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닐 스미스와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한국

Neil Smith, Gentrification, and South Korea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6, v.26 no.2, pp.209-234
https://doi.org/10.19097/kaser.2016.26.2.209
이선영 (킹스칼리지런던)

초록

Glass의 개념 정의에 기원한 고전적 젠트리피케이션은 도심지역의 저소득층 주거지로 중간계급이 오래된 주택을 수리해 이주해옴으로써 기존의 저소득층을 대체하는 과정으로 서구에서 오랜 기간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도시의 변화가 점차복잡해지고 다양한 요소와 연결되면서, 형태와 과정면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은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되어왔다. 한국 젠트리피케이션 연구의 확장을 위해 본 연구는 서구에서 진행된 고전적 젠트리피케이션에서 현재까지의 연구 동향을 닐 스미스의 논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논의가 한국 도시 상황 설명에서 유용성을 평가한다.

keywords
젠트리피케이션, 닐 스미스(Neil Smith), 지대 격차, 불균등 개발, 이주, Gentrification, Neil smith, Rent Gap, Uneven Development, Displacement

Abstract

The concept of classic gentrification, involving the renovation of older city centreproperties, originated with Ruth Glass and has a long and well-documented historyin the West. As urban changes have become more complex and involved with variousfactors, gentrification has mutated in terms of form and process. This research aimsto help the expansion of gentrification research in Korea by reviewing the researchtrends concerning from classical gentrification to contemporary gentrification in theWest which can be applied to gentrification in Korea. It gives an account of mainlySmith’ s arguments, and also assesses the usefulness of using the concept of contemporarygentrification to explain urban changes in Korea.

keywords
젠트리피케이션, 닐 스미스(Neil Smith), 지대 격차, 불균등 개발, 이주, Gentrification, Neil smith, Rent Gap, Uneven Development, Displacement

참고문헌

1.

김 걸. 1999. 「젠트리피케이션의 쟁점과 전망-서울 동소문 재개발구역의 사례」. 고려대학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

김규원. 2014. 「도시의 바이러스로서 예술가:도시 젠트리피케이션 과정에 있어 예술가의 존재와 현상에 대한 검토」. ≪문화정책논총≫ 28(1), 112~135쪽.

3.

김동영. 2010. 「도심활성화에서 신예술가집단의 역할」. 전북대학교 문화인류학과 박사학위논문.

4.

김봉원・권니아・길지혜. 2010. 「삼청동길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상업화 특성분석」. ≪한국지역경제연구≫ 15, 83~102쪽.

5.

김필호. 2015. 「강남의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 신사동 가로수길과 방배동 사이길의사례연구」.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14, 87~123쪽.

6.

김형국. 1993.「불량촌과 재개발」. 나남.

7.

신진욱. 2011. 「국제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 주거자본주의 체제의 특성」. ≪동향과전망≫ 81, 113~156쪽.

8.

신현준. 2015. 「오래된 서울에서 진정한 도시 동네(authentic village) 만들기의 곤란:서촌/세종마을의 젠트리피케이션 혹은 복합적 장소형성」.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14, 7~41쪽.

9.

유채림. 2012. 「매력만점 철거 농성장: 유채림 펑크록」. 실천문학사.

10.

이기웅. 2015. 「젠트리피케이션 효과: 홍대지역 문화유민의 흐름과 대안적 장소의형성」.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14, 43~85쪽.

11.

이데일리. 2015.06.13. 「도시재생 이야기 ①: 집값보다는 지역문화 부흥을」.

12.

이선영・주경식. 2008. 「젠트리피케이션 과정으로서 용산 재개발 지구의 근린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3), 113~123쪽.

13.

이선영. 2014. 「젠트리피케이션, 이주, 젠트리피케이션 반대 운동」. ≪대한지리학회지≫ 49, 299~309쪽.

14.

이 찬. 2008. 「삼청동길 젠트리피케이션에서 갤러리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석사학위논문.

15.

이창무・김미경・원혜진. 2013. 「뉴타운 원주민의 가구특성별 주거이동 패턴」. ≪주택연구≫ 21(3), 123~141쪽.

16.

임은선·유재윤·김걸. 2010. 「도시정비사업에 따른 원거주민의 이주패턴과 거주행태변화 분석」. ≪국토연구≫ 66, 115~131쪽.

