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영토교육 비판과 동아시아 평화를 지향하는 대안적 지리교육의 방향성 모색

Searching for an Educational Solution to Territorial Conflicts in East Asia: From Territory Education to an Alternative Education on East Asian Geography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3, v.23 no.2, pp.165-200
박배균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에서 필자는 최근 영토분쟁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부각되고 있는 영토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영토분쟁의 상황을 극복하고 동아시아의 평화를 지향하는 교육을 위해서는 영토교육을 강화하기보다는 지리교육의 내용을 전면적으로재구성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주장한다. 특히 기존의 영토교육론은 민족/국가주의적 성향, 유기체적 국토개념과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내부자적 장소성을 바탕으로 한 배재와 포섭의 속성과 영토적 배타성을 강화하여 영토문제를 둘러싼 국가 간 긴장을 해결하기보다는 오히려 악화시킬 가능성이 더 크다고 문제제기 했다. 최근 이러한 민족/국가주의적 영토교육론을 비판하면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 시민적 애국주의, 비판문식성 교육, 초국가적 시민양성등에 초점을 두는 영토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는 논의들이 제기되기도 하지만,필자는 이러한 논의들 역시 영토교육의 틀 속에 갇혀 있는 한 민족/국가주의와영토적 배타성의 논리에서 자유롭기 힘들다고 지적하면서, 영토교육의 틀을 완전히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필자는 동아시아의 평화와 공존에 진정으로 도움을 주는 교육을 위해서는 영토교육을 넘어서 지리교육의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필자는 1)관계론적 장소개념을 지리교육이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고, 2) 국가의 틀을 넘어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지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동아시아 지리’에대한 연구와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keywords
territory education, East Asian geography, place, territoriality, nationalism territorial conflict., 영토교육, 동아시아 지리, 장소, 영역성, 민족주의, 영토분쟁

Abstract

This paper, with a critical engagement with recently emerging discourses on territory education emphasizing the need to educate the issues of territorial identities and sovereignty to students, urges that a total re-formulation of geography education ― instead of expanding territory education ― is needed in order to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efforts to resolve the current territorial conflicts, and develop more peaceful relations, among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 In particular, it points out that the existing territory education perspective ― due to its nationalist orientation and its theoretical reliance on the organic conception of territory and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 is more likely to aggravate the territorial conflicts in East Asia. With growing concerns on the nationalist territory education, there have been recent efforts to develop alternative perspectives on territory education by emphasizing the notion of civic nationalism, education for critical literacy, and development of transnational citizenship. This paper, however, highlights that these efforts are still limited in overcoming the logics of territorial exclusiveness and thus not fully useful in developing a peaceful East Asia, as long as they are made under the name of territory education, and suggests to get rid of the frame of territory education. With this problem orientation, I argue that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completely re-formulate the curriculum of geography education ― instead of wasting our time and energy for territorial education ― if we want to develop a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can make a genuine contribution to the East Asian peace. More specifically, I suggest that 1) the developers of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make more aggressive efforts to incorporate the relational conception of place into the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and 2) research and education on ‘East Asian Geography’ need to be much more strengthened in order to overcome the ‘territorial trap’ and ‘methodological nationalism’ inherent in the existing curriculum of geography education, which has been organized on the basis of two pillars of ‘Korean Geography’ and ‘World Geography’.

keywords
territory education, East Asian geography, place, territoriality, nationalism territorial conflict., 영토교육, 동아시아 지리, 장소, 영역성, 민족주의, 영토분쟁

참고문헌

1.

남호엽. 2011. 「글로벌 시대 지정학 비전과 영토교육의 재개념화」.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3), 371~379쪽.

2.

박배균. 2008. 「한국에서 토건국가 출현의 배경: 정치적 영역화가 토건지향성에 미친영향에 대한 시론적 연구」. ≪공간과 사회≫, 31, 49~87쪽.

3.

박배균. 2010. 「장소마케팅과 장소의 영역화: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498~513쪽.

4.

박선미. 2007. 「인천의 장소만들기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3), 13~25쪽.

5.

박선미. 2010. 「탈영토화 시대의 영토교육 방향-우리나라 교사와 학생대상 설문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1), 23~36쪽.

6.

서태열. 2009. 「영토교육의 개념화와 영토교육모형에 대한 접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3), 197~210쪽.

7.

유용태·박진우·박태균. 2011.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1, 2 . 창작과 비평.

8.

이하나·조철기. 2011. 「한일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영토교육 내용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3), 332~347쪽.

9.

임덕순. 2006. 「지리교육에 있어서의 영토교육의 중요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6년 추계학술대회 요약집, 1~10쪽.

10.

임지현. 2005. 「국민국가의 안과 밖-동아시아 영유권 분쟁과 역사논쟁에 부쳐」. ≪인문연구≫, 48, 1~18쪽.

11.

진시원. 2008. 「동북아 영토분쟁. 중등교육에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간도분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2(2), 435~455쪽.

12.

Agnew, J. 1997. “The dramaturgy of horizons: geographical scale in the “Reconstruction of Italy” by the new Italian political parties. 1992~95.” Political Geography, 16(2), pp. 99~122.

13.

Ardrey, R. 1967. The Territorial Imperative: A Personal Inquiry into the Animal Origins of Property and Nations. London: Collins.

14.

Brenner, N. 2004. New State Spaces: Urban Governance and the Rescaling of Statehoo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5.

Cresswell, T. 2004. Place: a short introduction. Malden. MA: Blackwell.

16.

Delaney, D. 2013. 영역 . 박배균·황성원 역. 시그마프레스.

17.

Dijkink, G. 1996. National Identity and Geopolitical Vision. London: Rougledge.

18.

Harvey, D. 1982. The Limits to Capital. Oxford: Blackwell.

19.

Harvey, D. 1985. “The geopolitics of capitalism.” in Gregory. D. and Urry. J. (eds.). Social relations and spatial structures. London: Macmillan.

20.

Harvey, D. 1989. The Urban Experience. Oxford: Blackwell.

21.

Jessop, B., Brenner, N. & Jones, M. 2008. “Theorizing Socio-Spatial Relations.”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26(3), pp. 389~401.

22.

Massey, D. 1997. “A Global Sense of Place.” In Barnes. T. and Gregory. D. (eds.) Reading Human Geography, pp. 315~323, London: Arnold.

23.

Relph, E. 2005. 장소와 장소상실 .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역. 논형.

24.

Rose, G. 1993. Feminism and Geography: The Limits of Geographical Knowledge. Cambridge: Polity Press.

25.

Sack, R. D. 1986. Human Territoriality: its Theory and Hist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Storey, D. 2001. Territory: the Claiming of Space. London: Prentice Hall.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