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날 것’으로서 공공공간과 도시의 공공성 : 반영토적 실천의 모색

editorial review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5, v.25 no.1, pp.5-11
https://doi.org/10.19097/kaser.2015.25.1.5
김동완 (서울대학교)

Abstract

keywords

참고문헌

1.

김동완. 2009. 「1960년대 광주 지방의 지역개발담론과 아래로부터 지역주의」. ≪정신문화연구≫, 32(4), 247~279쪽.

2.

김동완 2014. 「‘날 것’으로서 공공공간과 타자의 복원: 로열 페스티벌 홀을 사례로」. ≪공간과 사회≫, 49, 178~209쪽.

3.

김현철. 2015. 「도시를 퀴어화하라: 성적 반체제자와 도시공간의 공공성, 2014 신촌퀴어퍼레이드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51.

4.

박인권. 2015. 「포용도시: 개념과 한국의 경험」. ≪공간과 사회≫, 51.

5.

사이토 준이치(齋藤純一). 2009. 윤대석·류수연·윤미란 옮김. 민주적 공공성 . 서울:이음.

6.

아렌트, 한나(Arendt, Hannah). 1996. 이진우·태정호 옮김. 인간의 조건 . 서울: 한길사.

7.

아렌트, 한나. 2006. 이진우·박미애 옮김. 전체주의의 기원 2 . 파주: 한길사.

8.

제솝, 밥(Jessop, Bob). 2000. 유범상·김문귀 옮김. 전략관계적 국가이론 . 서울: 한울아카데미.

9.

한국방송공사. 2003. 「불도저 시장 ‘신기루’를 세우다: 김현옥」. <인물현대사>. 2003년 8월 29일 방영.

10.

한윤애. 2015. 「‘축제적 전유’를 통한 공공공간의 재구성: 핀란드 ‘레스토랑 데이’를사례로」. ≪공간과 사회≫, 51

11.

Hartley, John. 1992. The politics of pictures: The creation of the public in the age of popular media. London; New York: Routledge. 1992.

12.

Howell, Philip. 1993. “Public space and the public sphere: political theory and the historical geography of modernity.” Environment and Planning D, 11, pp. 303~303.

13.

Lefebvre, Henri. 1991. The production of space. translated by Donald Nicholson-Smith. Oxford, UK.: Blackwell, 1991.

14.

Mitchell, Don. 1995. “The end of public space? People’s park, definitions of the public, and democracy.”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85(1), pp. 108~133.

15.

Sennett, Richard. 1992. The fall of public man. New York; London: W.W. Norton.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