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지역특성별 학교 간 교육환경의 격차

The differentiation of education environment by Region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07, v.0 no.27, pp.150-171
최은영 (통계개발원)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공립 초등학교의 학교 간 교육환경의 차를 학교에 대한 접근성과 교육의 과정 측면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지역에 따라 학교 간 교육환경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 공교육 서비스의 사회적 형평성이라는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 지역의 통학여건도 지역별로 차별화되어 있지만 농촌 지역의 경우 폐교로 인한 학생들의 통학여건 악화와 학습권 침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 위치해 있는 강남구 사례 초등학교에 비해 거주자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지역에 위치해 있는 광진구·청주시·보은군 사례 초등학교의 경우 공교육 서비스가 과소 공급되고 있다. 교육여건이 열악한 지역에 위치한 학교의 교육여건을 교육여건이 양호한 지역과 동일한 수준으로 개선하는 교육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elementary school, accessibility, social equity, closing of school, the differentiation of education environment, 초등학교, 폐교, 교육환경의 차별화

Abstract

The differentiation of education environment by RegionChoi, Eun YoungThis study in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aces to public elementary school and process of education. This article presents in-depth case study in four regio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or not the acesibility of schols is equitable on the basis of socioeconomic status of resident populations. Spatial inequities in aces to school were substantial and varied by region. Especially accessibility of elementary school in rural area is poor owing to closing of school. The school service which is provided in the region(Gangnam-Gu) where the residence’s social-economic status high is diferent from that of other regions(Kwangjin-Gu, Chongju-Si, Boeun-Gun)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keywords
elementary school, accessibility, social equity, closing of school, the differentiation of education environment, 초등학교, 폐교, 교육환경의 차별화

참고문헌

1.

김영철, (2003) 서울시 지역간 교육격차 해소방안 , 한국교육개발원

2.

박다미, (2005) 공교육환경을 통한 차별성 고찰 ,

3.

서태열, (1987) 서울시 고등학교의 분포와 학군에 관한 연구,

4.

우종현, (2002) 도시공공서비스 측면에서의 대구시 고등학교 분포 특성,

5.

임석회, (2003) 지방중소도시의 교육환경과 지역발전: 영천시의 사례,

6.

전일균, (2004) 'Affirmative Action'을 통해 본 교육평등의 의미 연구, 교육철학연구

7.

정부·민간 합동작업단, (2006) Vision 2030: 함께가는 희망한국 ,

8.

정철모, (2003) 농촌교육여건 활성화를 위한 도농간 교육교류 프로그램의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9.

최은영, (2004) 거주집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공교육환경의 차별화,

10.

Ides Nicaise, (2005) Equity in Educ,

11.

Kim, Geunyoung, (2001) The study for spatial changes of educational conditions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12.

Talen, E, (2001) School, Community and Spatial Equity: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access to elementary school in West Virginia,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