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ircular Redevelopment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1, v.21 no.2, pp.174-204

Abstract

순환정비사업을 사업단계별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사업구상단계에서는 지자체, 공공기관, 주민대표회의와의 협의체제가 구축되었고 이는 높아지는 공공부문의 참여와 균형 있는 조정자로서 역할 요구에 부합하는 것으로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 사업계획단계에서는 순환용 주택 확보로 선대책․후개발의 실현이 가능해졌으며 주민들과 많은 면접접촉을 필요로 하는 특성상 사업내용에 대한 다양하고 객관적인 정보가 제공되고 있었다. 사업시행단계에서는, 이주수요 분산으로 인해 주변지역의 부동산시장이 안정화되어 정비사업 인근 지역에 임대수요 수용이 용이하게 되었다. 또 낮은 주거비 부담으로도 입주할 수 있는 순환용 주택 공급으로 인해 정비사업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임시 거주하거나 새로운 주거지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다. 마지막으로 사업완료단계에서는 순환정비사업이 원주민 재정착률 제고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순환용 주택의 입주민들은 전반적으로 순환정비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찾아보면, 순환용 주택의 공급을 위한 공공부문의 역할 제고가 필요하며 민간부문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각종 정책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를 정착시켜야 할 것이다.

keywords
Circular Redevelopment, circular redevelopment district, temporary public housing, resettlement., 순환정비사업, 주택재개발사업, 순환용 주택, 재정착

Reference

1.

강우원. 2007. 도시재정비촉진사업에 있어서 원주민재정착을 위한 계획적 정비방안연구 . ≪부동산학연구≫, 제13집 제3호.

2.

김명섭. 2008. 주택재개발사업의 개선방안: 서울시 성북구를 중심으로 . 아주대학교석사학위논문.

3.

김흥순 정미옥 정다운. 2010.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이주 및 보상대책에 관한 연구 . ≪국토계획≫, 제45권 2호.

4.

도난영. 2002. 순환재개발방식에 의한 공공임대 선택 요인 및 주거만족도 분석-신림1구역 세입자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도난영 최막중. 2006. 순환재개발 공공임대주택 재정착 및 이주 세입가구의 특성과 주거만족도 비교분석: 서울 난곡지역 사례 . ≪국토계획≫, 제41권 5호.

6.

박재욱. 2009. 바람직한 로컬 거버넌스를 위한 단체장과 NGO 간 관계 맺기 . 강우원 외. 미래 지방 자치단체들을 위한 시장군수학. 비앤엠북스.

7.

박 필. 2010. 공익사업에따른생활보상제도의문제점및개선방안 . ≪부동산연구≫, 제20집 제1호.

8.

송영섭 조우현. 1999. 불량주택재개발사업에있어서순환재개발방식의재정착효과 . ≪국토계획≫, 제34권 2호.

9.

안내영. 2003. 순환재개발방식의 효과 분석 및 임대주택과의 연계방안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윤일성. 1997. 순환재개발을 위하여-주택개발의 문제점과 대안 .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 제12권.

11.

이상준. 2007. 성남시 기성시가지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이세규 안형순. 2009. 뉴타운 입주자의 거주 후 만족도 및 지역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은평뉴타운을 중심으로 . ≪도시행정학보≫, 제22집 제3호.

13.

이창호 서수정 배웅규. 2007. 현지개량사업 활성화를 위한 일본 노후주거지 정비수법 분석연구 . ≪국토계획≫, 제42권 제7호.

14.

임창호 조우현. 1993. 순환개발방식에 의한 불량주택정비사업의 효과 분석 . ≪국토계획≫, 28권 1호.

15.

장성근. 2007. 순환재개발의 전개특성에 관한 연구-신림1구역과 신림2-1구역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홍경구 안건혁. 2003. 서울시 재개발 임대주택 입주자의 주택서비스 규모와 편익분석연구 . ≪국토계획≫, 38권 1호.

17.

대한주택공사. 2009a. 순환정비사업 성과분석 및 확대방안 수립 연구.

18.

대한주택공사. 2009b. 순환정비사업 성과분석 내부자료.

19.

대한주택공사. 1990. 순환재개발기법 및 영구임대주택과의 연계방안 연구.

20.

서울시 주거환경개선정책 자문위원회. 2009. 서울시 주거환경개선정책 종합점검 및 보완발전방안. 주민설명회 자료.

21.

Atkinson, Rowland. 2003. “Introduction: Misunderstood Savoiur or Venegeful Wrecker? The Many Meanings and Problems of Gentrification.” Urban Studies, 40(12), pp.2343~2350.

22.

Atkinson, Rowland. 2000. “the Hidden Costs of Gentrification: Displacement in central London.” Journal of Housing and Built Environment, 15, pp.307~326.

23.

Beauregard, Robert A. 1986. “The Chaos and Complexity of Gentrification.” in Smith. N. and Williams. P. (eds). Gentrification of the City. Boston: Allen and Unwin. pp.35~55.

24.

Bourne, L. S. 1993. “the Myth and Reality of Gentrification: A Commentry on Emerging Urban Form.” Urban Studies, 30. pp.183~189.

25.

Butler, Tim and Robson, Garry. 2001. “Social Capital. Gentrification and Neighborhood Changes in London: A Comparision of Three South London Neighbourhoods.” Urban Studies, 38(12), pp.2145~2162.

26.

Cahill, Caitlin. 2006. “Negotiation Grit and Glamour: Young Women of Color and the Gentrification of the Lower East Side.” City & Society, 19(2), pp.202~231.

27.

Clark, Eric. 2005. “The Order and Simplicity of Gentrification - A Poloitical Challenge.” in Atkinson, R. and Bridge, G. (eds). Gentrification in a Global Context: the new urban colonialism, London: Routledge, pp.256~264.

28.

Freeman, Lance and Braconi, Frank. 2004. “Gentrification and Displacement: New York City in the 1990’s.”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0(1), pp.39~52.

29.

Lee, B. and Hodge, D. 1984. “Social Differentials in Metropolitan Residential Displacement. Palen, J. and London, B. (eds). Gentrification. Displacement and Neighborhood Revitalization,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140~169.

30.

Levy, Diane K., Comey, Jennifer and Padilla, Sandra. 2006. In the Face of Gentrification:Case studies of Local Efforts to mitigate Displacement. The Urban Institute.

31.

Ley, D. 1996. The Middle Class and the Remaking of Central Cit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2.

Marcuse, P. 1986. “Abandonment. Gentrification and Displacement: The Linkages in New York City.” in Smith. N. and Williams. P.(eds.). Gentrification of city, London:Unwin Hyman, pp.153~177.

33.

Schill, M. H. & Nathan, R. P. 1983. Revitalizing America’s Cities: Neighborhood reinvestment and displacement. Albany: Suny Press.

34.

Smith, N. 1996. The New Urban Frontier: Gentrification and the Revanchist City. London:Routledge.

35.

Sumka, H. J. 1979. “Neighbourhood Revitalization and Displacement: A review of the Evidence.”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45, pp.480~487.

Spac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