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이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세계보건기구(2009)의 발표에 따라, 현재의 폭염대응정책이 저소득 노인계층에게 효과적으로도달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폭염정책의 집행자와 정책 대상자를 심층 면담하였고, 이를 통해 정책 대상자들이 경험하는 정책의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된다. 조사결과 폭염의 예‧경보시스템과 현 폭염대응 정책의 한계, 정책집행단계에서의 서비스 대상 축소와전달체계 선상에서의 관리문제, 무더위쉼터의 심리적 접근성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현재 지자체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단기간의 폭염대응정책상에서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사회적 연결망, 주거복지, 독거노인 건강관리 등과 같은 복지 차원에서 폭염대응정책을 포함하는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heatwave managementplan especially focused on the low-income aged people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to improve current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As a research method,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result, policy targetgroup for heatwave management plan has been reduced in implementation andwarning or safety call was not delivered effectively within networking system. Moreover cooling center has psychological accessibility problem. This study showsthat short-term heatwave management plan has limits to address the vulnerabilitiesof the low-income aged people. To response these problems, therefore, heatwavemanagement plan needs to be combined with comprehensive welfare policy.
국민안전처. 2015. 「재난안전종합상황 분석 및 전망 보고서」.
관악구. 2015. 「무더위 쉼터 현장점검표」.
김은영·전성우·이정원·박용하·이동근. 2012. 「서울시 기후변화영향평가 및 적응대책수립: 폭염 영향을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제21권 제1호, 71~80쪽.
김지영·김정옥·유기윤. 2007. 「우리나라 폭염종합대책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외국사례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7 no.2, 25~33쪽.
김진욱. 2008. 「폭염재난에 대응하는 Cooling Center 시설 및 운영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8 no.4, 17~22쪽.
김 호. 2014. 「기후변화 건강영향」. 서울대 TOSS 강연자료.
명수정. 2009. 「도시지역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열섬현상 완화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서울시. 2014. 「2014년 폭염종합대책 추진결과보고」.
서울시. 2015. 「무더위쉼터 지정·운영 관리 지침」.
윤소연·윤동근. 2015. 「2015년 폭염피해 예방 및 저감대책 방안」. ≪한국방재학회지≫ 15권 4호, 42~50쪽.
최광용. 2010. 「지난 100년 동안 서울시에 발생한 강한 열파 패턴과 노인사망자에미치는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제45권 제5호.
하종식. 2012. 「하절기 기온상승으로 인한 사망의 기여부담 변화」.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38권 제6호
하종식·정휘철·이정호·김동현·최지혜. 2014. 「기후변화 폭염대응을 위한 중장기적적응대책 수립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홍미령·고양곤·배성권. 2006. 「독거노인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복지서비스 기초조사」. 보건복지부.
Blaikie, P., T. Cannon, I. Davis, and B. Wisner. 1994. “At Risk: Natural Hazards, People’s Vulnerability, and Disasters.” London: Routledge.
Dianneetal. 2011. “Heatwave Early Warning Systems and Adaptation Advice to Reduce Human Health Consequences of Heatwaves.” Int JEnviron Res Public Health. Dec2011; 8(12), pp. 4623~4648.
Fussel and Hans-Martin. 2007. “Vulnerability: A General Application Conceptual Framework for Climate Change Reasearch.”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7(2), pp. 155~167.
Heatwave plan for England. 2013. Public Health England.
IPCC. 2007. “Summary for Policymakers in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Working Group Ⅱ.
Kaiser et al., 2007. “An ecological time-series study of heat-related mortality in three European cities.” Am J Public Health 97(1), S158~S162.
Klinenberg, Eric. 2003. HeatWave: A Social Autopsy of Disaster i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Kosatsky, T. 2005. “The 2003 heat wave European heat wave.” Euro Surveil, 10(7), pp. 148~149.
Luber and McGeehin. 2008. “Climate Change and Extreme heat events.” Am J Pre Med, 35(5), pp. 429~435.
O’Neil, M. S. 2003. “Air conditioning and heat-related health effects.” App Environ Sci Publ Health, 1(1), pp. 9~12.
WHO. 2009. Protecting Health from Climate Change.
W. Neil Adger and P. Mick Kelly. 1999. “Social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the Architecture of Entitlements.”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Global Change September 1999, Volume 4, Issue 3, pp. 253~266.
미국기상청 홈페이지, http://www.nws.noaa.gov/om/heat/ww.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