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파주LCD산업집적지 형성에 관한 연구: 행위자 사이의 관계 및 역할분담을 중심으로

The Emerging Paju LCD Industry Agglomeration: The Analysis of the Role of the Major Actor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09, v.0 no.32, pp.168-208
이용숙 (고려대학교)
허인혜 (고려대학교)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에서 새롭게 출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클러스터의 가능성과 한계를 파주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산업집적지 심층 사례연구를 통해 면밀히 검토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행위자 간의 협력을 전제하는 기존 연구 풍토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세계생산네트워크론(Global Production Network: GPN)의 관점에서 행위 주체들 사이의 역동적 관계와 역할 분담에 초 점을 맞춰, 파주LCD산업집적지 형성과정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지역 내부의 주요 행위자들의 신뢰나 협력적 관계가 파주LCD산업단지 성공적 조성의 원인으로 보지 않으며, 오히려 다른 이해를 갖고 있는 지역 내생적, 외생적 행위자들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이해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전략적으로 결합한 결과로서 산업집적지가 조성될 수 있었다는 사실을 밝힌다. 본 연구는 파주LCD산 업단지 조성을 위한 전략적 결합 과정에서 주요 행위자들이 담당하는 역할을 ① 기획 제안자와 협상파트너, ② 사업실행자와 관리집행자, 그리고 ③ 법률시행령 개정자, 조정자 및 자금지원자로 개념화하면서 경기도, 파주시, 중앙정부 간의 역할 분담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필요한 자료나 정보의 수집은 크게 문헌연구, 현장 방문, 심층면접에 근거했다.

keywords
LCD, 클러스터, 세계생산네트워크(GPN), 전략적 결합, 파주, 국가정책, LCD, cluster, global production network, strategic coupling processes, Paju, state policy

참고문헌

1.

강현수·정준호. 2004. 「해외 클러스터 정책 실패유형 분석과 교훈」. 과학기술정책 , 제149권.

2.

경기개발연구원. 2005. 창조된 상식들… . 경기개발연구원; 비약코리아 공편. ≪경기도 도정백서≫. 2003, 2005, 2007.

3.

권오혁. 2004. 「혁신클러스터 구축을 통한 지역균형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 발표 논문집 .

4.

김군수·김경희. 2005. 「파주LCD클러스터 조성의 경제적 효과」. 경기개발연구원.

5.

김륜희. 2007. 「참여정부 국가균형발전전략의 제도적 특성」. ≪공간과 사회≫, 통권 제27호.

6.

디스플레이서치. 2008. 「LCD업계 2008년 7월 실적동향 보고서」.

7.

박선영·김연정. 2005. 「IT클러스터 입지 중소벤처기업 특성과 혁신성과 요인에 관한 연구-테헤란밸리와 대덕밸리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27권, 제4 호(2005.2).

8.

복득규·고유상·고정민·권오혁·김득갑·박용규·심상민. 2003. 클러스터 . 삼성경제연 구소.

9.

복득규·구본관·池田治·武山尙道. 2007. 동아시아 LCD클러스터의 네트워크 구조와 협력방안 . 삼성경제연구소(SERI)·일본총합연구소(JRI) 공동연구.

10.

산업자원부. 2005. 투자진흥과 2005년 3월 15일 보도자료.

11.

산업자원부. 2006. 반도체전기과 2006년 4월 27일 보도자료.

12.

유평준·한상일·최호진. 2006. 「지역혁신 클러스터의 학습과 혁신: 사회적 자본과 전 략적 제휴와의 관」. ≪한국행정학보≫, 제40권, 제1호(2006 봄).

13.

이상훈. 2008. 「수도권의 LCD광역클러스터 육성방안」. 경기개발연구원.

14.

이용숙. 2002. 「지역혁신체제론의 비판적 재검토. 무엇을, 누구를 위한 지역혁신체제 인가?」. ≪동향과 전망≫, 59호.

15.

이용숙. 2006.「클러스터론과 세계생산네트워크론의 비교」, ≪경제와 사회≫ 봄호(통 권 제69호).

16.

이종열·박광국·주효진. 2003. 「문화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전망과 과제」. 한국행정학 회 2003년도 한국행정학회·한국정책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3.6.

17.

정건화. 2003. 「동북아시대 참여정부 산업정책의 방향과 쟁점」. ≪동향과 전망≫, 59호.

18.

정준호. 2006. 「클러스터 현상에 대하여」. ≪공간과 사회≫, 통권 제25호.

19.

재경부. 2003. 참여정부의 수도권 공장입지 규제 완화 내역.

20.

재경부. 2006. 2006년 8월 28일 보도자료.

21.

파주시. 2008.10. 내부자료.

22.

한상일·유평준. 2008. 「혁신클러스터의 발전과 집단화전략: 원주의료기기클러스터의 사례」. ≪정부학연구≫, 제14권 제2호.

23.

홍장표. 2005. 「동남권 중소기업의 거래네트워크와 기술혁신: 신지역주의의 비판적 검토」. ≪사회경제평론≫, 제25권, 제3호, 통권 60호.

24.

홍장표. 2006. 「지역기업 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과 기술혁신: 혁신클러스터론의 비판 적 검토」. ≪사회경제평론≫, 제26호.

25.

환경관리공단. 2005.8. 배포자료.

26.

Astley, W. G. & Fombrun, C. J. 1983. “Collective Strategy: Social Ecology of Organizational Environment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8.

27.

Capello, R. 1999. “Spatial transfer of knowledge in high technology milieux: Learning versus collective learning processes.” Regional Studies, 33(4).

28.

Coe, N. M., Hess, M., Yeung, H. W., Dicken, P. & Henderson, J. 2004. “Globalizing Regional Development: a Global Production Networks Perspective.” Transactions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y, 29.

29.

Gray, M., Golob, E., Markusen, A. & Park, S. O. 1999. “New Industrial Cities? The Four Faces of Silicon Valley.” Review of Radical Political Economics, 30(4).

30.

Greiner, L. 1972. “Evolution and Revolution as Organizations Grow.” Harvard Business Review, 50: 37~46.

31.

Henderson, J., Dicken, P., Hess, M., Coe, N. & Yeung, H. W. 2002. “Global Production Networks and the Analysis of Economic Development.”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9(3).

32.

Lovering, J. 1999. “Theory led by policy: the inadequacies of the ‘New Regionalism’(illustrated from the case of W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3.

33.

Markusen, A. 1999. “Fuzzy Concepts, Scanty Evidence. Policy Distance: the Case for Region and Policy Relevance in Critical Regional Studies.” Regional Studies, 33(9).

34.

Morgan, K. 1997. “The Learning Regions: Institutions, Innovation and Regional Renewal.” Regional Studies, 31.

35.

Porter, M. E. 2000. “Location, Competi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Local Clusters in a Global Economy.”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14(1).

36.

Storper, M. 1997. The Regional World: Territorial Development in a Global Economy. The Guildford Press.

37.

Swann, G. M. P. 1998. “Towards a model of clustering in high-technology industries.” in Swann, G. M. P., Prevezer, M. & Stout, D. (eds.). The Dynamics of Industrial Cluster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8.

Yin, R. K. 1994.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second edition).” Applied Social Research Methods Series, vol.5, Sage.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