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복합용도개발 실태 분석 및 복합용도지구 도입방안 연구

An analysis on the status of ‘Mixed-Use Development’ and a study on introduction of ‘Mixed-Use Zoning’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09, v.0 no.32, pp.138-167
김옥연 (토지주택연구원)
이주형 (한양대학교)

Abstract

본 연구는 산업구조의 변화 및 생활패턴의 변화에 따라 급변하는 도시공간구조에 대응하기 위해 복합용도지구 도입 필요성과 그 도입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복합용도지구(Special MXD district)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복합적 토지이용(Mixed Land Use)을 나타내는 제도 및 사례 중 서울시를 중심으로 준주거지역(Semi-Residential Zoning), 특별계획구역(Special Districts), 개별필지단위 복합용도개발(Mixed-Use Development)에 지정형태, 지정입지, 규모, 용 도복합, 운영현황에 대한 실태분석 및 문제점을 분석했다. 복합적 토지이용을 위한 복합용도지역(지구)(Mixed-Use Zoning)의 도입을 위해 우선 3개 대안을 제시한 후 그중 일정규모 이상의 ‘정형화’된 형태를 갖고 도심지나 준주거지역 등에 중첩적으로 지정 가능하며, 혐오시설 외에 모든 용도복합이 가능한 복합용도지구(Special MXD district) 도입을 제안했다.

keywords
Zoning, Mixed Land Use, MXD, special MXD district, 용도지역제, 복합적 토지이용, 복합용도개발, 복합용도지구

참고문헌

1.

강병기. 1997. 「도시계획법 체계속의 혼합용도지역의 개념과 규제내용의 변화에 관 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토시학회.

2.

국토연구원. 2005. 「현대 공간이론의 사상가들」. 한울아카데미.

3.

김기호·임희지. 2002. 「우리나라 도시설계에서 특별구역제도의 실태와 시행방안의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4.

김병섭·서순탁. 2008. 「구조화 이론을 통한 도심쇠퇴 분석」. ≪공간과 사회≫, 통권 제30호.

5.

김옥연·이영은. 2005. 「복합용도지역 도입을 위한 국내외 사례연구」. 주택도시연구원.

6.

박헌주. 2000. 「난개발의 문제점」. ≪공간과 사회≫, 통권 제14호.

7.

변창흠. 2008. 「도시재생방식으로서 뉴타운사업의 정책결정 과정과 정책효과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공간과 사회≫, 통권 제29호.

8.

서울특별시. 2004, 2010. 「서울특별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서울특별시.

9.

양동양. 1998. 「대형 주상복합단지 및 주상복합건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10.

오덕성. 1989. 「복합용도 complex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

11.

윤영미. 1996. 「주상복합건축의 실태와 개발방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12.

윤인숙. 1999. 「직장-주거지 불일치와 도시공간구조」. ≪공간과 사회≫, 통권 제11호.

13.

이상대. 1999. 「도심 주거기능의 쇠퇴현상과 대응방안」. ≪공간과 사회≫, 통권 제11호.

14.

이성모. 2006. 「서울시 주상복합개발의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 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논문.

15.

이희정. 2003.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실효성 개선방향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6.

임희지. 2004a.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특별계획구역제도의 유형별 공공성 증진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

17.

임희지 영표. 2004b. 「서울시 초고층주상복합 건축물의 관리방향」. 한국초고층건축포럼 제 4차 국제심포지엄 논문집.

18.

주수현. 2005. 「서울시 특별계획구역의 시기별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한국도시설계학회. 2001. 「지구단위계획」. 한국도시설계학회.

20.

황희연. 1998. 「최근 토지규제 완화정책이 지닌 오류」. ≪공간과 사회≫, 통권 제10호.

21.

Alden, J. 1997. The British Planning system and approach to planning obligation and planning gain. national Taiwan university.

22.

Atkinson, R. & Moon, G. 1994. Urban Policy in Britain: The City, The State and Market. London: macmillan.

23.

Claydon, J. & Smith B. 1997. “Negotiating Planning gains through the British develop ment control system.” Urban Studies, 34(12).

24.

DPZ. 2005. SMART CODE: Comprehensive Form-Based Planning Ordinance.

25.

John A. Dutton. 2000. New American Urbanism. SKIRA.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