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도시 포용성 구성개념과 지표체계의 개발 : 한국의 포용도시 의제 설정을 위하여

Development of the Construct of Urban Inclusivity and its Indicators System: For the Inclusive City Agenda in Korea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6, v.26 no.4, pp.109-158
https://doi.org/10.19097/kaser.2016.26.4.109
박인권 (서울대학교)
이민주 (서울시립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해비타트 III 회의를 계기로 우리 도시에 적합한 ‘새로운 도시 의제’ 설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 도시의 현안문제를 해결할 대안적 도시 비전으로서 ‘포용도시’ 의제 설정을 위해 ‘도시 포용성’의 구성개념을 정립하고 지표체계의 개발을 통해 이를 조작화하고 있다. 먼저 도시의 사회적 배제와 통합에대한 다양한 논의를 종합하여 포용도시 개념을 정의하고, 도시 포용성의 차원으로 역량 형성, 상호의존, 참여, 공간적 개방을 도출한다. 여기서 역량 형성은 다시소득, 건강, 교육, 문화 역량으로 구성되고, 상호의존은 공정한 분업과 사회적 호혜로, 참여는 실제 참여도와 권력 분배로, 그리고 공간적 개방은 저렴한 주거, 외부지향성, 공간 통합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도시 포용성의 4대 차원과 11 대 구성요소, 그리고 이들을 측정할 33개의 세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와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회의 및 AHP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는 한국의도시의 포용성을 구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차원이 역량 형성이며, 상호의존과 참여도 독립된 두 차원으로서 거의 동등하게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공간적 개방차원에서는 저렴한 주거공급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지표들에 대한 이러한중요도 및 적합도 평가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지표별 중요도를 가중치로 갖는도시 포용성 지표체계를 제시하며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keywords
the inclusive city, agenda setting, urban inclusivity, construct, indicators system, 포용도시, 의제 설정, 도시 포용성, 구성개념, 지표체계

Abstract

As the need for the New Urban Agenda for Korean cities is rising with the Habitat III conference, this study tries to set the agenda of the inclusive city as an alternative city vision by conceptualizing the construct of urban inclusivity and operationalizing i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indicator system. First, it defines the concept of the inclusive city based on revisiting various discussions on social exclusion and integration in cities, and proposes capacity building, interdependence, participation and spatial openness as four dimensions for urban inclusivity. The dimension of capacity building consists of income, health, education, and cultural capabilities; interdependence consists of fair division of labor and social reciprocity; participation consists of degree of involvement and allocation of power; and spatial openness consists of affordable housing, external interaction, and spatial integration. We evaluate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relevance of the four dimensions, 11 components, and 33 indicators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AHP analysis of their surveys. The results show that capacity building is the most important and interdependece and participation are almost equally important as two separate dimensions. Affordable housing is highlighted in the dimension of spatial opennes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indicators, this study suggests a urban inclusivity indicators system(UIIS) with the relative importance for the indicators used as weights to provide foundation for subsequent studies.

keywords
the inclusive city, agenda setting, urban inclusivity, construct, indicators system, 포용도시, 의제 설정, 도시 포용성, 구성개념, 지표체계

참고문헌

1.

강신욱. 2010. 「OECD 사회통합지표(Social Cohesion Indicator)의 이해」. ≪보건복지포럼≫ 167, 122∼127쪽.

2.

강신욱·노대명·박수진·전지현. 2011. 『한국 사회통합지표 연구(II)』. 사회통합위원회·한국보건사회연구원.

3.

김미희·이민아·노세희. 2008. 「사회적 통합·배제 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 영구임대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6), 95∼104쪽.

4.

김성준·안건혁. 2012. 「신도시 주택공급정책과 거주계층의 공간적 분포특성: 판교 신도시 필터링과정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8(1), 237∼244쪽.

5.

김안나. 2007a. 「유럽연합(EU) 사회적 배제 개념의 한국적 적용가능성 연구: 사회적배제 측정을 위한 지표개발을 중심으로」. ≪유럽연구≫ 25(1), 351∼379쪽.

6.

김안나. 2007b. 「한국의 사회적 배제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회 이론≫ 32, 227∼256쪽.

7.

