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통치성의 공간들: 한국의 정치지리를 고려한 시론적 검토

Rethinking the geography of governmentality on the South Korean context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3, v.23 no.2, pp.131-164
김동완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글은 공간을 조형하는 권력의 정치적 논리로서 푸코의 통치성을 적극적으로검토한다. 그리고 한국의 경험에 대한 분석도구로 삼을 때, 서구와 다른 한국의정치지리에서 우리가 문제시해야 할 측면을 시론적으로 검토했다. 이를 위해 영토와 도시를 렌즈로 푸코가 제시한 서구 국가의 통치화 과정을 읽어내려 했다. 본 연구에서는 푸코의 통치성 강의를 주된 텍스트로 삼았다. 그리고 강의 전반에산재되어 있는 통치성의 지리적 차원을 푸코 사유의 흐름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재구성 했다. 결과물을 놓고 보건대, 푸코의 통치성에서 영토와 도시는 통치의배경이나 맥락을 형성하는 대상이 아니라, 통치의 등장과 변화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고, 권력과 통치의 문제가 생산하는 공간의 구체적 형태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통치성의 한국적 변이 가능성을 가늠해보고, 구체적으로 어떤 측면에서 우리의 정치지리적 특성이 개입하는지 시론적으로검토했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적 문맥을 가진 탈식민국가로서, 분단과 냉전의 특수한 환경을 겪은 국가로서 경험연구에서 고려할 몇 가지 단절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keywords
푸코, 통치성, 영토화, 도시화, 도시계획, Foucault, governmentality, territorialization, urbanization, urban planning

참고문헌

1.

기로워드, 마크(Girouard. Mark). 2009. 도시와 인간 . 민유기 옮김. 서울: 책과함께.

2.

김범수. 2006. 「중세 주권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6년 6월, 578~595쪽.

3.

김병용. 2011. 「서양 중세 도시 성곽 축조와 유지에 관한 소고」. ≪역사와 담론≫, 59, 189~216쪽.

4.

김성배. 2012. 「한국의 근대국가 개념 형성사 연구 ― 개화기를 중심으로」. ≪國際政 治論叢≫, 52(2), 7~35쪽.

5.

김용구. 2007. 세계관 충돌과 한말 외교사 . 서울: 문학과지성사.

6.

김준석. 2012. 「17세기 중반 유럽 국제관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國際政治論叢≫, 52(3), 111~139쪽.

7.

다카시, 사카이. 통치성과 자유 . 서울: 그린비.

8.

도승연. 2009. 「여성이 행복한 도시가 가지는 반여성적 장치와 효과들」. ≪사회와철학≫, 18, 251~290쪽.

9.

박상섭. 2004. 「근대 주권 개념의 발전과정」. ≪세계정치≫, 25(1), 95~123쪽.

10.

박상섭. 2008. 국가·주권 . 서울: 소화.

11.

박주형. 2013. 「서울의 공간과 정책 ; 도구화되는 ‘공동체’ 서울시 마을공동체 만들기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공간과 사회≫, 43, 5~43쪽.

12.

서동진. 2009.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 파주: 돌베개.

13.

손정목. 2003.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3 . 서울: 한울.

14.

스콧, 제임스 C.(Scott, James C.). 2010. 국가처럼보기 . 전상인 옮김. 서울: 에코리브르.

15.

앤더슨, 페리(Perry, Anderson). 1996. 절대주의 국가의 역사 . 구학서·김원중·박순준·박경옥·이학수 옮김. 서울: 소나무.

16.

이용희. 1962. 一般 國際政治學 . 서울: 박영사.

17.

이정희. 2011. 「미셸 푸코의 통치성의 계보학: ‘국가 이성’을 중심으로」. ≪시대와철학≫, 22(1), 55~88쪽.

18.

이진경. 2010. 역사 의 공간: 소수성. 타자성. 외부성의 사건적 사유 . 서울. 휴머니스트.

19.

이희영. 2010. 「섹슈얼리티와 신자유주의적 주체화」. ≪사회와 역사≫, 86, 181~219쪽.

20.

임동근. 2010. 「한국의 도시지식체계의 형성과정과 연구기관의 발전방향」. ≪인천학연구≫, 12, 103~135쪽.

21.

임동근. 2012. 「‘인간’과 장치」. ≪문화과학≫, 71, 285~299쪽.

22.

주성용. 2006. 「한국의 신행정도시 계획안에 관한 연구」. ≪연세학술논집≫, 43, 238 ~259쪽.

23.

진태원. 2012. 「푸코와 민주주의: 바깥의 정치. 신자유주의. 대항품행」. ≪철학논집≫, 29, 153~188쪽.

24.

푸코, 미셸(Foucault, Michel). 1994. 오생근 옮김. 감시와 처벌: 감옥의 탄생 . 서울:나남.

25.

푸코, 미셸(Foucault, Michel). 1998. 박정자 옮김.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서울: 東文選.

26.

푸코, 미셸(Foucault, Michel). 2007. 심세광 옮김. 주체의 해석학 . 서울: 동문선.

27.

푸코, 미셸(Foucault, Michel). 2010. 이규현 옮김. 性의 역사 1. 지식의 의지 . 서울: 나남.

28.

푸코, 미셸(Foucault, Michel). 2011. 오트르망 옮김. 안전. 영토. 인구 . 서울: 난장.

29.

푸코, 미셸(Foucault, Michel). 2012. 오트르망 옮김.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 서울. 난장.

30.

하비, 데이비드(Harvey, David). 2005. 신제국주의 . 최병두 옮김. 파주: 한울아카데미.

31.

허경. 2012. 「미셸 푸코의 ‘담론’ 개념: ‘에피스테메’와 ‘진리놀이’의 사이」. ≪개념과소통≫, 9, 5~32쪽.

32.

황영주. 2007. 「중세 유럽에서의 외교」. ≪21세기 정치학회보≫, 17(1), 177~195쪽.

33.

Agnew, J. A. 2009. Globalization and sovereignt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34.

Benevolo, Leonardo. 2003. 世界都市史 . 윤재희·지연순·전진희 옮김. 서울: 세진사.

35.

Dunton, Larkin. 1896. The World and Its People. New York; Boston; Chicago: Silver. Burdett.

36.

Garrison, Fielding H. 1929.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medicine. Philadelphia. London: W. B. Saunders Company.

37.

Jessop, B. 2000. 전략관계적 국가이론 . 유범상 외 옮김. 서울: 한울아카데미.

38.

Le Maître, Alexandre. 1973. La Métropolitée. Paris: Editions d’histoire sociale.

39.

Mann, M. 1984. “The autonomous power of the state: its origins. mechanisms and results.” European Journal of Sociology, 25(2), pp. 185~213.

40.

Paasi, Anssi. 1996. Territories. boundaries. and consciousness. Chichester. England; New York: J. Wiley & Sons.

41.

Revel, Judith. 2002. Le vocabulaire de Foucault. Paris: Ellipses.

42.

Sonn, J. W. and D.-W. Gimm. 2013. “South Korea’s Saemaul (New Village) movement: an organisational technology for the production of developmentalist subjects.” Canadian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34(1), pp. 22~36.

43.

Spivak, G. 1988. “Can the Subaltern speak?.” L. Grossberg and C. Nelson (eds.). Marxism and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p. 271~313.

44.

Wheaton, H. 1864.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Sampson Low.son.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