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사회정치적 공간으로서의 학교와엘리트 모델 만들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on schools as socio-political space and the reproduction of an elite model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6, v.26 no.3, pp.183-222
https://doi.org/10.19097/kaser.2016.26.3.183
채상원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Amartya Sen의 역량 접근(Capability Approach)을 활용하여 교육을투자로 여기는 한국 사회의 가치관과 신자유주의적 경쟁을 맥락화한 사회정치적공간으로서의 학교가 학생들의 역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A외국어 고등학교와 그 졸업생들을 연구 사례로 삼았으며, 연구를 위하여 연구참여자 총 18명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본 연구는 A외고 출신 졸업생들의 고소득전문직이라는 장래 희망은 그들의 역량이 제약된 결과임을 주장한다. 교육을 투자로 여기는 한국 사회의 가치관과 신자유주의적 경쟁을 맥락화하고 있는 공간인A외고는 명문대 입학이라는 획일적 목표를 학생들에게 주입한다. 이러한 획일적목표하에서 A외고를 구성하는 행위주체들의 실천 역시 목표 달성에 복무하는 방향으로 조직되어 학생들을 수동적인 존재로 만들어가고 있다. 나아가 A외고 졸업생들은 졸업 이후에도 그들에 대한 사회적 기대 및 준거집단으로서 A외고 커뮤니티의 영향으로 인해 고소득 전문직이라는 장래희망을 수용한다. 이러한 과정을통해 A외고는 한국 사회의 가치관과 신자유주의적 경쟁을 확대재생산하는 공간으로, A외고 졸업생들은 그 공간을 통해 만들어진 사회적 엘리트 모델이 되어 현사회구조를 유지 및 강화하는 동력이 된다. 학교를 사회정치적 공간으로 개념화해 학생들의 역량 형성 과정에 개입되는 사회적 요소들을 밝히고 나아가 이러한역량 제약의 결과가 사회적으로 갖는 함의를 밝힌 것이 본 연구의 기여점이다.

keywords
아마티아 센, 역량 접근, 사회정치적 공간, 학교, 장래희망, Amartya Sen, capability approach, socio-political space, school, career prospects

Abstract

This study, based on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examines the influenceof schools as a socio-political space on the students’capability formation process. The research subjects ar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mainly graduated from AForeign Language High School(referred to as “A School” henceforth). 18 in-depthinterviews were conducted, including 12 in-depth interviews of students who graduatedfrom A School. The study argues that the career prospects of A School’sgraduates ― mostly high-income professions ― are the results of their limitedcapability. The school acts as a microcosm of neoliberal competition, facilitatingKorea’s national morale in utilizing education as a tool for economic returns. Theirmain message to students to enter into the ‘best universities’echo passivity and uniformityas the most important values of edu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evenafter graduation, students maintain institutional membership by referencing theirconnections to A School as a networking gateway to high-end professions. Ultimately, A School and A School’s graduates have become a driving force in maintainingcurrent social structures by reproducing the morale of Korea and its neoliberalcompetition. The main contributions are as follows: 1) conceptualizing schoolsas a socio-political space, 2) examining its implications for individuals’capability limitations,and 3) demonstrating these individuals’systemic roles in maintaining theboundaries of Korean society.

keywords
아마티아 센, 역량 접근, 사회정치적 공간, 학교, 장래희망, Amartya Sen, capability approach, socio-political space, school, career prospects

참고문헌

1.

강영혜 외. 2007. 「특수 목적 고등 학교 정책 의 적합성 연구(No. 5)」. 한국교육개발원.

2.

고 원. 2010. 「대안적 발전론에서 ‘인간중심’담론에 대한 정치철학적 검토.」. ≪민주주의와 인권≫, 10(1), 225~254쪽.

3.

김동춘. 2015. 『대한민국은 왜? 1945~2015』. 서울: 사계절.

4.

김교성‧노혜진. 2011. 「빈곤의 세대간 탈피 경험」. ≪사회복지연구≫, 42(1), 243~278쪽.

5.

