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비정부단체(NGOs)의 활동공간으로서 서울 지역 시민사회의 지형

The terrain of civil society as an activity space for th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in Seoul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5, v.25 no.1, pp.179-211
https://doi.org/10.19097/kaser.2015.25.1.179
조철민 (한일장신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비정부단체(NGOs)의 활동공간으로서 서울 지역 시민사회의 지형을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서울 지역 시민사회는 중앙·광역·기초 세 가지의구별되는 부문으로 구획된다. 중앙부문이 과도하게 발달한 반면, 저변을 이루는나머지 부문은 발달이 지체되고 있다. 특히 중앙과 기초부문을 연결하는 광역부문의 경우 매우 왜소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또한 중앙·광역·기초 세 가지 부문은 상호 단절적으로 존재하며, 각각 상이한 양상을 띠고 있다. 중앙부문의 경우다양한 비정부단체군(群)들이 형성되고 상호 경합하는 등 분화가 활성화 되면서폭발적인 성장이 이루어져 왔다. 광역부문의 경우 아직 개척되지 않은 공간에 비유될 수 있고, 오랜 시간 국민운동단체의 기초 지부들에 의해 특징지어지던 기초부문의 풍경에서는 최근 서울시의 마을 만들기 사업 등을 계기로 새로운 변화가나타나고 있다.

keywords
서울, 비정부단체, 활동공간, 시민사회 지형, 중앙·광역·기초, Seou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Activity space, Terrain of civil society, National, Regional, Local

Abstract

This empirical study aims to examine the terrain of civil society in Seoul, whereth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work in three different sectors; national,regional, and local. While the central sector has excessively developed, the othertwo sectors that make the basis of civil society remain underdeveloped. Particularly,the regional sector that links the national and the local is far left behind. Not onlybeing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but also all three sectors are diverse in features. The national sector has experienced an explosive growth, as various non-governmentalgroups formed and competed each other in this sector. Whereas, theregional sector can be described as ‘unexplored’ space and the local sector, whichhad long been characterized by the local activities of the ‘National MovementOrganization’, demonstrates new changes originated from the recent ‘CommunityBuilding Project’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keywords
서울, 비정부단체, 활동공간, 시민사회 지형, 중앙·광역·기초, Seou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Activity space, Terrain of civil society, National, Regional, Local

참고문헌

1.

국무총리실 시민사회발전위원회. 2004. 한국 시민사회 발전을 위한 청사진 .

2.

김영래. 1999. 「한국 비정부조직(NGO)의 현황과 과제」. 한국정치학회 국회학술회의발표문.

3.

김영정. 2001. 「지역 NGO 실태와 활성화 방안」. ≪지역사회학≫ 3권 1호, 257~278쪽.

4.

김태룡. 2003. 「한국의 시민사회와 지역 NGO」. ≪한국정책과학학회보≫ 7권 3호, 2~24쪽.

5.

김혁래. 1997. 「한국의 시민사회와 비정부단체(NGO) 연구: 현황 및 발전전략」. ≪동서연구≫ 9권 2호, 37~68쪽.

6.

김희경. 2014. 서울시 여성NGO 현황분석 및 성장생태계 조성방안 .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7.

박상필. 2011. NGO학: 자율·참여·연대의 동학 . 아르케.

8.

박상필. 2013. 서울시 풀뿌리 NGO . 서울특별시청.

9.

박상필. 2014a. 「광주시의 시민운동역량 분석」. ≪동서연구≫ 26권 3호, 55~82쪽.

10.

박상필. 2014b. 「한국 시민사회의 현황파악을 위한 연구모델 개발」. ≪기억과전망≫29권, 469쪽.

11.

박상필·이민창. 2013. 「광주지역의 시민운동 역량 측정」. ≪시민사회와 NGO≫ 11권1호, 33~64쪽.

12.

박인권·이선영. 2012. 「서울의 저항과 대안의 공간 및 운동 변화 분석」. ≪공간과사회≫ 22권 4호, 5~50쪽.

13.

박태규. 2000. 「한국의 비영리부문의 경제적 규모추계」. 한국비영리학회 창립총회발표 논문.

