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 밀양 송전탑 갈등 연구

A Study on Miryang Transmission Tower Conflict with Multi-scalar perspective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4, v.24 no.2, pp.252-286
이상헌 (한신대학교)
이정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이보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대규모 발전 시설에 기반을 둔 한국의 송전 정책이 초래하는 사회적 비용의 하나가 송전선 경과지의 사회적 갈등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밀양 송전탑 갈등을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분석했다. 즉, 스케일의 정치라는 이론적 자원에 기초하여 10년 가까이 갈등이 진행 중인 밀양 송전탑 갈등을 분석했다. 갈등 분석을 위해서, 갈등의 당사자, 주요 담론, 쟁점, 행위자들의 전략, 위험경관, 스케일 전략 등을 기준으로 갈등이 전개된 과정을 추적했다. 밀양 송전탑 갈등은 처음에는 주민들의 건강권, 재산권 침해에 대한 문제제기로 시작되었고, 의존의 공간이라는 국지적 스케일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나 송전탑 공사의 과학적 정당성이나 정책적 타당성에 대한 회의가 커지고, 송전탑 공사가 핵 발전에 근거한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 자체의 문제라는 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커지면서 갈등의 스케일이 연대의 공간으로 확대되고, 국가적인, 심지어 국제적인 스케일까지 갈등이 확대되었다.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연대의 공간으로 스케일 점핑이 일어난 것이 외부세력의 개입에 의해서가 아니라 밀양 주민들의 자발적 각성과 주도에 의해 일어난 점이다. 이러한 분석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연성 에너지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keywords
Multi-scalar, space of dependence, space of engagement, Miryang power transmission tower conflict, 다중스케일, 의존의 공간, 연대의 공간, 밀양송전탑 갈등

Abstract

This paper argues that one of the social costs of power transmission policy based on large-scale power facilities in South Korea is social conflict at the site of transmission lines. To support it, this paper analyzes Miryang transmission tower conflict with multi-scalar perspective; scale politics. For analysis, agents of conflict, main discourses, disputes, strategies of agents, riskscape, and scale strategies are scrutinized over the process of conflicts. At early stage of conflict, damages in health and property of residents were put into questions and conflict took place at the space of dependence. However, as skepticism was raised to the scientific legitimacy and policy feasibility of the power transmission construction work, residents came to recognize that this conflic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roblem of energy policy of South Korea which is heavily based on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the scale of conflict expanded to space of engagement and also to the international scale. In particular, the scale jumping of conflict were initiated and suggested by residents not by outsiders like experts, activists and politician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is paper suggests transformation to the soft-energy system is required.

keywords
Multi-scalar, space of dependence, space of engagement, Miryang power transmission tower conflict, 다중스케일, 의존의 공간, 연대의 공간, 밀양송전탑 갈등

참고문헌

1.

김동완. 2013. 「불균등발전과 국가공간」. 박배균·김동완 엮음. 국가와 지역: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 한국의 지역 . 알트.

2.

김연희. 2011. 「농촌 전기공급사업과 새마을운동」. ≪역사비평≫, 2011년 겨울호(통권 97호), 397~425쪽.

3.

밀양구술프로젝트. 2014. 밀양을 살다: 밀양이 전하는 열다섯 편의 아리랑 . 오월의 봄.

4.

밀양송전탑건설관련 전문가협의체. 2013. 우회송전 가능여부 등에 대한 검토결과 최종보고서 .

5.

밀양765kV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 2013. 밀양 송전탑 관련 쟁점 사항 .

6.

박배균. 2013. 「국가-지역 연구의 인식론」. 박배균·김동완 엮음. 국가와 지역: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 한국의 지역 . 알트.

7.

셰어, 헤르만. 2013. 에너지 명령 . 모명숙 옮김. 고즈윈.

8.

송유나 외. 2013. 「원자력발전, 안전한 운영을 위한 교훈·비판 그리고 과제」. 사회공공연구소·한국수력원자력노동조합·한전KPS노동조합·한국전력기술노동조합·한전원자력연료노동조합. 연구보고서 2013-2.

9.

엄은희. 2012. 「환경(부)정의의 공간성과 스케일의 정치학」. ≪공간과사회≫, 제22권 4호, 51~91쪽.

10.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모심과살림연구소. 2013. 밥상의 전환: 기후변화와 농업, 협동조합의 미래 . 한티재.

11.

윤순진. 2004. 「에너지와 환경정의 - 원자력 중심 전력체제의 환경불평등을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 ECO≫, 통권 7호, 78~114쪽.

12.

이보아. 2013. 「밀양 송전탑 문제의 본질과 쟁점의 형성」. 민주언론시민연합, 밀양송전탑 서울대책회의, 언론개혁시민연대, 전국언론노동조합. <밀양 송전탑을 보도하는 언론의 양심과 역할> 토론회 자료집, 2~12쪽.

