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아시아의 근대성과 도시 : 한국 도시경험을 중심으로

The Modernity of Asia and City: the Korean Urban Experience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5, v.25 no.4, pp.266-318
https://doi.org/10.19097/kaser.2015.25.4.266
조명래 (단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아시아의 진정한 근대성을 사유하게 되는 시대의 도래 속에서 삶의 터전으로서 도시가 어떻게 재편되고 있는 지를 한국의 도시화 경험을 중심으로 사색하면서 아시아란 정체성의 외연이 확장된 시공간 속에 새롭게 설정되는 삶의재주체화 문제를 고민해 보고자 한다. 글은 먼저 근대성의 보편가치와 특수가치,성찰성의 문제, 근대성의 표현으로서 공간환경의 문제들을 개관하고, 나아가 탈근대 시대 아시아의 근대성을 ‘혼융적 근대성과 재현적 근대성’이란 개념으로 검토한 뒤, 이의 공간환경적 재현 문제를 한국의 도시화 경험을 사례로 검토하는 순서로 전개된다. 결론에서는 탈근대 시대 아시아란 공간의 의미를 되새겨보되, 이는 앞으로의 논의를 위한 함의로만 제시된다.

keywords
계몽주의, 근대성, 아시아적 근대성, 식민지 근대성, 도시적 근대성, 재현적 근대성, the Enlightenment, modernity, Asian modernity, colonial modernity, urban modernity, representative modernity

Abstract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Asian Urban Modernity and its reflection on theliving space like city with reference to the Korean experience of compressedurbanization. In so doing, it intends to contemplate on a new modern urban subjectsituated in the time space expansion of Asia’s identity. It begins with overviewof several conceptual issues like the ‘generic and specific’ types of modernity, reflexityof modernity, environment and space as a material expression of modernityand then moves on examining Asian modernity which is typified as ‘hybrid’ vs. ‘interpretive’. Korea city’s modernity and its spatial representation are subject toclose examination as a way of revealing the above conceptual issues. The paper concludeswith drawing attention to the shaping of Asian space in an era ofglobalization.

keywords
계몽주의, 근대성, 아시아적 근대성, 식민지 근대성, 도시적 근대성, 재현적 근대성, the Enlightenment, modernity, Asian modernity, colonial modernity, urban modernity, representative modernity

참고문헌

1.

강내희. 1995. 공간, 육체, 권력 . 문화과학사.

2.

강만길. 1978. 분단시대의 역사인식 . 서울: 창작과 비평사.

3.

강정인. 2003.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 . 서울: 아키반.

4.

김경일. 1998. 「동아시아와 세계체제이론」. ≪정신문화연구≫, 제21권 제1호, 27∼45쪽.

5.

김광억. 1998. 「동아시아 담론의 문화적 의미」.≪정신문화연구≫, 제21권 제1호, 3∼25쪽.

6.

김성기. 1994. 「세기말의 모너니티」. 김성기 외 공저.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 서울: 민음사.

7.

고미숙. 2001. 「동아시아 근대(성) 형성, 그 차이와 반복」. ≪모색≫, 창간호, 1∼9쪽.

8.

고석규. 2005. 「목포 도시공간에 나타난 제국-식민지 관계」(미출간 보고서).

9.

고재광. 2001. 「동아시아 담론의 정치적 함의: 신보수주의와의 친화성을 중심으로」. ≪동향과 전망≫, 제48호, 114∼131쪽.

10.

고영근. 1999. 「아시아적 가치의 혼란과 동아시아 경제위기」. ≪21세기 정치학회보≫, 제9집 제2호, 1∼20쪽.

11.

기든스 지음. 김미숙 외 옮김. 2003. 현대사회학 . 서울: 을유문화사.

12.

데이비드 하비 지음. 김병화 옮김. 2005. 모더니티 수도, 파리 . 서울: 생각의나무.

13.

박광주. 2005. 「아시아 공동체, 현실인가 신화인가?」(http://cafe.naver.com/gaury/19900).

14.

박동천. 2002. 「정보화와 아시아적 가치」.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한국정치외교사학회 주관 <정부화, 세계화와 동아문명> 세미나 발표논문(2002.10.25).

15.

서윤‧정연. 2005. 「식민지 근대의 이중성: 1930년대 식민지체계의 동양주의의 배치와 작동방식을 중심으로」(http://cafe.naver.com/gaury/15594).

16.

손정목. 1982. 한국 개항기 도시변화과정 연구 . 서울: 일지사.

17.

손정목. 1996. 일제강점기 도시화 과정연구 . 서울: 일지사.

18.

송도영. 2001. 「식민지화와 도시공간의 근대적 재편성」. ≪한국문화인류학≫, 제34집1호.