14.

서울시민연대·서울풀시넷. 2012. 2012 서울지역 풀뿌리단체 현황조사 보고서 . 서울특별시청.

15.

서울특별시. 2014. 2013 서울시 마을공동체 백서: 서울·삶·사람 .

16.

송재봉. 2013. 「NGO 현황 및 실태조사 보고서」. 충북NGO센터.

17.

시민운동정보센터 편집부. 2012a. 2012 한국민간단체총람 . 시민운동정보센터.

18.

시민운동정보센터 편집부. 2012b. 한국시민사회연감 2012 . 시민운동정보센터.

19.

신동준·김광수·김재온. 2005. 「한국 시민단체의 성장에 대한 연구」. ≪조사연구≫ 6권 2호, 75~101쪽.

20.

에드워즈. 서유경 역. 2004. 시민사회: 이론과 역사, 그리고 대안적 재구성 . 동아시아.

21.

윤상철. 2005. 「1990년대 한국 사회운동: 분립과 중앙집중성」. ≪경제와 사회≫ 제66호, 39~71쪽.

22.

이나미. 2004. 「한국의 보수단체의 이념적 분화」. ≪시민사회와 NGO≫ 2권 2호, 149~150쪽.

23.

이남주·권혁태·박상필·박윤철·박은홍·손혁재·조경란·조효제·차명제. 2005. 아시아의 시민사회(II): 현재와 전망 . 아르케.

24.

장수찬. 2013. 충남도 시민사회 기초조사 보고서 . 충청남도청.

25.

정민수·조병희·이성천. 2007. 「지역사회 자발적 결사체의 연결망과 지역사회 역량」. ≪보건행정학회지≫ 17권 4호, 54~81쪽.

26.

조명래. 2001. 「도시 시민사회의 이해」. ≪공간과 사회≫ 16호, 149~184쪽.

27.

조철민. 2014. 「YMCA, 흥사단, YWCA의 활동을 통해본 시민운동 행위양식의 형성과 변화의 궤적(1981~2010)」. 성공회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조희연. 2000. 「한국 시민사회단체(NGO)의 역사, 현황과 전망」. 김동춘. NGO란 무엇인가 . 아르케. 127~156쪽.

29.

조희연. 2004.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 아르케.

30.

주성수. 2006. 한국 시민사회지표: CIVICUS 국제공동연구 한국보고서 . 아르케.

31.

차명제. 2014. 「시민운동지표(CAI)로 분석한 전라북도와 광주광역시의 NGO 역량 평가」. ≪담론 201≫ 17권 1호, 209~244쪽.

32.

토크빌. 임효선·박지동 역. 1997. 미국의 민주주의 I . 한길사.

33.

Anheier, H. 2004. Civil Society: Measurement, Evaluation. Policy. Earthscan.

34.

Foley, M. and Edwards, B. 1996. “The Paradox of Civil Society.” Journal of Democracy 7(3), pp. 38~52.

35.

Klandermans, B. 1993.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omparison of social movement Participation.” Sociololgical Forum 8(3), pp. 383~401.

36.

O’connell, B. 1994. People power: service, advocacy, empowerment. Foundation Center.

37.

Salamon, L. and Anheier, H. and List, R. and Toepler, S. and Sokolowski, S. W. 1999. Global Civil Society: Dimensions of the Nonprofit Sector.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8.

Salamon, L. and Anheier, H. 1997. “Toward a common definition.” Salamon and Anheier. Defining the Nonprofit Secto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9.

Salamon, L. and Sokolowski, S. W. and List, R. 2004. “Global Civil Society: An Overview.”Salamon et al. Global Civil Society: Dimension of the Nonprofit sector, Vol. 2, Kumarian. pp. 3~60.

40.

Skocpol, Teda. 1999. “Making sense of the civic engagement debate.” Skocpol, T. and Fiorina. M.(Eds.) Civic engangement in American democracy, Brookings Institution Press, pp. 1~23.

41.

Woolvin, M. 2012. “Mapping the third sector in rural scotland: an initial review of the literature.” Scottish Government Social Research(http://www.scotland.gov.uk/socialresearch).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