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1990년대 후반 이래로 한국에서도 환경정의를 새로운 이념 혹은 활동 지침으로 수용하는 환경단체와 연구자들이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의 환경정의는 환경운동 안에서는 윤리적 지침으로, 학계에서는 그 정의를 둘러싼 담론의 차원에 여전히 머물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정의 담론에 공간성 논의를 접목하도록 지리학적기여를 탐구하고, 환경정의 운동에 스케일의 정치학에 기초한 실천적 해석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본 연구는 사례로 2012년 1월 밀양에서 발생한 70대노인의 분신 사건이 만들어낸 파열의 공간에 주목한다. 이 죽음은 한편으로는 송전탑 건설이 내세우는 국책사업의 일방적 추진에 내재한 국가 폭력성이 드러난사건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송전탑과 대규모 핵발전 단지 사이의 숨겨진 연결고리가 가시화된 사건이었다. 이후 송전탑에 반대하는 풀뿌리 지역운동은 더 넓은 전국단위 탈핵운동과 절합되어 새로운 차원의 운동이 되었다. 본 연구는 한노인의 죽음 이후 드러난 의미의 공백에서 탈핵 사회를 향한 사회운동이 생성되는 스케일 정치의 역동성을 묘사했다. 지역 주체들의 새로운 의미 구성에의 참여와 시민들 사이의 다른 방식의 윤리적 관계맺음을 통해 의존의 공간을 넘어선 새로운 관계의 공간이 창출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타자의 윤리학에기초한 환경정의의 실천적 재정립을 주장한다.
Some environmental NGOs and researchers accepting the environmental justice(hereafter, EJ) as the guiding principle for activities or the new ideal agenda have emerged in South Korea since late 1990s. However, the idea of EJ has been tied up ethical principle or initial stage of discourse on defining it among environmental groups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of geographical contribution in spatiality of EJ theory and to provide of practical explanation and suggestions in EJ movement. This study pays attention on the self-burning accident of one 70s’ senior, who had resisted electricity transmission tower planed to be put on his rice paddy in Miryang,Kyoungsang Province. His death had uncovered the state’s hidden violence conducting forceful process of larger state projects and exposed the linkage between the transmission facilities and intensive nuclear complex. After his death, localized grassroots resistance against building transmission towers has been re-scaling toward national-wide anti-nuclear movement. This study describes the dynamics of scale politics generating social movement toward post-nuclear society, which fills up the blank of social meaning after his death.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ized agents for reconstructing social meanings on their locality and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local people and voluntary citizens in new ways could produce various spaces of engagement. Finally, this study insists to establish the practically-oriented EJ discourse based on the ethics of the others.
국민권익위원회. 2010. 송전선로 건설사업 개선방안 .
김명진 외. 2011. 탈핵, 포스트 후쿠시마와 에너지 전환 시대의 논리 . 서울: 이매진.
박경환. 2011. 「글로벌, 로컬, 스케일」. ≪로컬리티 인문학≫, 5, 47~85.
박배균. 2001. 「규모의 생산과 정치. 그리고 지구화」. ≪공간과 사회≫, 16. 200~224.
박배균. 2009. 「초국가적 이주와 정착을 바라보는 공간적 관점에 대한 연구: 장소,영역, 네트워크, 스케일의 4가지 공간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5), 616~634.
박배균. 2012. 「발전주의 시기 국책사업을 매개로 한 국가와 지방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 923~933.
박일형. 2011. 「진리의 윤리학과 벌거벗은 생명: 바디우와 베케트」. ≪한국현대영미드라마≫, 24(2), 57~78.
박재묵. 2006. 「환경정의 개념의 한계와 대안적 개념화」. ≪ECO≫, 10(2), 75~114.산업자원부고시 제2007-138.
양현석. 2009. 「[TOPIC: 전원설비갈등 ‘비등점’에 왔나] 송전탑 건설 반대 전국연합회 출범」. ≪Electric Power≫, 2009년 4월호, 48~51.
우주호. 2011. 「국책사업의 지역 간 갈등과 분쟁, 그리고 극복 대안의 구상」.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발표집 , 한국지방정부학회, 329~358.
