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1990년대 이래 학교 현장에 배치되어 온 원어민 보조교사는 영어교육의 효과및 만족도 향상 등의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교육 기회의 평등이라는 관점에서, 이와 같은 학교 원어민 보조교사에 대한 접근성이 도시 공간에서 얼마나 평등하게 이루어져 있는가의 문제에 대해 서울특별시를 사례로 하여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의 25개 자치구별 원어민 보조교사에 대한 접근성을 Natural Break 기법과 군집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도시 내부에서의 원어민 보조교사에 의한영어교육의 기회는 공간적으로 불평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도시내 자치구별 재정상태 및 원어민 보조교사 채용을 위한 예산 마련과 상당 부분 관련되어 있었다. 이는 원어민 보조교사를 통한 높은 수준‧만족도의 영어교육을 받을기회에 공간적 불평등을 야기하여, 영어교육은 물론 교육 전반에 걸친 교육 기회의공간적 불평등을 초래할 소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자치단체의 노력이나 의지에 따라 이 같은 문제가 심화 또는 완화될 수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원어민 보조교사에 의한 영어교육 기회의 도시공간적 불평등 문제 해소를 위한 자원 확보‧분배 문제의 개선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고자 한다.
강세진·김창석·남 진. 2008. 「블록별 주거환경지표의 군집분석을 통한 서울시 주거지유형 및 유형별 특성분석」. ≪국토계획≫, 43(3), 129~143쪽.
강현수. 2009. 「‘도시에 대한 권리’ 개념 및 관련 실천 운동의 흐름」. ≪공간과 사회≫,통권 제32호, 41~88쪽.
구연식. 2007. 「사립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교 선택 배경 및 만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기남. 2011. 「경쟁주의와 학력격차가 불러온 도시 간 명문고 경쟁, 그리고 학생의 권리」. ≪공간과 사회≫, 통권 제35호, 70~104쪽.
김 인·박수진 편저. 2006. ≪도시해석≫. 푸른길.
서승환. 2005. 「서울시 자치구별 생활환경의 질에 관한 비교분석」. ≪서울도시연구≫,6(2), 21~38쪽.
손준종. 1995. 「교육 기회의 평등에 대한 고찰: J. Rawls와 R. Nozick을 중심으로」.≪교육문제연구≫, 7, 161~178쪽.
손준종. 2004. 「교육공간으로서 강남(江南) 읽기-교육정책에 주는 함의」. ≪교육사회학연구≫, 14(3), 107~131쪽.
송승민. 2005. 「EFL 환경과 ESL 환경에서 영어조기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 유형분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387~412쪽.
송유선·이은숙. 1993. 「교육환경의 사회지리학적 연구-서울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지리학연구≫, 21, 1~17쪽.
안창모, 2010. 「강남개발과 강북의 탄생과정 고찰」. ≪서울학연구≫, 41, 63~97쪽.
우종현, 2002. 「도시공공서비스 측면에서의 대구시 고등학교 분포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3), 314~325쪽.
윤형호·강민정. 2008. 「서울시 자치구별 상위학교 진학률에 대한 거주지 효과 분석」.≪서울도시연구≫, 9(4), 87~106쪽.
이규환·서승제. 2009. 「서울시 자치구간 지역 격차에 관한 연구: 강남 3구와 강북3구의 비교」. ≪한국공공관리학회보≫, 23(4), 357~381쪽.
이혜진·한유경. 2006. 「서울시 공립 초‧중학교 교육비의 공평성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5(2), 67~94쪽.
주경식·김경숙. 2004. 「서울시 학원의 공간적 분포 패턴 변화」.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3), 363~378쪽.
진영남·손재영. 2005. 「교육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서울시 아파트시장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13(3), 125~148쪽.
최샛별. 2003. 「한국 사회에서 영어실력에 대한 문화자본론적 고찰: 대학생들의 영어 학습실태와 영어능력자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 연구논총≫, 11, 5~21쪽.
최청일·박선하. 1999. 「대도시 공동화 현상에 따른 도심학교 통‧폐합의 비용-수익분석」. ≪지방교육경영≫, 4, 225~290쪽.
최희경. 2008. 「원어민교사 활용에 대한 초등영어교육 현장의 목소리: 현황과 개선방안 탐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지≫, 15(1), 333~362쪽.
하운봉. 2007. 「외국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지원의 성과와 과제: 경기도 원어민 보조교사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14(1), 123~146쪽.
홍창남·김훈호·이쌍철·정성수. 2009. 「중등학교 원어민 보조교사 활용 정책의 효과성 분석」. ≪교육행정연구≫, 27(4), 57~86쪽.
水岡不二雄. 2002. 「経済学が忘れてしまった空間」. 水岡不二雄 編. 経済‧社会地理学 .東京: 有斐閣.
Coleman, J. S. 1990. Equality and Achievement in Education. Boulder, CO: Westview Press,Inc.
Deutsch, M. 1975. “Equity, Equality, and Need: What Determines Which Value Will Be Used as the Basis of Distributive Justice?.” Journal of Social Issues, 31(3), 137~149.
Heartshorn, T. A., B. D. Dent, and J. I. Heck. 1992. Interpreting the City: An Urban Geography, Second Edition.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Inc.
Lynch, K., and J. Baker. 2005. “Equality in Education: An Equality of Condition Perspective.” Theory and Research in Education, 3(2), 131~164.
Talen, E., Anselin, L. 1998. “Assessing Spatial Equity: An Evaluation of Measures of Accessibility to Public Playground.” Environment and Plannig A, 30, 595~613.
Talen, E. 2001. “School, Community, and Spatial Equity: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Access to Elementary Schools in West Virginia.”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91(3), 465~486.
Zhang, X., and K. Ravi. 2005. “Spatial Inequality in Education and Health Care in China.”China Economic Review, 16(2), 189~204.
≪경북일보≫. 2009년 4월 8일자. “포항 초중고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열풍”.
≪내일신문≫. 2011년 12월 1일자. “기초학력미달 줄인 학교들 비법은?”.
≪뉴시스≫. 2011년 2월 8일자.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280명 채용”.
≪대전일보≫. 2009년 1월 21일자. “영어 원어민 보조교사 ‘효과 만점’”.
≪매일경제≫. 2008년 3월 1일자. “원어민 교사들 조언… ‘학교 영어교육 이렇게 바꿔라’”.
≪매일경제≫. 2011년 12월 1일자. “대전여고, 학생들 마인드 변화가 비결”.
≪조선일보≫. 2011년 12월 7일자. “서울 초중고 원어민 교사 사라지려나”.
≪프레시안≫. 2010년 10월 20일자. “자녀를 ‘귀족학교’에 쭉 보내면… 학비만 1억7000만 원”.
≪한국일보≫. 2010년 10월 8일자. “고소득층 ‘그들만의 인맥쌓기’ 場 인식”.
교육정보 공시서비스 웹사이트(http://www.schoolinfo.go.kr).
정보공개시스템 웹사이트(http://www.open.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