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탈북자의 토포필리아와 사회적 의미

North Korean Refugee’s Topophilia and Social Meaning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6, v.26 no.2, pp.264-299
https://doi.org/10.19097/kaser.2016.26.2.264
오인혜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초록

인간은 누구나 태어나는 순간 장소에 소속되며, 무의식적으로 이러한 장소에대한 애착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 간다. 탈북자는 태어나고 자라온 고향(북한)과 중국으로 대표되는 제3국에서의 생활 그리고 현재, 한국 사회공간에서의삶, 더불어 통일 한반도에서 변화될 위상까지, 삶의 장소가 드라마틱하게 변화되고 정체성 또한 민감하게 급변한 사회집단이다. 탈북자에게 북한은 그리움과 증오의 모순적 공간이라 할 수 있으며, 중국은 자유의 세계로 갈 수 있는 희망의공간이자 법과 사회제도망에서 배제된 시스템적 공포 공간이다. 끝으로 한국 사회는 개척과 적응의 신대륙으로 거시적 시각에서 보면 이주민의 의식 같이 토포포비아에서 토포필리아로 점차 변화되어간다. 언어와 민족이 같은 이주민으로서탈북자는 통일 이후 맞이하게 될 통일한국 사회공간의 이질감과 갈등을 간접적으로 경험했다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통일 한국의 비전은 결국 사람의 통일이되어야 하고 사람의 통일은 각각의 장소가 갖는 다양한 의미와 그에 따른 경험을서로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할 것이기 때문이다.

keywords
North Korean Refugees, Topophilia, Topophobia, Tropophilia, Tropophobia, 탈북자, 장소애, 장소공포감, 유목애, 유목공포감

Abstract

Everybody builds their identity through affection towards place unconsciously becausehumanity without any exception belongs to place with birth. North KoreanRefugees is one social group which has gone through so many different identitycrisis through dramatic changes on their living place. North Korean Refugees hastwo contradictory feelings of longing and hatred toward this place, North Korea. The Refugees sees China as a way of hope towards freedom, but also sees her aspanic place because of their illegal status. At last, North Korean Refugees regardSouth Korea as a new continent where they need to explore and adapt just as immigrantsneed to change their concepts from topophobia to topophilia. North KoreanRefugees in the South Korea will be very important group after two Korea’s unificationbecause they have experienced both Korea as a place of living. Eventuallyunified Korea’ s vision is human unification through understanding difference ofplace and according to experience.

keywords
North Korean Refugees, Topophilia, Topophobia, Tropophilia, Tropophobia, 탈북자, 장소애, 장소공포감, 유목애, 유목공포감

참고문헌

1.

곽노완. 2008. 「글로벌폴리스와 희망의 시공간: ‘글로벌 시티’ 담론과 하비의 ‘희망의 공간’에 대한 비판과 변형」. ≪사회이론≫, 2008 봄/여름, 61~86쪽.

2.

김영만. 2005. 『대한민국에 사는 탈북자(새터민)들의 적응실태: 무엇이 그들의 소외감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학술정보.

3.

김성경. 2013. 「북한이탈주민의 월경과 북·중 경계지역: 감각되는 장소와 북한이탈여성의 젠더화된 장소감각」. ≪한국 사회학≫, 47(1), 221~253쪽.

4.

김성호. 2001.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정착을 위한 대안보고서: 생산적 적응과정착」. ≪국감정책자료집 I≫, 통일외교통상위원회.

5.

김영호. 2005. 『서울시 거주 새터민 정착실태 분석과 정착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6.

김용창. 1997. 「생활양식과 도시문화: 문화정치적 해석」. ≪국토≫, 189, 22~29쪽.

7.

김화순. 2010. 「탈북여성의 일자리를 통한 사회통합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정책포럼, 29~57쪽.

8.

류우익. 1996. 「통일국토의 미래상: 공간구조 개편 구상」. ≪대한지리학회지≫, 31(2), 44~59쪽.

9.

맹영임·길은배·최현보. 2003.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 실태 및 지원 방안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1, 1~262쪽.

10.

민성길. 2001. 『통일과 남북 청소년』. 연세대학교 출판부.

11.

박선영. 2013. 「사회통합을 위한 국민 범위 재설정」. 한국법학원, ≪저스티스≫, 134, 403~428쪽.

12.