17.

정지희. 2008. 「문화, 예술시설 입지에 기반한 서울시 삼청동길의 가치상향적 상업화」. ≪문화경제연구≫ 11, 123~157쪽.

18.

진창종. 2013. 「홍대앞 주거지의 상업화 과정 및 특성에 관한 분석: 문화주도적 젠트 리피케이션 관점에서」. 홍익대학교 도시계획학과 석사학위논문.

19.

최병현. 2012. 「서울시 도심부 재개발 공동주택의 젠트리피케이션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광운대학교 부동산학과 박사학위논문.

20.

최병현. 2015.04.21. 「건물주 ‘갑질’, 가수 싸이만의 문제일까」.

21.

황준기. 2015.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의한 장소성 변화 연구-홍대, 이태원, 신사동 지역에 대한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22.

허자연. 2015. 「서울시 상업가로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도시계획전공 박사학위논문.

23.

Ambrose, P. & Colenutt, B. 1975. The Property Machine. Harmondsworth. Penguin Books.

24.

Butler, T. 1997. Gentrification and the Middle-Classes. Aldershot, Ashgate.

25.

Cameron, S. 2003. “Gentrification, housing redifferentiation and urban regeneration:‘Going for growth’ in Newcastle Upon Tyne.” Urban Studies 40, pp. 2367~2382.

26.

Connolly, J. & Steil, J. 2009. “Introduction: Finding justice in the city.” in Marcuse, P., Connolly, J., Novy, J., Olivo, I., Potter, C. & Steil, J. (eds.) Searching for the just city: debates in urban theory and practice. London: Routledge.

27.

Davidson, M. & Lees, L. 2005. “New-build gentrification and London’s riverside renaissance.” Environment and Planning A. 37, pp. 1165~1190.

28.

Glass, R. 1964. London: Aspects of Change. London. McGibbon & Kee.

29.

Glynn, S. 2008. “Soft-selling gentrification?” Urban Research and Practice 1, pp. 164~180.

30.

Faistein, S. S. 1994. The City Builders: property, politics, and planning in London and New York. Oxford: Blackwell.

31.

Ha, S.-K. 2004. “Housing renewal and neighborhood change as a gentrification process in Seoul.” Cities 21, pp. 381~389.

32.

Ha, S.-K. 2015. “The endogenous dynamics of urban renewal and gentrification in Seoul.”in Lees L, Shin. H. Ernesto Lopez-Morales(eds). Global gentrifications: Uneven development and displacement, London: Policy Press, pp. 165~180.

33.

Hackworth, J. & Smith, N. 2001. “The changing state of gentrification.” Tijdschrift voor Economische en Sociale Geografie 92, pp. 464~477.

34.

Kim, J. 2010. Mobilizing Property-based Interests:Politics of Policy-driven Gentrification in Seoul, Korea. PhD. University of Illinois.

35.

Kyung, S. & KIM, K.-J. 2011. “State-facilitated gentrification in Seoul, South Korea: for Whom, by Whom and with What Result?” the International RC21 conference 2011. Amsterdam.

36.

Jeong Y., Heo J. and Jung C. 2015. “Behind the Bustling Street: Commercial gentrification of Gyeongridan, Seoul.”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70(27), pp. 146~154.

37.

Lee, C-M,. Lee, J-H. and Yim, C-H. 2003. “A Revenue-sharing Model of Residential Redevelopment Project: The Case of the Hapdong Redevelopment of Scheme in Seoul, Korea.” Urban Studies 40, pp. 2223~2237.

38.

Lee, S.Y. 2014. New-build Gentrification and Anti-gentrification Movements in Seoul. South Korea, Ph.D. King’s College London.

39.

Lees, L. 2013. “The urban injustices of new Labour’s New Urban Renewal: the case of the Aylesbury estate in London.” Antipode, pp. 1~27.

40.

Logan, J. R. & Molotch, H. L. 1987. Urban Fortunes: The Political Economy of Place,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1.

Mayer, M. 2013. “First world urban activism.” City 17, pp. 5~19.

42.

Mcbane, J. 2008. The rebirth of Liverpool: the Eldonian way. Liverpool: Liverpool University Press.