유종영. 2002. 「한국전기 116년. 그때 그 일들」. ≪전기저널≫, 304, 2~7.
윤순진. 2006.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장 입지 선정 과정」. ≪환경사회학연구(ECO)≫, 10(1), 7~42.
이경원·김정화. 2011. 「공공갈등과 공익의 재검토: 제주해군기지 건설 사례」. ≪경제와 사회≫, 89, 298~332.
이상헌. 1997. 「실천적 환경정의론을 위하여」. ≪환경과 생명≫, 26, 48~59.
이유진. 2012. 「원자력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갈등해소를 위한 과제」. ≪기독교사상≫, 639, 32~45.
전재경. 2003. 「국책사업의 친환경성 담보전략」. 한국환경보고서. 녹색연합.
정현주. 2006. 「사회운동의 공간성: 사회운동연구에 있어서 지리학적 기여에 대한 탐색」. ≪대한지리학회지≫, 41(4), 470~490.
정현주. 2008. 「이주, 젠더, 스케일: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대한지리학회지≫, 43(6), 894~913.
조명래. 2000. 「환경정의론의 재조명: 담론에서 실천으로」. ≪환경과 생명≫, 26, 28~83.
진위향. 2003. 「지역생명운동의 의미구성과 사회적 행위자의 역할: 청계산 송전선로 분쟁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승수의원실. 2009. [한전 송전탑 건설 .이대로 좋은가?] 국회토론회 자료집 (2009.07.02 실시).
최병두. 2005. 「자유주의적 환경론과 환경정의」. ≪대한지리학회지≫, 40(6), 671 ~693.
Agyeman, J. 2005. Environmental Justice. Sustainable Communities and the Challenge of Environmental Justice,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14~38.
Brenner, N. 2001. “The Limits to Scale? Methodological Reflections on Scalar Structuration.”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5(4), 591~614.
Cox, K. 1998. “Spaces of dependence, spaces of engagement and the politics of scale, or looking for local politics.” Political Geography, 17(1), 1~23.
Delaney, D. and Leitner, H. 1997. “The political construction of scale.” Political Geography, 16(2), 93~97.
Jones, K. 1998. “Scale as epistemology.” Political Geography, 17(1), 1~23.
Kurtz, H. 2003. “Scale frames and counter-scale frames: constructing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injustice.” Political Geography, 22, 887~916.
Marston, A. 2000.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ale.”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4, 219~242.
Newton, D. E. 1996. Environmental Justice: A Reference Handbook. Santa Barbbara: ABC-CLIO. Inc.
Rhodes, E. L. 2003. Environmental Justice in America: A New Paradigm. Bloomington and Indianapolis: Indiana University Press.
Ryu, Y-T. 2007. “The Politics of Scale: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 in Korean Housing Politics.” ≪대한지리학회지≫, 42(5), 691~709.
Sandweiss, S. 1998. “The social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justice.” in Camacho David(ed.). Environmental injustices. political struggl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ress, 31~58.
Smith, N. 1984. Uneven development: nature. capital. and the production of space. Oxford. UK: Blackwell.
Swyngedouw, E. 1997. “Excluding the other: the production of scale and scaled politics.” in R. Lee and J. Wills(eds.). Geographies of Economics, London: Arnold, 167~176.
Taylor, D. 2000. “The rise of the environmental justice paradigm: injustice framing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discours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3(4), 508~580.
Towers, G. 2000. “Applying the political geography of scale: grassroots strategies and environmental justice.” Professional Geographer, 52(1), 23~36.
Williams, R. 1999. “Environmental injustice in America and its politics of scale.” Political Geography, 18(1), 49~73.
가톨릭뉴스 http://www.catholicnews.co.kr
꼬뮤넷 수유너머 http://suyunomo.net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
부산일보 http://news20.busan.com
시사IN http://m.sisainlive.com
오마이 뉴스 http://www.ohmynews.com
전력거래소 http://http://www.kpx.or.kr/
프레시안 http://www.pressian.com
밀양사랑 cafe.daum.net/milyang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