김미숙 외. 2007. 「사교육 실태 조사 및 사교육비 경감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6.

김은정. 2009. 「한국 청소년들의 ‘학생으로서의 정체성’ 수용과정」. ≪한국사회학≫, 43(2), 85~129쪽.

7.

김영철. 2012. 「대학 진학 격차의 확대와 기회형평성 제고방안」. ≪KDI FOCUS≫, 23호.

8.

김희삼. 2015. 「사회 이동성 복원을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 ≪KDI FOCUS≫, 54호.

9.

남춘호. 2011. 「일자리 양극화와 이동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35(1), 29~69쪽.

10.

목광수. 2010. 「역량 중심 접근법과 인정의 문제」. ≪철학≫, 104, 215~239쪽.

11.

목광수. 2011. 「논문: 아마티아 센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민주주의 논의를중심으로」. ≪철학연구≫, 93(단일호), 149~174쪽.

12.

박창남‧도종수. 2005.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22(단일호), 281~303쪽.

13.

변수용‧김경근. 2008.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가정배경의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8(1), 39~66쪽.

14.

배경내. 2007. 『인권은 교문 앞에서 멈춘다』. 서울: 우리교육.

15.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입학사정관제 안내』.

16.

신명호. 2010.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사회복지연구≫, 41(2), 217~245쪽.

17.

오욱환. 2000. 『한국 사회의 교육열: 기원과 심화』. 서울: 교육과학사.

18.

오욱환. 2014. 『한국 교육의 전환: 드라마에서 딜레마로』. 서울: 교육과학사.

19.

오찬호. 2012. 「불안의 시대, 자기계발 하는 20대 대학생들의 생존전략」. 박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20.

유성상 외. 2015. 「역량기반 대학교육 담론의 한계 및 대안적 논의 탐색」. ≪평생학습사회≫, 11(2), 21~52쪽.

21.

장미혜. 2002. 「사회계급의 문화적 재생산」. ≪한국사회학≫, 36(4), 223~251쪽.

22.

장은주. 2008. 「상처 입은 삶의 빗나간 인정투쟁」. ≪사회비평≫, 39.

23.

정윤경. 2015. 「아마티야 센(Amartya Sen)의 역량 접근(capability approach)과 교육」. ≪교육사상연구≫, 29(3), 129~155쪽.

24.

주동범. 1998. 「학생배경과 학업성취: 어머니의 자녀교육에의 관여가 매개하는가?」. ≪교육사회학연구≫, 8(1), 41~56쪽.

25.

최 균‧서병수. 2006. 「빈곤연구의 대안 패러다임으로서 Sen의 가능성접근에 대한탐색적 연구: 개념 측면과 측정 측면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5(단일호), 333~362쪽.

26.

최은정. 2011. 「될성부른 떡잎들만을 위한 세상: 명품교육도시 K군에서 보낸 비교육적 나날들」. 오늘의 교육 편집위원회 편. ≪교육불가능의 시대≫, 78~92쪽. 서울: 교육공동체 벗.

27.

Alkire, S. 2005. Valuing freedom: Sen’s capability approach and poverty re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8.

Arends-Kuenning, M. & Amin, S. 2001. “Women’s capabilities and the right to education in Bangladesh.”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15(1), pp. 125~142.

29.

Biggeri, M., Libanora, R., Mariani, S. & Menchini, L. 2006. “Children conceptualizing their capabilities: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during the first children’s world congress on child labour.”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7(1), pp. 59~83.

30.

Coleman, J. S., Campbell, E. Q., Hobson, C. J., McPartland, J., Mood, A. M., Weinfeld, . D. & York, R. 1966.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ashington, DC, pp. 1066~5684.

31.

Coleman, J. S. 1990. Equality and achievement in education. Westview Press.

32.

De Graaf, N. D., De Graaf, P. M. & Kraaykamp, G. 2000. “Parental cultural capital and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Netherlands: A refinement of the cultural capital perspective.” Sociology of Education, pp. 92~111.

33.

