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지난 2010년 겨울에 발생한 구제역은 전국 11개 시·도와 75개 시·군·구에서 발병되어 350여만 마리의 가축 피해에 따른 3조 원에 가까운 물적 피해를 남겼다. 그 피해과정을 살펴보면 구제역을 미리 예방하기 위한 조치는 미약하며, 특히 가축의 생활터전인 축사와 그 주변 지역에 대한 토지이용계획에 대한 조치는 전무한 실정임을 알 수 있다. 건축법에 의해 규제를 받는 축사는 건축물이지만 구제역 등을 예방하기 위한 환경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도로의 통제 및 농장과 마을에 대한 도시계획이나 토지이용측면에서의 예방계획이 제대로 되어 있지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공간적 측면에서의 방역시스템의 구축과 정책적 지원은 천문학적인 경제적 손실과 농민들의 심리적인 타격을 미리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제역 방제를 위한 축사건축과 단지설계의 요소를 살펴보고,어떠한 공간적 방역시스템이 필요한지를 논의했다. 건축과 단지설계 차원에서의예방 및 방제가 연계해 이루어진다면 구제역과 같은 대규모의 가축질병과 피해를예방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특히 구제역 축사 건축 및 단지설계와 연계해 정책이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법적 및 제도적 뒷받침이 속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김대익·이현우. 2012. 「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한 축사 환경 개선 시안 연구-안성시축사 환경개선을 위한 설계안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8(12), 1~8쪽.
김영대. 2013. 재난발생 및 상황대응 사례-사회적재난 . 안전행정부 재난역량지원과.
농림수산식품부. 2012. 구제역, AI질병 대응 기술개발 추진현황 및 추진계획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농민신문. 2009. 표준돈사설계도 ‘그림의 떡’ . 2012년 12월 9일.
농민신문. 2012. 가축 사육제한 조례제정 추진 . 2012년 9월 17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011. 구제역 발표자료 . 농촌진흥청.
대한양돈협회. 2011. 2010년도 경영실태 조사 . 대한양돈협회.
대한양돈협회. 2008. 양돈뉴스 . 대한한돈협회.
성지은. 2012. 「주요국의 구제역 방역체계 비교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과학기술정책≫, 134~153쪽.
양기근. 2013. 「구제역 재난관리 정책의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 분석: AHP 기법을 이용한 우선순위 측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22권 제2호, 91~119쪽.
정재용. 2012. 「구제역 방제를 위한 축사모형 연구」. 구제역 방제를 위한 축사건축및 토지이용계획에 대한 연구 세미나 자료집 . 구제역 방제를 위한 축사건축및 토지이용계획에 대한 연구 세미나. 건축사협회.
정회성·변병설. 2011. 환경정책의 이해 . 박영사.
통계청. 2012. 가축동향 . 통계청.
행정안전부. 2012. 구제역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 백서 . 행정안전부.
NH축산협회. 2011. 축산물 수급 동향과 전망 . NH축산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