박승규. 2013. 「정체성, 인간이 공간에 새긴 흔적을 설명하다」. 『현대 문화지리의 이해』(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 제5장), 푸른길, 120~151쪽.

13.

박종철·김영윤·이우영. 1996.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실태조사 및개선방안』. 민족통일연구원.

14.

박채순. 2011. 「북한이탈주민의 한국 사회 유입과 적응실태 연구」. ≪디아스포라연구≫, 5(2), 63~88쪽.

15.

손애리·이내영. 2012. 「탈북자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연구-국가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을 중심으로」. ≪아태연구≫, 19(3), 5~34쪽.

16.

엄태완. 2009.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이주 과정의 외상적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 사회복지학≫, 61(2), 189~213쪽.

17.

오인혜. 2007. 「탈북자의 고향의식과 그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윤상석. 2013. 「탈북청소년 사회지원을 통한 사회통합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전문가워크숍자료집』, 13-S36, 63~84쪽.

19.

윤여상. 1994. 「귀순 북한동포의 남한 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귀순자 수기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덕연. 2013. 「헌법적 정체성 확립의 과제와 북한이탈주민의 헌법적 지위」. 한국법학원, ≪저스티스≫, 136, 27~63쪽.

21.

이선민. 2014. 「탈북 여성은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텔레비전 토크쇼 <이제 만나러갑니다>(채널 A)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 ≪미디어·젠더 & 문화≫, 29(2), 75~115쪽.

22.

이성희. 2013. 「탈북여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남한정착과정의 타자정체성 연구」.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여성학연구≫, 23(2), 77~96쪽.

23.

이영민. 2013. 「이주: 장소와 문화의 재구성」. 『현대 문화지리의 이해』(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 제7장), 푸른길, 195~226쪽.

24.

이우영. 2003.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 정착』. 통일연구원.

25.

이은숙. 2004. 「장소에 대한 애착의 개념구조」. ≪사회과학연구≫, 20, 1-16쪽

26.

이은숙. 2004. 「해방 전 재미한인 이민문학에 나타난 고향의식과 그 지리적 의미」. ≪문화역사지리≫, 16(1), 183~196쪽.

27.

이장호. 1996. 「북한 출신 남한 이주자(탈북자) 문제의 사회통합적 대응」. 크리스챤아카데미 남북관계 대화모임 발제문.

28.

이화진. 2011. 「탈북여성의 이주경험을 통한 정체성 변화과정-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이성관계를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21(3), 173~211쪽.

29.

이화진. 2014. 「이주공간의 변화에 따른 탈북여성의 모성갈등 양상과 극복과정」. ≪한국여성학≫, 30(3), 161~200쪽.

30.

전광식. 1998. 「고향에 대한 철학적 반성: 근·현대 서양정신사에서의 고향논의를 중심으로」. 대한철학회. ≪철학연구≫, 67, 253~286쪽.

31.

전우택. 2000.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과 심리갈등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춘계 심포지엄』, 67~92쪽.

32.

전우택. 2005. 「북한주민들의 사회의식 및 김일성 부자에 대한 태도 조사: 남한 내탈북자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통일연구≫, 9(1), 43~72쪽.

33.

전우택·유시은·이연우. 2011.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유형」. ≪통일정책연구≫, 20(2), 1~36쪽.

34.

정병호. 2014. 「냉전 정치와 북한 이주민의 침투성 초국가 전략」. 북한대학원대학교. ≪현대북한연구≫, 17(1), 49~100쪽.

35.

정정애·손영철·이정화. 2013. 「북한이탈주민의 탈북동기와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연구: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22(2), 215~248쪽.

36.

조규철. 2004. 『마르틴 하이데거와 존재사유』. 울산대학교출판부.

37.

조정아. 2014. 『탈북청소년의 경계 경험과 정체성 재구성』.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38.

최윤형·김수연. 2013. 「‘대한민국은 우릴 받아줬지만, 한국인들은 탈북자를 받아준 적이 없어요.’: 댓글에 나타난 남한사람들의 탈북자에 대한 인식과 공공 PR의과제」. ≪한국광고홍보학보≫, 15(3), 188~220쪽.

39.

최창동. 2000.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의 역차별성: 탈북자, 어떻게 할 것인가』. 두리.

40.

하성환. 2004.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3. 『현대 문화지리의 이해』. 푸른길.

42.

Anderson, J. and Erskine, K. 2014. “Tropophilia: A Study of People, Place and Lifestyle Travel.” Mobilities, 9(1), pp. 130~145.

