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본 논문은 국내의 도시권리 담론에서 섹슈얼리티 관점이 부재했다는 점에 주목하여 기존 공간학계가 성적 반체제자(sexual dissidents)와 성애화된 도시공간(sexualized urban space)을 공론장에서 배제해왔음을 주장한다. 이에 필자는 도시 권리 담론을 더욱 풍요롭게 진행해나가기 위해서는 자본주의적 공간질서와 더불어 이성애 정상가족 규범적 공간체계 역시 예민하게 분석해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2014 신촌 퀴어퍼레이드를 행위자적 측면에서 분석한다. 2014 신촌 퀴어퍼레이드의 참여자들은 패러디와 ‘되기’로의 수행, 작품적 걷기와 같은 행위를 통하여 이성애 정상가족 규범적인 도시공간의 공공성에 저항하고 균열을 낳으려 했다. 이는 르페브르가 언급한 작품으로서의 도시를 누릴 권리와 연관되며, 또한 그의 창발적 전유와도 연관된다. 퍼레이드 지지자들의 작품적 수행을 통해 2014 신촌 퀴어퍼레이드는 기존의 이성애 정상가족 규범적인 공공공간이 지니는 배제와 폐쇄성을 언급하였으며, 더불어 도시공간을 퀴어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수행하에서 퍼레이드가 이루어진 공간은 일상에서의 LGBTQ/Queer 운동의 연대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임과 동시에 퀴어한 도시공간을 생산해나가는 ‘되어가는(becoming)’의 장으로서 존재하였다. 2014 신촌 퀴어퍼레이드에 참여한 주체들은 기존의 이성애중심성, 정상가족중심성에 대하여는 다양한 복수적 행위를 통해 저항하였으나 결론적으로 거리에서의 노출규범과 같은 ‘몸’ 자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규범성을 탈피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측면에 주목하여 필자는 퀴어한 퍼레이드가 지속적으로 ‘괴이한(queer)’ 장면을 생산해나가기 위해서는 몸의 노출을 둘러싼 공공공간의 규범, 더 나아가 성적 실천과 관련한 논쟁을 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강현수. 2009. 「‘도시에 대한 권리’ 개념 및 관련 실천 운동의 흐름」. ≪공간과사회≫32호, 42~90쪽.
강현수. 2012. 「‘도시에 대한 권리’ 개념 및 관련 실천 운동의 흐름」. 강현수‧황진태엮음. 도시와 권리: 현대도시권리담론 , 서울: 라움, 37~74쪽.
김동완. 2014. 「‘날 것’으로서 공공공간과 타자의 복원: 로열 페스티벌 홀을 사례로」. ≪공간과사회≫ 49호, 178~209쪽.
김용창. 2012. 「물리적 도시재개발에서 도시권으로」. 강현수‧황진태 엮음. 도시와권리: 현대도시권리담론 , 서울: 라움, 99~119쪽.
김준호. 2010. 「거리노숙인이 생산하는 ‘차이의 공간’에 대한 연구: 서울역 거리노숙인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준희. 2011. 「도시공간과 노점상의 권리에 관한 연구: 1980년대 노점상 운동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공간과사회≫ 36호, 66~102쪽.
김재인 역. 2003. 천 개의 고원 . 서울: 새물결(Deleuze, G. & Guattari, F. 1979. Capitalisme et Schizophrenie, tome 2: Mille Plateaux. Minuit).
김현철. 2015. 「성적 반체제자와 공공공간: 2014 신촌/대구 퀴어퍼레이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나 영. 2014. 「2014년 퀴어문화축제의 경험, 성적 혐오의 조직화를 방관해서는 안되는 이유」. ≪진보평론≫ 61호, 161~175쪽.
남수인 역. 2004. 환대에 대하여 . 서울: 동문선(Derrida, J. 2000, Of Hospital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박이은실 역. 2012. 퀴어이론 입문 . 서울: 여이연(Jagose, A. 1997. Queer Theory: An Introduction. NYU Press).
박정자 역. 2005. 현대세계의 일상성 . 서울: 기파랑(Lefebvre, L. 1968. Vie quotidienne dans le monde moderne. Gallimard: Gallimard edizione).
신윤동욱. 2011. 「퀴어의 계절이 왔다: 제12회 퀴어문화축제」. ≪플랫폼≫ 28호, 89~91쪽.
심승희 역. 2012. 장소: 짧은 지리학 개론 시리즈 . 서울: 시그마프레스(Cresswell, T. 2004. Place: A Short Introduction. Wiley-Blackwell).
윤대석·류수연·윤미란 역. 2009. 민주적 공공성: 하버마스와 아렌트를 넘어서 . 서울: 이음(齋藤純一. 2000. 公共性 . 東京: 岩波書店).
이무용·구동회·이정욱·정병순 역. 1997. 공간과 비판사회이론 . 서울: 시각과 언어(Soja, E. 1989. Postmodern geographies: The Reassertion of Space in Critical Social Theory. New York: Verso).
이진우‧태정호 역. 2002. 인간의 조건 . 서울: 한길사(Arendt, H. 1958. Human cond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이현재. 2010. 「여성주의적 도시권을 위한 시론: 차이의 권리에서 연대의 권리로」. ≪공간과사회≫ 24호, 5~32쪽.
임미영. 2015. 「사회운동에서의 공간의 탈영역화 전략: 마포 민중의집과 서울시 청년일자리허브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경희. 2014. 「마을공동체의 ‘공동체’성을 질문하다: 서울시 마포·은평 지역 비혼/퀴어 페미니스트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14권 1호, 75~112쪽.
