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2000년대 이후, 일본의 국가 스케일 재편과 특구 전략

State Rescaling and Zoning Strategies in Japan since the 2000s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6, v.26 no.2, pp.10-43
https://doi.org/10.19097/kaser.2016.26.2.10
김은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박배균 (서울대학교)

초록

이 논문은 2000년대 이후 약 15년간 전개된 일본 특구 전략의 변화를 국가의스케일 재편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했다. 전후 일본은 공간적 케인스주의에 기반을둔 균형발전 전략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장기불황 이후 일본 정부는 예외적 공간을 만드는 특구 전략을 활용해서, 구조개혁과 규제완화, 그리고 경기부양을 추진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 고이즈미 정권은 구조개혁특구와 도시재생특별지구를 도입했다. 2000년대 후반 민주당 정권은 국제화와 지역활성화를 위한 총합특구 제도를 강화했고, ‘새로운 공공’정책과 동일본대지진의 피해로부터 벗어나 부흥하기 위해 부흥특구도 추진했다. 한편, 아베노믹스는 대도시 중심의 국가전략특구를 중심에 놓았으나, 강한 비판에 부딪쳐 지방창생특구를 추가하게 되었다. 일본의 특구 전략과 TPP의 통상교섭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지역적 불균형 해소를 위한 대안적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

keywords
아베노믹스, 구조개혁특구, 도시재생특별지구, 총합특구, 국가전략특구, Abenomics, Special Districts for Urban Regeneration, Special Zones for Structural Reform, Comprehensive Special Zones,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s

Abstract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cesses of state rescaling in Japan by focusingon the changes of special zone strategies since 2000s. The balanced developmentstrategy had been dominant policy over postwar Japan. However, the governmenthas used the special zone strategies by developing various kinds of ‘spaces of exception’after long recession, thereby promoting the spatial fix for resolving thederegulation, structure reform issues, and stimulative economic policy. The Koizumigovernment launched the “Special Zones for the Structural Reform” and enactedthe ‘Special Districts for Urban Regeneration’ early in the 2000s. The DemocraticParty Government (Minshutō) reinforced the ‘Comprehensive Special Zones’ for internationalizationand local revitalization. And the government declared the “NewPublic Commons” and promoted the ‘Special Zone for Reconstruction’ in the disasterareas. Whereas Abenomics emphasized the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s’for the metropolitan areas, it complemented the local revitalization zones understrong criticism. It is necessary that government should draw up the ‘AlternativePolicy for Regional Disparity’, rising concern over the linkage between special zonesstrategies and US-Japan trade negotiations.

keywords
아베노믹스, 구조개혁특구, 도시재생특별지구, 총합특구, 국가전략특구, Abenomics, Special Districts for Urban Regeneration, Special Zones for Structural Reform, Comprehensive Special Zones,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s

참고문헌

1.

강윤수·김영종. 2014. 「일본의 특구정책 비교분석: 3가지 유형의 특구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6(4), 931~950쪽.

2.

김규판. 2015. 『저성장시대 일본 정부의 규제개혁에 관한 연구(연구보고서 15-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3.

김순은. 2005. 「우리나라 지역특화발전특구제도와 일본 구조개혁특구제도의 비교분석」. ≪지방행정연구≫ 19(1), 159~186쪽.

4.

김영근. 2014. 「아베노믹스의 정치경제학: 미일 통상교섭과 일본의 구조개혁을 중심으로」. ≪일본학보≫ 98, 395~415쪽.

5.

김은혜. 2013. 「성장연합과 경관을 통해 본 도쿄 임해부도심 개발: 1980~2000년대」. 서울대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6.

김은혜. 2015. 「전후 일본 발전국가의 구조전환: 토건국가에서 신자유주의까지」. ≪일본학보≫ 105, 77~90쪽.

7.

김종걸·전영수. 2016. 「지역발전: 일본의 경험과 한국에의 제안」. ≪일본학보≫ 106, 17~31쪽.

8.

마스다 히로야(増田寛也編) 엮음. 2015(2014). 『지방소멸: 인구감소로 연쇄 붕괴하는도시와 지방의 생존전략』. 김정환 옮김. 와이즈베리.