43.

Billig, M. 2006. “Is My Home My Castle? Place Attachment, Risk Perception, and Religious Faith.” Environment and Behavior, 38(2), pp. 248~265.

44.

Brown, B. B. Perkins, D. and G. Brown. 2003. “Place Attachment in a Revitalizing Neighborhood: Individual and Block Levels of Analysi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3, pp. 259~271.

45.

Cohen, A.P. 1982. Belonging: Identity and Social Organisation in British Rural Culture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6.

Cresswell, T. 2004. Place: A Short Introduction. Jojn Wiley & Dond (심승희 역. 2012. 『짧은 지리학 개론 시리즈: 장소』, 시그마프레스).

47.

Foucault, M. 1986. “Of Other Spaces.” Diacritics, 16, pp. 22~27.

48.

Hay, B. 1998. “Sense of Place in Developmental Contex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8, pp. 5~29.

49.

Hummon, D. M. 1992. “Community Attachment: Locale Sentiment and Sense of Place.”I. & Low, S(eds.), Human Behavior and Environmen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12: Place Attachment, Plenum Press, New York, pp. 253~278.

50.

Korpela, K. M. and Ylen, M. 2007, “Perceived Health is Associated with Natural Favourite Places in the Vicinity.” Health & Place, 13(1), pp. 138~151.

51.

Manzo, L.C. and Perkins, D. D. 2006. “Finding Common Ground: The Importance of Place Attachment to Community Participation and Planning.”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20(4), pp. 335~350.

52.

Marcus, C.C. and Barnes, M. 1999. Healing Gardens: Therapentic Benefits and Design Recommendation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53.

Massey, D. 1994. Space, Place and Gender. Cambridge: Polity Press

54.

Matz, D.C. and Wood, W. 2005. Cognitive Dissonance in Groups: The Consequences of Disagre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1), pp. 22~37.

55.

Muico, N. 2005. An Absence of Choice: The sexual exploitation of North Korea Woman in China. Anti-Slavery International.

56.

Pred. A. 1983. “Structuration and Place.” Journal of the Theory of Social Behaviour, 13, pp.157~186.

57.

Pretty, C. Chipuer, H. and P. Amston. 2003. “Sense of Place Amongst Adolescents and Adults in two Rural Australian Towns; The Discrimination Features of Place Attachment, Sense of Community and Place Dependence in Relation to Place Ident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3, pp. 273~287.

58.

Rubinstein, R. L. and Parmelee, P. A. 1992. “Attachment to Place and Representation of the Life Course by the Elderly.” Place Attachment. ed. Altman, I. & Low, S. M. pp. 139~163.

59.

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Pion Limited(김덕현 외 옮김. 2005.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60.

Relph, E. 1985. “Geographical Experiences and Being-in-the-world: The Phenomenological Origin of Geography.” in D. Seamon & R. Mugerauer(eds.), Dwelling, Place and Environment: Towards a Phenomenology of Person and World,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15~31.

61.

Tartaglia. S. 2006. “A Preliminary Study for a New Model of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4(1), pp. 25~36.

62.

Tuan, Yi-Fu. 1974. Topophilia: A Study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ttitudes, and Values. Prentice Hall Inc.(이옥진 옮김. 2011. 『토포필리아-환경지각, 태도, 가치의 연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연구소 로컬리티 번역총서 L6).

63.

Tuan, Yi-Fu. 1976. “Humannistic Geography.”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66, pp. 206~276.

64.

Tuan, Yi-Fu. 1977.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구동회·심승희 옮김. 2005. 『공간과 장소』. 대윤).

65.

Ulrich. R. S. 1992. “Effects of Interior Design on Wellness: Theory and Recent Scientific Research.” Journal of Healthcare Design, 3, pp. 97~109.

66.

Weil, S. 1988. The Need for Roots. Beacon: Boston.

67.

Werlen, B. 1987. Sozialgeographie. Paul Haupt Berne(안영진 옮김. 2003. 『사회공간론』. 한울아카데미).

68.

Wright, N. 2003. New Guide to Crisis & Trauma Counseling. Regal Books(금병달·구혜선 옮김. 2010. 『트라우마 상담법』. 두란노).

69.

Young, I. M. 1990a. “Justice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Princeton, NJ: ed. Nicholson. L., Feminism/Postmodernism. London: Routledge.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