19.

쑨거 지음. 백영서 외 옮김. 2003. 아시아라는 사유공간 . 서울: 창비.

20.

르페브르 지음. 양영란 옮김. 2011. 공간의 생산 . 서울: 에코.

21.

메리필드 지음. 남청수 외 옮김. 2005. 매혹의 도시, 마르크스주의를 만나다 . 서울:시울.

22.

월러스타인 지음. 이수훈 옮김. 1996. 사회과학의 개방 . 서울: 당대.

23.

염복규. 2004. 「식민지 근대의 공간형성」. ≪문화과학≫, 제39호, 197∼219쪽.

24.

유임하. 1997. 「근대/근대성의 문학연구 과제와 그 전망」. ≪동악어문집≫, 제32집, 487∼514쪽.

25.

이성환. 1994. 「근대와 탈근대」. 김성기외 공저.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 서울: 민음사.

26.

임정택. 1994. 「계몽의 근대성」. 김성기외 공저.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 서울: 민음사.

27.

임춘성. 2002. 「동아시아문학론의 비판적 검토」. ≪중국어문학≫, 제39집, 45∼67쪽.

28.

임현진. 1996. 「사회과학에서 근대성 논의: 근대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역사연구소 편.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비판 . 서울: 역사비평사.

29.

윤평중. 1992.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과 포스트마르크스주의 . 서울: 서광사.

30.

장시기. 2002. 「동아시아의 근대형성과 전지구적 탈근대: 루쉰과 나쓰메 소세키 문학의 노마돌로지」. ≪영미문학≫, 제2권 제1호.

31.

정종현. 2005. 「동아시아’ 담론의 문제와 가능성」. ≪상허학보≫, 제9집, 39∼69쪽.

32.

조명래. 1999. 포스트포디즘과 현대사회 위기 . 서울: 다락방.

33.

조명래. 2000a. 「지구화와 국민국가체제의 위기에 관한 재성찰」. 학술단체협의회 편. 전환기시대의 한국 사회 . 서울: 세명서관.

34.

조명래. 2000b. 「20세기 근대화 속의 서울지방자치」. ≪향토≫ 제60호, 85∼126쪽.

35.

조명래. 2001a. 「도시, 갈등, 시민성」. ≪한국 사회≫, 제4집, 31∼82쪽.

36.

조명래. 2001b. 「근대성과 도시」. 참여연대 참여사회아카데미 엮음. 20세기 한국을돌아보며 . 서울: 한울.

37.

조명래. 2001. 「동아시아의 초국경적 네트워크와 거버넌스」. ≪공간과 사회≫, 통권15호, 101∼139쪽.

38.

조명래. 2002a. 「탈근대의 공간성: 공간정치경제학적 이해」. 이론과 실천 모임 엮음. 국토와 환경 . 서울: 한울.

39.

조명래. 2002b. 「지구화, 경제위기, 그리고 발전국가의 성격전환」. 김대환‧조희연 편. 동아시아의 경제변화와 국가의 역할전환 . 서울: 한울.

40.

조명래. 2002c. 「지구화, 탈조절화, 탈국가화」. 김대환‧조희연 편. 동아시아의 경제변화와 국가의 역할전환 . 서울: 한울.

41.

조명래. 2002d. 현대사회의 도시론 . 서울: 한울.

42.

조명래. 2003a. 「사회과학의 등장배경으로서 계몽주의의 재조명」. ≪공간과 사회≫, 제18호, 161∼179쪽.

43.

조명래. 2003b. 「지역사회에의 도전: 도시공동체운동의 등장과 활성화」. 한국도시연구소 편. 도시공동체론 . 서울: 박영사.

44.

조명래. 2004a. 「도시화의 흐름과 전망」. ≪경제와 사회≫, 제60호, 10∼39쪽.

45.

조명래. 2004b. 「새로운 시간과 공간의 생태학」. ≪환경과 생명≫, 통권 제40호, 28∼47쪽.

46.

조명래. 2004c. 「한국성과 도시」. 순천시 주관 <순천 문화도시 만들기 전략>에 관한 세미나 발제논문.

47.

조명래. 2006. 개발정치와 녹색진보 . 서울: 환경과 생명.

48.

조명래. 2011. 「한국의 도시현실과 도시지식」. 정인하 외. 건축·도시·조경의 지식지형 . 서울: 나무도시.

49.

조명래. 2013. 공간으로 사회읽기 . 서울: 한울.

50.

조명래. 2014. 「국제도시 서울의 두 얼굴」. ≪나.들≫, 제20호(6월)(http://na-dle.hani. co.kr/arti/issue/761.html).

51.

조명래. 2015. 「도시재생으로 서울역 고가도로 공원화 사업의 검토-재생방법론의 관점에서」. ≪환경논총≫, 제56권, 4∼19쪽.