9.

매코맥, 게번(G. McCormack, G). 1998(1996). 『일본, 허울뿐인 풍요: 제로성장 사회를향하여』. 한경구 외 옮김. 창작과 비평사.

10.

박배균. 2014a. 「2장 지역균형과 국가공간」. 『국가와 지역: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한국의 지역』, 54~94쪽.

11.

박배균. 2014b. 「5장 한국형 토건국가의 출현」. 『국가와 지역: 다중스케일 관점에서본 한국의 지역』, 168~197쪽.

12.

박세훈. 2004. 「일본의 도시재생정책: 발전국가의 구조변화와 도시개발정책」. ≪대한국토계획학회지≫ 39(2), 21~33쪽.

13.

소순창. 2011. 「일본의 신자유주의적 ‘구조개혁특구제도’」. ≪한국지방자치학회보≫23(2), 237~261쪽.

14.

야하기 히로시(矢作弘). 2009. 2013. 『도시축소의 시대』. 서금홍 외 옮김. 기문당.

15.

와타나베 오사무(渡辺治編) 엮음. 2010. 『기로에 선 일본: 민주당 정권 신자유주의인가? 신복지국가인가?』. 이유철 옮김. 메이데이.

16.

이정환. 2011. 「고이즈미 정권 하의 지역개발정책개혁의 이중구조: 시장개혁과 공동체참여의 지역적 불균형」. ≪한국정치학회보≫ 45(1), 187~209쪽.

17.

이정환. 2014. 「장기불황, 구조개혁, 생활보수주의」. ≪일본비평≫ 10, 98~123쪽.

18.

이정환. 2015. 『3년 차에 들어서는 아베노믹스: 정책운용의 빛, 정책내용의 그림자』. 동아시아연구원.

19.

이홍배. 2005. 『지역특화 발전특구와 지역경제 활성화』. 잎파랑이.

20.

장철순. 2009. 「일본 구조개혁특구사업의 성과와 시사점」. ≪국토연구≫ 336, 44~50쪽.

21.

전영수. 2010. 「일본의 신자유주의 도입과정과 그 특징: 경제적 관점을 중심으로」. ≪일본연구논총≫ 32, 1~34쪽.

22.

조재욱. 2009. 「고이즈미 정권의 개혁정치와 평가」. ≪한국정치학회보≫ 43(4), 255~274쪽.

23.

Brenner, N. 2004. New State Spaces: Urban Governance and the Rescaling of Statehood. Oxford:Oxford University.

24.

Brenner, N. & Theodore, N. 2002. “Cities and the geographies of ‘actually existing neoliberalism’.”Antipode, 34(3), pp. 349~379.

25.

Calder, K. E. 1988. “Japanese Foreign Economic Policy Formation: Explaining the Reactive State.” World Politics, 40(4), pp. 517~541.

26.

Calder, K. E. 1993. Strategic Capitalism. Prins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Hayashi, M. 2013. “Times and Spaces of Homeless Regulation in Japan, 1950s~2000s:Historical and Contemporary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7, pp. 1188~1212

28.

Ide, E. & Steinmo, S. 2009. “The End of the Strong State: On the Evolution of Japanese Tax Policy.” Martin, I. W., Mehrotra, A. K., & Prasad, M. The New Fiscal Sociology:Taxation in Comparative and Historical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19~137.

29.

Johnson, C. 1982. MITI and the Japanese miracle: the growth of industrial policy: 1925~1975. Stanford University Press.

30.

Machimura, T. 2016. “Why Half the Municipal Governments Disappear Under a National Mergers Policy? Changing Local Bases in ‘Globalizing’ Japan.” Creating Social Cohesion in an Interdependent World, Palgrave Macmillan US, pp. 115~126.

31.

Martin, R. 1989. “The New Economics and Politics of Regional Restructuring: the British Experience.” Regional Policy at the Crossroads, London: Jessica Kingsley, pp. 27~51.

32.

Martin, R. & Sunley, P. 1997. “The Post-Keynesian State and the Space Economy.”Geographies of Economies, pp. 278~289.

33.

Ong, A. 2006. Neoliberalism as exception: Mutations in citizenship and sovereignty. Duke University Press.