13.

이선우·홍수정. 2012. 「송·변전설비 건설갈등해소를 위한 과정과 선택: 밀양 765㎸ 송전선로건설관련 갈등조정위원회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6(2), 183~212쪽.

14.

이화현·윤순진. 2013. 「밀양 고압 송전선로 건설 갈등에 대한 일간지 보도 분석」. ≪경제와사회≫, 2013년 여름호(통권 제98호), 40~76쪽.

15.

조성배. 2012. 「송전선로 건설갈등의 장기화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신고리-북경남 송전선로 밀양시구간을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2(2), 128~168쪽.

16.

최영진. 2012. 「계급투쟁의 장으로서 국가: 자본주의 국가 공간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도시인문학연구≫, 제4권 1호, 69~114쪽.

17.

한국전력공사. 2006. 송배전 백서 2006 .

18.

최영진. 2013.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관련 장기 송배전설비계획(2013~2027) .

19.

한재각·이영희. 2012. 「한국의 에너지 시나리오와 전문성의 정치」. ≪과학기술학연구≫, 제12권 제1호, 107~144쪽.

20.

환경보건시민센터·환경운동연합. 2013. ‘밀양사태와 전자파문제’ 국민들은 어떻게 생각하나?, 국민연론조사 결과보고서 .

21.

강성명. 2012.4.25. “2차 탈핵희망버스 고리원전 온다”. ≪한국일보≫.

22.

김남일·최상원. 2013.5.21. “신울진 원전∼경기 230km 송전선… ‘제2밀양’ 우려”. ≪한겨레≫.

23.

민 선. 2013.5.31. “밀양 송전탑, 보상 많이 받으려 반대한다고?” ≪프레시안≫.

24.

박진희. 2013.9.18. “독일, 한국 흉내 내다 시민 철퇴 맞은 사연”. ≪프레시안≫.

25.

박철응. 2013.5.23. “밀양 송전탑 강행 UAE 원전 때문”. ≪경향신문≫.

26.

송호균·김효실·이재욱. 2014.3.12. “밀양 4개면 주택 0.39%만 새 ‘송주법’ 보상 대상… 또 다른 분쟁의 씨앗”. ≪한겨레≫.

27.

≪연합뉴스≫. 2008.4.2. “<‘영남알프스’ 풍력발전> ② 울산시 ‘환경훼손 불 보듯’”.

28.

≪연합뉴스≫. 2008.4.4. “울산구청장·군수協 “풍력발전 반대 공동대응””.

29.

≪연합뉴스≫. 2012.9.7. “밀양 송전탑 갈등 폭력사태로 번져”.

30.

장효정. 2009.9.1. “주민의견 수렴하지 않은 송전탑 건설 백지화해야”. ≪이투뉴스≫.

31.

표세호. 2013.11.15. “밀양 송전탑 사태 장기화, 정부·한전 탓”. ≪경남도민일보≫.

32.

≪한겨레≫. 2013.5.17. “밀양 송전탑, 주민과 더 협의해 합의점 찾아라”.

33.

한재각. 2013.10.25. “핵발전소 때려잡는 시장? 또 다른 재앙의 씨앗!”. ≪프레시안≫.

34.

Agnew, J. 1994. “The territorial trap: the geographical assumption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1(1), pp. 53~80.

35.

Brenner, N. 2001. “The limits to scale? Methodological reflections on scalar structuration.”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5, pp. 591~614.

36.

Brenner, N. 2004. New State Spaces: Urban Governance and The Rescaling of Statehoo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7.

Cox, K. 1998. “Spaces of dependence, spaces of engagement and politics of scale, or looking for local politics.” Political Geography, 17, pp. 1~23.

38.

Delaney, D. and H. Leitner. 1997. “The political construction of scale.” Political Geography, 16(2), pp. 93~97.

39.

Jessop, B. 1990. State Theory: Putting Capitalist State in their Place. University Park, P.A: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40.

Lovins, A. 1976. “Energy Strategy: The Road Not Taken?” Foreign Affairs, 55(1), pp. 65~96.

41.

Marston, A. 2000.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ale.”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4, pp. 219~242.

42.

McMaster, R. B. and E. Sheppard. 2004. “Introduction: Scale and Geographic Inquiry.” in E. Sheppard and R. B. McMaster(eds.). Scale and Geographic Inquiry: Nature, Society and Method. Oxford: Blackwell.

43.

Smith, N. 1993. “Homeless/global: Scaling places.” in J. Bird, B. Curtis, T. Putnam, G. Robertson and L. Tickner(eds.). Mapping the futures: Local cultures, global change. London: Routledge.

44.

Swyngedouw, E. 1997. “Excluding the other: the production of scale and scaled politics.” in R. Lee and J. Wills(eds.). Geographies of Economics, pp. 167~176. London: Arnold.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