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포스트모더니즘과 계획의 미래: 합의와 탈주 사이의 왕복

Postmodernism and Future of Planning: Back-and-forth motion of consensus and flight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06, v.0 no.26, pp.9-44
이상헌 (한국환경자원공사 국제정책연구센터)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글은 근대적 계획이론에 대한 비판의 자원으로서 근대적 합리성에 대한 포스 트모더니즘의 도전을 고찰하고, 고찰결과를 토대로 근대적 계획이론의 발전 방향 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근대적 사유 방식을 가능하게 했던 것은 근대 적 주체, 즉 사고하는 주체의 발견인데,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이 주체가 지식이 나 권력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지식이나 권력에 의해 주체가 오히려 형성된다고 주장함으로써 근대적 사유의 근간을 흔든다. 한편, 근대적 주체철학에 대한 비판 을 다른 식으로 수행하는 모더니스트들은 모더니즘의 진화를 통해 주체철학을 지 양하고자 하였다. 이런 주장을 가장 명확하게 드러낸 것이 하버마스의 형식적 화 용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언어적 의사소통 패러다임은 항상 세계 속의 그 무엇 에 대해 타자와 이해 도달에 이른다는 이중구조를 가짐으로써 주체가 담론을 통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하버마스의 형식적 화용론은 무의 식, 욕망의 문제를 포괄하기 어려운 약점을 갖는다. 이러한 지점에서 푸코의 지식- 권력 논의와 들뢰즈, 가타리의 탈주 개념은 상보적 역할을 갖는다. 우선 푸코는 권력행사를 가능한 행위들의 장을 구조화하는 방식이라고 정의를 내리는데, 이 권 력행사의 장이 바로 배치(disposition)이다. 근대적 국가는 통치와 치안이라고 하는 배치를 통해 권력을 행사하는데, 국가권력은 개인의 의지를 반영하고 대의하는 것 이 아니라 개인들이 국가권력의 의지를 대행하고 실행한다. 그런데 권력, 즉 억압 과 규율이 필요하다는 것은 뭔가 권력 이전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권력에 앞선 욕망, 그리고 욕망에 의한 탈주의 힘에 주목하게 된다. 들뢰즈와 가타 리에 의하면 욕망은 역사적이다. 즉, 특정한 역사적 조건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하 는 특정한 욕망 혹은 특정한 욕망의 배치만이 존재한다. 이때 주체는 특정한 배치 에서 형성된 욕망의 담지자가 되는데, 이것을 영토화된다고 한다. 모든 배치는 욕 망의 흐름을 영토화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되는 동시에 탈(재)영토화된다. 탈(재) 영토화는 배치 속에서 다른 방식을 구상하고 욕망하는 것을 의미하며, 권력의 지 대를 횡단하면서 끊임없이 생성한다는 점에서 유목(nomad)라고 불린다. 그러므로 공공계획이 국가적 권력/욕망의 배치라면, 계획행위는 이 배치의 재생산과 창조 사이의 긴장 가운데, 즉, ‘합의’와 ‘탈주’ 사이의 왕복운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 개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keywords
Modern planning, subject, power, disposition, flight, 근대적 계획, 주체, 권력, 배치, 탈주

참고문헌

1.

김현, (1989) 미셸푸코의 문학비평, 문학과지성사

2.

드레피스, (1989) 미셸 푸코: 구조주의와 해석학을 넘어서, 나남

3.

들뢰즈, 질, (1993) 대담: 1972~1990, 솔

4.

권영숙, (1995) 들뢰즈의 푸코, 새길

5.

라이히, 빌헬름, (2006) 파시즘의 대중심리, 그린비

6.

라캉, 자크, (1994) 욕망이론, 문예출판사

7.

리요타르, 장 프랑수아, (1992) 포스트모던의 조건, 민음사

8.

박영도, (1994) 현대 사회이론에서의 비판 패러다임의 구조변동 ― Kant, Hegel/Marx/Habermas를 중심으로,

9.

보그, 로널드, (1995) 들뢰즈와 가타리, 새길

10.

보드리야르, 장, (1992) 기호의 정치경제학 비판, 문학과지성사

11.

하태환, (1992) 시뮬라시옹: 포스트모던 사회문화론, 민음사

12.

블라이허, 조셉, (1987) 현대 해석학, 한마당

13.

이정우, (1998) 시뮬라크르의 시대-들뢰즈와 사건의 철학, 거름

14.

이진경, (2003) 철학의 외부, 그린비

15.

장욱, (1992) 계획이론에의 접근(I): 합리적 계획모형의 해체, 환경논총

16.

칼리니스쿠, 마테이, (1993)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모더니티/아방가르드/데카당스/키치/포스트모더니즘, 시각과 언어

17.

캘리니코스, 알렉스, (1994)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도서출판 성림

18.

푸코, 미셸, (1987) 말과 사물, 민음사

19.

이규현, (1990) 성의역사 I, 나남출판사

20.

문경자, (1990) 성의역사 II, 나남출판사

21.

이혜숙, (1990) 성의역사 III, 나남출판사

22.

박홍규, (1991) 감시와 처벌, 나남출판사

23.

이규현, (2003) 광기의 역사, 나남출판사

24.

하버마스, 위르겐, (1997) 도덕의식과 소통적 행위, 나남출판사

25.

하비, 데이비드, (1994)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26.

Alexander, E. R, (2001) The planner-prince: interdependence, rationalities and post communicative practice, Planning Theory and Practice

27.

Arendt, H, (1961) Between Past and Future, London: Faber

28.

Beauregard, R, (1989) Between Modernity and Postmodernity: The Ambiguous Position of U.S. Planning(Readings in Planning Theory), Blackwell Publishers

29.

Campbell, S, (1996) Readings in Planning Theory, Blackwell Publishers

30.

Chaitin, G. D, (1996) Rhetoric and Culture in Laca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Davidoff, P, (1965) Advocacy and Pluralism in Planning,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2.

Deleuze, G, Anti-Oedipus: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3.

Massumi, B, (1987) A Thousand Plateaus;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Ⅱ, Univ. of Minnesota Press

34.

Etzioni, A, (1968) The Active Society: A Theory of Social and Political Processes, New York: Free Press

35.

Fainstein, S, (2000) New Directions in Planning Theory, Urban Affairs Review

36.

Faludi, A, (1973) Planning Theory, London: Pergamon Press

37.

Foucault, M, (1992) Governmentality (The Foucault Effect: Studies in Govenrmental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8.

Friedman, J, (1973) Retracking America: A Theory of Transactive Planning, New York: Anchor Books

39.

Giddens, A,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40.

Gunder, M, (2003) Passionate planning for the other's desire: an agonistic response to the dark side of planning, Progress in Planning

41.

Habermas, J, (1976) Was heißt Universalpragmatik (Vorstudien und Ergänzungen zur Theories des kommunikativen Handels), Suhrkamp

42.

(1984)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London: Heinemann Educational

43.

Lawrence, F, (1987)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f Modernity: Twelve Lectures, Cambridge: Polity Press

44.

Harrison, P, (2001) Romance and Tragedy in (Post) Modern Planning: A Pragmatist's Perspective, International Planning Studies

45.

Healey, P, (1996) The communicative turn in planning theory and its implications for spatial strategic formation, Environment and Planning: B

46.

(1997) Collaborative Planning: Shaping Places in Fragmented Societies, London;Macmillan

47.

Lindblom, C, (1959) The Science of ‘Muddling Through’, Public Administrative Review

48.

Lyortard, J. F, (1985) Defining the Postmodern, ICA Documents

49.

Wittgenstein, L, (1978)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asil Blackwell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