Deprez, L., & Butler, S. 2007. “The capability approach and women’s economic security:access to higher education under welfare reform.” In Walker, M. & Unterhalter, E. (Eds.),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and social justice in education. NY: Palgrave Macmillan.

34.

Elias, N. & Jephcott, E. 1982. The civilizing process(Vol. 2). Oxford: Blackwell.

35.

Fielding, S. 2000. “Walk on the left! Children’s geographies and the primary school.”In S. Holloway & G. Valentine. (Eds.). Children’s geographies. Playing, living, learning, pp. 230~244.

36.

Hay, I. 2010.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human ge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37.

Hart, C. S. 2012. Aspirations, education and social justice: Applying Sen and Bourdieu. A&C Black.

38.

Kuklys, W. 2005.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theoretical insights and empirical application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9.

Marjoribanks, K. 2003. “Family background,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aspirations and young adults’ educational attainment: A follow-up study.” Educational Studies, 29(2-3), pp. 233~242.

40.

Mason, J. 2002. Qualitative researching. Sage.

41.

Nussbaum, M. C. 2003. “Capabilities as fundamental entitlements: Sen and social justice.”Feminist economics, 9(2-3), pp. 33~59.

42.

Philo, C. & Parr, H. 2000. “Institutional geographies: introductory remarks.” Geoforum, 31(4), pp. 513~521.

43.

Raynor, J. 2007. “Education and capabilities in Bangladesh.” In Walker, M. & Unterhalter, E. (Eds.).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and social justice in education. NY: Palgrave Macmillan.

44.

Rivlin, L. G. & Wolfe, M. 1985. Institutional settings in children’s lives. NY: Wiley.

45.

Robeyns, I. 2000. “An unworkable idea or a promising alternative?: Sen’s capability approach re-examined.” CES Discussion Paper 00.30, Leuven, Katholieke Universiteit.

46.

Robeyns, I. 2005. “The capability approach: a theoretical survey.”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6(1), pp. 93~117.

47.

Sen, A. 1980. “Equality of what?” The Tanner Lecture on Human Values, Delivered at Stanford University.

48.

Sen, A. 1985. “Well-being, agency and freedom: the Dewey lectures 1984.” The Journal of Philosophy, pp. 169~221.

49.

Sen, A. 1992. Inequality reexamined. Oxford University Press.

50.

Sen, A. 1999. Development as freedom. Oxford University Press.

51.

Sen, A. 2002. Rationality and freedom. Harvard University Press.

52.

Sen, A. 2004. “Elements of a theory of human rights.” Philosophy & Public Affairs, 32(4), pp. 315~356.

53.

Shin, H. 2008. “A new insight into urban poverty: the culture of capability poverty amongst Korean immigrant women in Los Angeles.” Urban Studies, 45(4), pp. 871~896.

54.

Shin, H. 2011. “Spatial capability for understanding gendered mobility for Korean Christian immigrant women in Los Angeles.” Urban Studies, 48(11), pp. 2355~2373.

55.

Terzi, L. 2007. “The capability to be educated.” In Walker, M. & Unterhalter, E. (Eds.).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and social justice in education. NY: Palgrave Macmillan.

56.

Terzi, L. 2008. Justice and equality in education: A capability perspective on disability and special educational needs. Bloomsbury Publishing.

57.

Vaughan, R. 2007. “Measuring capabilities: an example from girls’ schooling.” In Walker, M. & Unterhalter, E. (Eds.).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and social justice in education. NY: Palgrave Macmillan.

58.

Valentine, G. 2000. “Exploring children and young people’s narratives of identity.”Geoforum, 31(2), pp. 257~267.

59.

Valentine, G. 2001. Social geographies: space and society. Routledge.

60.

Walker, M. 2007. “Selecting capabilities for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In Walker, M. & Unterhalter, E. (Eds.),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and social justice in education. NY: Palgrave Macmillan.

61.

Walker, M. & Unterhalter, E. (Eds.). 2007.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and social justice in education. NY: Palgrave Macmillan.

62.

Wolf, A. 2002. Does education matter? Myths about education and economic growth. London:Penguin Books.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