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급격한 상업화 이면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고질적인 문제들에 대해 정부는지역공동체 상호협력 등을 기조로 정책 대안을 마련 중에 있다. 본 연구는 정책도구로 활용하고자 하는 상인들의 공동체에 중점을 두어, Arnstein의 ‘주민참여사다리’를 바탕으로 젠트리피케이션 과정별로 나타나는 상인 공동체의 참여 수준을 고찰했다. 경리단길, 신사동 가로수길, 압구정로데오거리의 상인 공동체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젠트리피케이션 초기에 형성된 주민자율 단계의 공동체가 활성화 이후 명목적 참여 단계의 공동체로 대체되는 현상을 확인했다. 이미 젠트리피케이션을 겪은 지역에서는 참여 단계가 복합적으로 관찰되었으며(압구정로데오거리), 성숙기에는 명목적 참여 단계를(가로수길),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되는 지역에서는 주민자율 단계와 비참여 단계(경리단길 및 보석길)가 공존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방안에동태적으로 변화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착안해서 시기별로 적용 가능한 대안을 보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가 신자유주의적 입장에서 참여형 거버넌스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상업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정책대안 도출의 근거가 될 것을 기대해본다.
김두환 외. 2007. 「일반 논문: 도시개발과정에서 주민참여를 통한 이해갈등조정」. ≪시민사회와 NGO≫ 5(1), 241~269쪽.
김소연. 2009. 「강남구 청담·압구정 패션특구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찬호. 2000. 「일본의 도시화 과정에서 마을만들기의 전개와 주민 참여」. ≪도시행정학보≫ 13(1), 95~115쪽.
박규아. 2014. 「도시재생에서 문화예술 지역공동체 역할에 관한 연구-창신동 사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수현. 2013.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구도심재생 활성화에 관한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중진·정지혜. 2013.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한 마을만들기의 역할과 과제-수원화성과 행궁동 사람들의 도전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36(4), 59~96쪽.
오성훈·남궁지희. 2011. 『보행도시: 좋은 보행환경의 12가지 조건』. 도시건축공간연구소.
윤형호·인규리. 2012. 『서울시 사업진흥지구(BID)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상훈·신근창·양승우. 2011. 「상업가로로서 신사동 가로수길의 형성과정 및 활성화요인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2(6), 77~88쪽.
이승훈·김희철·안건혁. 2013. 「창작클러스터 내 네트워크 수준과 그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3), 29~44쪽.
이양희. 2009. 「신사동 ‘가로수길’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재성. 2003. 「지방자치단체의 온라인 주민참여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6(2), 127~155쪽.
정세욱. 1998. 『지방행정학』. 법문사.
허자연. 2015. 「서울시 상업가로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허자연 외. 2015. 「상업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사업자 변화에 관한 연구:경리단길 사례」. ≪서울도시연구≫ 16(2), 19~33쪽.
홍경구. 2013. 「가로활성화사업에서 거주자의 참여집단별 만족도 및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3), 85~98쪽.
Arnstein, S. R. 1969.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5(4), pp. 216~224.
Beauregard, R. A. 1986. “The chaos and complexity of gentrification.” Gentrification of the City, pp. 35~55.
Clark, E. 1995. “The rent gap re-examined.” Urban Studies, 32(9), pp. 1489~1503.
Glass, R. 1964. London: Aspects of change. London: in MacGibbon and Kee. centre for Urban Studies.
Hammel, D. 1999. “Re-establishing the rent gap: an alternative view of capitalized land rent.” Urban Studies, 36(8), pp. 1283~1293.
Kerstein, R. 1990. “Stage models of gentrification An examination.” Urban Affairs Review, 25(4), pp. 620~639.
Lees, L. 1994. “Gentrification in London and New York: an Atlantic gap?” Housing Studies, 9(2), pp. 199~217.
Ley, D. 1986. “Alternative Explanations for Inner-City Gentrification: A Canadian Assessment.”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76(4), pp. 521~535.
Shin, H. B. and S. H. Kim. 2015. “The developmental state, speculative urbanisation and the politics of displacement in gentrifying Seoul.” Urban Studies, 53(2), pp. 1~20.
Smith, N. 1979. “Toward a theory of gentrification a back to the city movement by capital, not peopl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45(4), pp. 538~548.
Zukin, S. 1987. “Gentrification: culture and capital in the urban core.” Annual review of sociology, 13, pp. 129~147.
Zukin, S. 2010. Naked city: The death and life of authentic urban places. Oxford University Press, USA.
Zukin, S. et al. 2015. Global Cities, Local Streets. New York: Routledge.
(사)압구정로데오(http://www.rodeost.co.kr/)
강남구 향토문화전자대전(http://gangnam.grandcultur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