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도시재생방식으로서 뉴타운사업의 정책결정 과정과 정책효과에 대한 비판적 고찰

Critical Evaluation on the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and Policy Effects of the New Town Projects as Urban Regeneration methods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08, v.0 no.29, pp.176-208
변창흠 (세종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현재의 뉴타운사업이 등장하게 된 내외부적인 환경과 추진과정, 사업추진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뉴타운사업에 대한 연구는 주로 도시계획이나 부동산 정책 측면에 치중해 정책형성 배경이나 정책결정 과정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형성 과정 평가 및 정책효과 평가모형을 결합해 종합적인 분석틀과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뉴타운사업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뉴타운사업은 충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지 않은 채 정치적인 공약으로 등장해 많은 문제점을 유발했을 뿐만 아니라, 사업의 결정기준이나 이익과 비용의 분담체계도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기존의 도시재정비사업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앞으로 뉴타운사업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업의 수익성 기준이 아니라 도시의 계획과 관리 측면에서 사업대상지를 결정하고 사업의 공공성을 강화하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자체와 주민, 커뮤니티, 공사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사업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keywords
뉴타운, 도시재생, 정책평가, New Town, urban regeneration, policy evaluation

Abstract

This investigation was aimed to comprehensively evaluat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related to ‘New Town’ project, project executive proceses and results. Since most research on New Town project has been conducted in a perspective of urban planning or real estate policy, few studies on policy-building background or policy-decision-making process of ‘New Town’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The current study was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analysis framework and criteria. Moreover, the frame work and criteria acquired in the current study would be used to evaluate ‘New Town’ project.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New Town’ project resulted in a variety of prob-lems as political pledges emerged. Problems were followed as (a) New Town project was not established with plenty of institutional bases and (b) criteria of decision-mak-ing in the project or allotment system of interest/cost were not provided yet. As a result, ‘New Town’ project has not been considered as appropriate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obstacles of urban redevelopment. It would be recomended that target districts of the project should be decided not by the profitability and eficiency but by the urban planing and management. Furthermore, administrative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reinforce publicity of project. To obtain such aims of project, local government, community, public corpo-ration and residents have to involve in the model development cooperatively.

keywords
뉴타운, 도시재생, 정책평가, New Town, urban regeneration, policy evaluation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2006) 기존 도시정비사업의 광역적 개발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건설교통부

2.

김갑성, (2005) 뉴타운 관련 특별법안 평가 및 개선방향, (사)녹색연합부설녹색사회 연구소·민주노동당 서울시당 주최 서울시 뉴타운시범사업 지속가능성 및 도시재정비를 위한 촉진법?안 평가 토론회 자료집

3.

김병일, (2002) 강북개발의 추진배경과 실천계획, 주택도시

4.

김병일, (2004) 서울시 지역균형발전 추진계획, 강북 뉴타운 어떻게 할 것인가. 2004.1 도시설계학회 심포지엄

5.

김영하, (2003) 강북뉴타운 개발사업을 통한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

김종보, (2007) 도시재정비촉진을 위한 특별법의 제정경위와 법적 한계, 토지공법연구

7.

김진애, (2005) 서울시 뉴타운은 ‘도시정책’이 아니라 ‘개발사업’이 되어 버렸다, 인물과 사상

8.

남진, (2004) 기성시가지 정비방향: 주거지를 중심으로, 도시정보

9.

모창환, (2005) 한국철도산업 구조개혁의 정책결정분석 - 쓰레기통모형의 적용과 이론적 시사점, 한국정책학회보

10.

배경동, (2007) 주택공급정책이 도시계획 왜곡현상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11.

배용수, (2004) 민영화정책의 결정과정분석: Zahariadisah형의 KT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2.

변창흠, (2006) 참여정부 부동산 정책의 이념과 형성과정 분석,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13.

변창흠, (2008) 뉴타운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환경정의·참여연대 공동주최 긴급토론회 『뉴타운사업 이대로 좋은가』. 세미나 자료집. 2008.4,

14.

변창흠, (2006) 뉴타운 사업 추진방식의 재모색. SH공사·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공동주최 『뉴타운사업을 중심으로 한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현안과제 및 대응방안』 세미나 결과보고서,

15.

서울시, (2003) 뉴타운개발 및 균형발전촉진지구사업,

16.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6) 주민참여형 주거지 정비수법 개발,

17.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지역적응형 가구단위 주거지 정비방안 연구,

18.

서울특별시, (2004) 뉴타운 개발기본계획 수립 매뉴얼, 서울특별시

19.

서울특별시, (2007) 뉴타운사업에 따른 원주민 재정착률 제고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20.

양승일, (2005) 옹호연합모형(ACF)을 활용한 정책변동 분석: 그린벨트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1.

오준근, (2006) 서울시 뉴타운 개발의 법적 문제점, 토지공법연구

22.

윤인숙, (2002) 강북재개발과 도심주거기능 활성화, 주택도시

23.

윤인숙, (2004) 서울의 지역균형발전 전략으로서의 뉴타운개발사업의 한계, 지역연구

24.

이유진, (1999) NTT민영화·분리분할의 정책결정: Garbage Can 모델의 적용, 한국정치학회보

25.

이주원, (2008) 원주민 입장에서 본 장위뉴타운. 환경정의·참여연대 공동주최 긴급토론회 뉴타운사업 이대로 좋은가 세미나 자료집,

26.

장남종, (2006) 뉴타운사업의 정비촉진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SH공사·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공동주최 뉴타운사업을 중심으로 한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현안과제 및 대응방안 세미나 결과보고서,

27.

장영희, (2008) 뉴타운 사업을 걱정하는 까닭은, ≪한겨레신문≫(2008.4.30),

28.

전진석, (2003) 의약분업 정책변화에 대한 연구: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해, 한국정책학회보

29.

조성호, (2006) 정책의제 설정과정상의 정책대안의 평가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체제 개편논의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30.

하현상, (2006) 태권도공원 조성사업 부지결정 사례연구 -정책결정 과정과 주요 문제점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31.

한봉호, (2006) 뉴타운 시범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 및 개선방향. (사)녹색연합부설 녹색사회연구소 민주노동당 서울시당 주최 서울시 뉴타운시범사업 지속가능성 및 도시재정비를 위한 촉진법?안 평가 토론회 자료집 2005년 12월 7일,

32.

홍인옥, (2002) 강북지역주민을 위한 강북재개발, 주택도시

33.

Cohen, Michel, (1972) A Garbage Can Model of Organizational Choice, Administrational Science Quarterly

34.

Sabatier, P. A., (1999)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n Assessment, Westview Press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