34.

Park, B. G. 2013. “State Rescaling in Non‐Western Context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7(4), pp. 1115~1122

35.

Peck, J. & Tickell, A. 2003. “Neoliberalizing Space.” Spaces of Neoliberalism: Urban Restructuring in North America and Western Europe, Oxford: Blackwell, pp. 33~57.

36.

Sorensen, A. 2002. The Making of Urban Japan: Cities and Planning from Edo to the Twenty-First Century. London: New York: Routledge.

37.

経済同友会(경제동우회). 2012. 「4. 国家戦略特区の運営について」.

38.

経済同友会(경제동우회). 2014. 「3. 経済成長への突破口となる国家戦略特区の積極的な活用を: 「目指す姿」を国民と共有し、改革を加速する」.

39.

経済同友会(경제동우회). 2015. 「国家戦略特区を問い直す: 特区のキーワードは‘実験場’と‘失敗の容認’」.

40.

郭洋春(곽양준). 2016. 『国家戦略特区の正体: 外資に売られる日本』. 集英社.

41.

奈須りえ(나스 리에). 2014. 「第2章 国家戦略特区とは何か」. アジア太平洋資料センター編. 『徹底解剖国家戦略特区: 私たちの暮らしはどうなる?』, コモンズ, 21~44.

42.

大西隆(오니시 다카시). 2011. 「都市再生特別措置法の成果と課題(特集 都市再生特別措置法の成果と課題)」. ≪地域開発≫ 562, 2~5쪽.

43.

渡嘉敷美乃(도카시키 요시노). 2016. 「国家戦略特区の概要と論点(2016/03/10)」. ≪調査と情報≫ 897(1), 1~14쪽.

44.

山本匡毅(야마모토 마사키). 2008. 「構造改革特区の展開と政策過程: 自治体の政策形成力」. ≪宇都宮共和大学都市経済研究年報≫ 8, 97~108쪽.

45.

山上徹(야마가미 도오루). 2004. 「日本の構造改革特區と首都圈港灣經營の課題」. ≪국제상학≫ 19(1), 69~83쪽.

46.

矢作弘(야하기 히로시). 2011. 「特集にあたって(特集 都市再生特別措置法の成果と課題)」. ≪地域開発≫ 562, 1쪽.

47.

野口和雄(노구치 가즈오). 2011. 「都市再生特別措置法と都市計画 (特集 都市再生特別措置法の成果と課題)」. ≪地域開発≫ 562, 19~22쪽.

48.

若生幸也(와카오 다츠야). 2013. 「特区制度における規制改革の課題と展望: 構造改革特区を事例に」. ≪年報公共政策学≫ 7, 255~273쪽.

49.

原田大樹(하라다 히로키). 2012. 「震災復興の法技術としての復興特区」. ≪社会科学研究≫ 64(1), 174~191쪽.

50.

伊藤白(이토 마시로). 2011. 「総合特区構想の概要と論点-諸外国の経済特区·構造改革特区との比較から」. ≪調査と情報≫ 698, 1~12쪽.

51.

二木洋子·矢作弘(후타키 요코·야하기 히로시). 2011. 「都市再生特別地区の進捗状況と都市計画等の特例について(特集 都市再生特別措置法の成果と課題)」. ≪地域開発≫ 562, 10~14쪽.

52.

町村敬志(마치무라 다카시). 2015. 「リスケーリングの視点から統治の再編を考える」. ≪学術の動向≫ 20(3), 73~79쪽.

53.

齊藤麻人(사이토 아사토). 2013. 「リスケーリング戦略としての東京の都心回帰(特集 都心回帰)」. ≪地域開発≫ 582, 5~9쪽.

54.

斉藤淳(사이토 쥰). 2020. 『自民党長期政権の政治経済学: 利益誘導政治の自己矛盾』. 勁草書房.

55.

中澤秀雄(나카자와 히데오). 2014. 「「均衡ある発展」という建前の崩壊」. 大熊英二編. 『平成史(増補新版)』. 河出書房新社. 217~266쪽.

56.

八代尚宏(야시로 나오히로). 2003. 『規制改革「法と経済学」からの提言』. 有斐閣.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