect subject, ethical subject, 김명순, 버틀러, 수동성, 취약성, 불완전한 주체, 윤리적 주체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modern female subjectivity portrayed in the novels of Kim Myung-soon through Judith Butler’s theory of ethical subjectivity and to highlight its value. Butler argues that the violence of ‘abstract universality’ should be exposed, and an imperfect subject as a ‘vulnerable singularity’ must assume responsibility through ‘giving an account of oneself’. The modern female subjects in Kim Myung-soon’s novels experience objectification through the normative violence of modernity and undergo various forms of tangible and intangible violence. They encounter experiences where their own and others’ bodies are projected through violence, and they constantly fail in their efforts to justify their conditions of emergence, thus confronting alterity within themselves. In confronting alterity, these modern female subjects do not conceal their ‘passivity,’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but rather express them openly. This takes the form of writing letters (Turkey(Chilmyeonjo)), being aware of their dependency on others and recognizing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other women (‘Looking Back’), or contemplating relationality through literature and reconfiguring the subject (‘Tansil and Joo Young’). The ethical discourses enacted by modern female subjects as imperfect subjects reveal the necessity to revisit the excluded subject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keywords
Kim Myung-soon, Butler, passivity, vulnerability, imperfect subject, ethical subject, 김명순, 버틀러, 수동성, 취약성, 불완전한 주체, 윤리적 주체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