정기헌 역. 2013. 리듬분석: 공간, 시간, 그리고 도시의 일상생활 . 서울: 갈무리(Lefebvre, H. 1992. Eléments de rythmanalyse: Introduction à la connaissance des rythmes. Editions Syllepse).
정 욜. 2011. 브라보 게이라이프 . 서울: 나름북스.
정윤희. 2009. 「사진과 퍼포먼스에 나타난 ‘젠더 트러블’: 복장 도착과 양성적 이미지의 젠더 전복적 의미와 수행성」. ≪카프카연구≫ 22권, 335~360쪽.
조일은. 2003. 「[indie. Scope] “오늘만큼은 지금을 살아라!”-퀴어문화축제 무지개2003 그들을 말한다」. ≪독립영화≫ 18호, 14~19쪽.
조현순. 2001.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 패러디, 수행성, 복종, 우울증을중심으로」. ≪영미문학페미니즘≫ 9권 1호, 179~207쪽.
조현준 역. 2008. 젠더 트러블;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 파주: 문학동네(Judith Butler. 2006.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Routledge).
제 제. 2012. 「자주 흔들리더라도 무너지지 않고-퀴어 & 정체성에 헌신하기」. ≪삐라: 퀴어인문잡지≫ 1호, 44~68쪽.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2011. 게이컬쳐홀릭: 친절한 게이문화 안내서 . 서울: 씨네21.
한국레즈비언상담소(김현철·송정윤·이진화 공저). 2014. 「여성성소수자」. 한국여성연합 주최. 베이징+20년: Post-2015 여성운동 미래전망 만들기-젠더관점에서 본 한국 사회의 변화와 쟁점 토론회 자료집 .
황진태. 2010. 「신자유주의 도시에서 ‘도시에 대한 권리’의 실현: 해치맨 프로젝트를사례로」. ≪공간과사회≫ 제34호, 33~59쪽.
Bell, D. 2007. “Fucking Geography, again.” in Browne, K., Lim, J. and Brown, G.(eds.). Geographies of sexualities, Ashgate, pp. 81~86.
Douglas, M. 1966. “Renegotiating Gender and Sexuality in Public and Private Spaces.”in Duncan, N.(ed.). Bodyspace, London: Routledge, pp. 127~145.
Elwood, A. 2000. “Lesbian living spaces: Multiple meanings of home.” in Valentine, G.(ed.). From Nowhere to Everywhere: Lesbian Geographies, New York: Harrington Park, pp. 11~27.
Enguix, B. 2009. “Identities, Sexualities and Commemorations: Pride Parades, Public Space and Sexual Dissidence.” Anthropological Notebooks, 15(2), pp. 15~33.
Fraser, N. 1990. “Rethinking the Public Sphere: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Actually Existing Democracy.” Social Text, 25/26, pp. 56~80.
Geltmaker, T. 1992. “The Queer Nation Acts Up: Health Care, Politics, and Sexual Diversity in the County of Angels.” Environment &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10, pp. 609~650.
Halperin, D. and Traub, V.(eds.). 2010. Gay Sham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arritaworn, J. 2007. “Queer Mixed Race? Interrogating Homonormativity through Thai Interraciality.” in Browne, K. and Lim, J. and Brown, G.(eds.). Geographies of sexualities, Ashgate, pp. 101~111.
Lorimer, H. 2011. “Walking: New Forms and Spaces for Studies of Pedestrianism.” in Cresswell, T. and Merriman, P.(eds.). Goegraphies of Mobilities: Practices, Spaces, Subjects, Ashgate, pp. 19~33.
Sack, R. 1986. Human Territori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Weiss, M., D. 2008. “Gay Shame and BDSM Pride: Neoliberalism, Privacy, and Sexual Politics.” Radical History Review, 100, pp. 87~101.
Wylie, J. 2007. Landscape. London: Routledge.
기독일보. 2014.06.06. “신촌동성애반대청년연대, 퀴어 축제 반대 콘서트 개최한다,”http://goo.gl/wmSzrV.
뉴스파워. 2014.06.13. “문창극 후보자, 동성애 퍼레이드 비판,” http://goo.gl/FTYd7A.
크리스쳔투데이. 2014.06.07. “성소수자들, 서울 신촌 일대에서 퀴어문화축제 강행,”http://goo.gl/P0zlRw.
광주광역시 민주인권포털: http://www.gjhr.go.kr/
동성애문제대책위원회: http://www.cchp.kr/
대한민국 어버이연합 홈페이지: http://goo.gl/xxoABG
바른성문화를위한국민연합 홈페이지: http://www.cfms.kr/
서대문구청 홈페이지 자유게시판: http://goo.gl/RTSEqT
세계성시화운동본부 홈페이지: http://www.holycitym.org/
신촌동성애반대청년연대 페이스북: http://goo.gl/SooVmU
서울퀴어문화축제 홈페이지: http://www.kqcf.org
유튜브 방송 채널 <OPEN>, 2014.06.27, #1 빤스 게이, http://youtu.be/_D8T72jp2TA
서대문구 교통행정과. 2014.05.12. “서대문구 교통행정과-21227호.”
서대문구 교통행정과. 2014.05.27. “서대문구 교통행정과-24050호.”
무지개행동. 2013.11.20. “성소수자 차별하는 마포구청 규탄: 인권시민단체 공동기자회견 기자회견문”.
무지개행동. 2014.06.11. “성소수자와 공적 공간, “물의인가, 무리인가?” 속기록.
서울시. 2014.10.17. “서울시민인권헌장 제정 강북권역 토론회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