52.

존 어리 지음. 윤여일 옮김. 2012. 사회를 넘어선 사회학 . 서울: 휴머니스트.

53.

최병태‧예지숙. 2009. 경성리포트 . 서울: 시공사.

54.

히야마 하시오. 정선태 역. 2000. 동양적 근대의 창출 . 서울: 소명출판.

55.

Beck, U. 1992. Risk Society: Towards a New Modernity. London: Sage.

56.

Beck, U., A. Giddens and S. Lash. 1994. Reflexive Modernization. Oxford: Polity Press.

57.

Castells, M. 1996.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London: Blackwell.

58.

Castells, M. 1997. The Rise of Network Society. Oxford: Blackwell.

59.

Cho, M. R. 1999. “Flexible sociality and the postmodernity of Seoul.” Korea Journal, vol. 39.

60.

Cho, M. R. 2002a. “The East Asian bloc in the making?.” in Green Drover. et.al. (eds.). Regionalism and Subregionalism in East Asia. New York: Nova.

61.

Cho, M. R. 2002b. “Civic spaces in urban Korea: the spatial enrichment of civil society.”International Development Planning Review, vol. 24 no. 4, pp. 419~432.

62.

Cho, M. R. 2013. “From convivial vernacular neighborhoods to a global vernacular city: the case of Seoul,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eritage Activism for Vernacular City in Asia, held in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17-19 July, 2014.

63.

Cho, M. R. 2015. “Progressive city in the making?: the Seoul experience.”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Making a Progressive City: Seoul’s Experience and Beyond, organized by the Seoul Institute, held in Seoul, Korea, 15-16 October, 2015.

64.

Crook, S. et. al. 1992. Postmodernization: Change in Advanced Society. London: Sage.

65.

Douglass, M. 2008. “Globopolis or cosmopolis?-alternative futures of city life in East Asia.” paper presented at the 5th East Asian Regional Conferences in Alternative Geography (EARCAG), 13-16 December 2008, Seoul, Korea.

66.

Douglass, M. 2015. “The rise of progressive cities for human and planetary flourishing-a global perspective on Asia’s urban transition.”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Making a Progressive City: Seoul’s Experience and Beyond, organized by the Seoul Institute, held in Seoul, Korea, 15-16 October, 2015.

67.

Durkheim, E. 1933. The Division of Labour in Society. Toronto: Macmillan.

68.

Friedland, R. and D. Borden. 1994. “Nowhere: an Introduction to Space, Time and Modernity.” in Friedland, R. and D. Borden (eds.). Nowhere: Space, Time and Modernit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9.

Giddens, A.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70.

Hall, S. 1992. Introduction, in Hall, S. and B. Geiben. (eds.). Formations of Modernity. Oxford: the Open University.

71.

Hamiliton, P. 1992. “The enlightenment and the birth of social science.” in Hall, S. and B. Geiben, eds. Formations of Modernity. Oxford: the Open University.

72.

Harvey, D. 1989.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Oxford: Blackwell.

73.

Henry, T. A. 2014. Assimilating Seoul.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4.

Hilton, R. J. 1986. Cities, Capitalism and Civilization. London: Allen & Unwin.

75.

Healey, P. et. al. (eds.). 1995. Managing Cities: the New Urban Context. New York: John Wiley & Sons.

76.

Knox, P. L. 1993. “Capital, material culture and socio-spatial differentiation.” in Paul L. Knox, ed. The Restless Urban Landscape. New Jersey: Prentice Hall.

77.

Kumar, K. 1995. From Post-Industrial to Post-Modern Society. Oxford: Blackwell.

78.

Lash, S. 1992. “Berlin’s second modernity.” in Paul L. Knox (ed.). The Restless Urban Landscape. New Jersey: Prentice Hall.

79.

Lash, S. and J. Urry. 1994. Economies of Sign and Space. London: Sage.

80.

Lyotard, J-F. 1989. “Answering questions: what is postmodernity?” in The Postmodern Condition. tr. by G. Bennington & B. Massumi, Minnesota: The University Minnosota Press.

81.

Lyotard, J-F. 1991. The Inhuman. tr. by B. Bennington & R. Bowlby. Oxford: Polity Press.

82.

Marx, K. 1973. Grundrisse. London: Penguin.

83.

McLennan, G. 1995. “After postmodernism - back to sociological theory.” Sociology, vol. 29, no. 1.

84.

Rabinow, P. 1994. “On the archaeology of late modernity.” in Friedland, R. and D. Borden (eds.). Nowhere: Space, Time and Modernit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5.

Saunders, P. 1983. Social Theory and the Urban Question. London: Unwin.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