43.

Mollenkopf, J. 1981. “Neighbourhood political development and the politics of urban growth.”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5, pp. 15~39.

44.

Porter, E. & Shaw, K. 2009. Whose Urban Renaissance: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Urban Regeneration Policies. London. Routledge.

45.

Shin, H. B. 2009. “Property-based redevelopment and gentrification: the case of Seoul, South Korea.” Geoforum 40, pp. 906~917.

46.

Shin, H. B. & Kim, S. H. 2015. “The developmental state, speculative urbanisation and the politics of displacement in gentrifying Seoul.” Urban Studies. doi: 10.1177/0042098014565745

47.

Slater, T. 2006. “The eviction of critical perspectives from gentrification research.”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0(4), pp. 737~757.

48.

Smith, N. 1979. “Toward a theory of gentrific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45, pp. 538~548.

49.

Smith, N. 1982. “Gentrification and uneven development.” Economic Geography, pp. 139~155.

50.

Smith, N. 1992. “Contours of a Spatialised Politics: Homeless Vehicles and the Production of Geographical Scale.” Social Text 33, pp. 54~81.

51.

Smith, N. 1996. The New Urban Frontier: Gentrification and the Revanchist City. London. Routledge.

52.

Smith, N. 2002. “New Globalism, New Urbanism: Gentrification as Global Urban Strategy.”Antipode 34, pp. 427~450.

53.

Smith, N. 2008. “On The Eviction of Critical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2(1), pp. 195~197.

54.

Smith, N. 2010. Uneven Development: Nature, Capital, and the Production of Space(3rd edition). London: Verso.

55.

Thörn, H. 2012. “In Between Social Engineering and Gentrification: Urban Restructuring, Social Movements, and The Place Politics of Open Space.” Journal of Urban Affairs 34, pp. 153~168.

56.

Uitermark, J. 2009. “An in memoriam for the just city of Amsterdam.” City 13, pp. 347~361.

57.

Watt, P. 2009. “Housing stock transfers, regeneration and state-led gentrification in London.” Urban Policy and Research 27, pp. 229~242.

58.

≪경향신문≫. 2014.12.01. “힘들여 상권 키워 놨더니 임대료 올리며 나가라니요.”

59.

≪경향신문≫. 2015.04.24. “서울 주민이 만든 마을에서 주민이 떠난다 … 마을만들기의 적(敵) ‘젠트리피케이션.”

60.

≪경향신문≫. 2015.09.04. “서울 성동구의회, 전국 첫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조례’ 의결.”

61.

≪내일신문≫. 2015.09.22. “‘테이크아웃드로잉’ 강제집행 시도.”

62.

≪매일경제≫. 2015.09.11. “박원순 용산국제업무지구 같은 대형개발 안 한다.”

63.

≪매일신문≫. 2015.02.16. “젠트리피케이션 도심 상권 화려한 부활 이태원 경리단길·경복궁 일대 등 부상 …… 부작용도 존재.”

64.

≪서울신문≫. 2004.05.28. “데스크 시각 중구 살리기.”

65.

≪서울신문≫. 2006.03.17. “<이사람> 인간중심 도시 설계사 원제무 녹색교통운동 공동대표.”

66.

≪서울신문≫. 2015.09.25.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

67.

≪시사저널≫. 2015.08.27. “대기업프랜차이즈 젠트리피케이션에 내쫓기는 임차상인들.”

68.

≪오마이뉴스≫. 2014.10.29. “하나 둘 사라지는 이웃들…… 북촌 ‘괴담’, 머지않았다.”

69.

≪이코노믹 리뷰≫. 2015.06.25. “도시재생의 마법-젠트리피케이션 구도심의 반란, 한국식 젠트리피케이션”.

70.

≪프레시안≫. 2007.11.15. “생태도시를 꿈꾸는 산보자가 되어.”

71.

≪한겨레≫. 2014.11.24. “서촌에 사람과 돈이 몰려오자…… 꽃가게 송 씨·세탁소 김씨가 사라졌다.”

72.

KBS. 2015.07.08. <추적 60분: 대학로-홍대-서촌 등…… 문화가 사라져가는 도시 젠트리피케이션>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