김주진. 2008. 「사회적 혼합이 거주자의 사회적 배제와 주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50년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주진·서수정·정경일. 2005. 「사회통합을 고려한 임대주택정책 및 개발사례의 특성연구」. ≪국토계획≫ 40(6), 159∼176쪽.

9.

김준영·김혜영. 2012. 「사회통합 지표 개발 및 16개 광역시도별 사회통합 수준 평가」. ≪복지행정논총≫ 22(2), 71∼104쪽.

10.

남원석. 2007. 「공공임대주택과 사회통합」. ≪도시문제≫ 42(462), 37∼49쪽.

11.

노대명·강신욱·전지현. 2010. 『한국 사회통합지표 연구』. 사회통합위원회·한국보건사회연구원.

12.

문성훈. 2014. 『인정의 시대: 현대사회 변동과 5대 인정』. 고양: 사월의책.

13.

박관민·송명규·이경진. 2009. 「임대아파트 단지에 대한 사회적 배제의 실증연구: 용인시 동백지구를 사례로」. ≪도시행정학보≫ 22(3), 107∼131쪽.

14.

박인권. 2015. 「포용도시: 개념과 한국의 경험」. ≪공간과 사회≫ 25(1), 93∼137쪽.

15.

박태원·김연진·이선영·김준형. 2016. 「한국의 젠트리피케이션」. ≪도시정보≫ 413, 3∼12쪽.

16.

설동훈·김명아. 2008. 『한국의 이민자 사회통합 지표 및 지수 개발에 대한 연구』. 서울: 법무부.

17.

신명호. 2004. 「한국사회의 새로운 빈곤 혹은 사회적 배제」. ≪도시와 빈곤≫ 67, 160∼170쪽.

18.

오상봉. 2015. 『최저임금이 가계 및 기업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동연구원.

19.

이원호. 2006. 「사회적 배제의 측정과 빈곤현상의 공간적 패턴: 서울시의 사례연구」. ≪지리학연구≫ 40(3), 367∼379쪽.

20.

이원호. 2008. 「외환위기 이후 대도시 지역간 실업의 차이와 그 역동성: 사회적 배제의 구조화에 대한 함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1), 94∼110쪽.

21.

이원호. 2011. 「광역대도시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사회적배제의 형성: 노동시장 변동의 지역성에 대한 이해」.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2), 129∼142쪽.

22.

이익섭. 1999. 「장애인 사회통합의 지수개발과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8, 206∼233쪽.

23.

장세훈. 2005. 「현단계 도시빈곤의 지속과 변모: ‘신빈곤’ 현상에 대한 탐색」. ≪경제와 사회≫ 66, 95∼125쪽.

24.

장용석·박명호·오완근. 2011. 「지표를 통한 한국의 사회통합 분석: 국제사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0, 1∼38쪽.

25.

전병유·김복순. 2006.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정책과제」. ≪노동리뷰≫ 7, 36∼51쪽.

26.

정진호·강승복. 2015. 『2016년 최저임금 심의를 위한 임금실태 등 분석』. 최저임금위원회.

27.

차미숙·임은선·김혜승·윤윤정·이현주·강신욱·전지현·박수진. 2011.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적 대응과제: 지역사회통합지수 개발 및 활용방안』. 국토연구원.

28.

현대경제연구원. 2016. 「청년 열정페이의 특징과 시사점」. ≪경제주평≫ 1∼16쪽.

29.

ADB. 2010. Access to Justice for the Urban Poor: Toward Inclusive Cities. Asian Development Bank.

30.

Adler. R. P. & Goggin. J. 2005. “What Do We Mean By ‘Civic Engagement’?” Journal of Transformative Education 3(3), pp. 236∼253.

31.

Arnstein. S. R. 1969.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Journal of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5(4), pp. 216∼224.

32.

Atkins. R. 2000. “Combating Social Exclusion in Europe: The New Urban Policy Challenge.” Urban Studies 37(5-6), pp. 1037∼1055.

33.

Babbie. E. 2012.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13th ed.). Belmont, CA: Wadsworth.

34.

Beck. W. van der Maesen. L. J. G. & Walker. A. 2001. “Theorizing Social Quality: The Concept’s Validity.” in W. Beck. van der Maesen L. J. G. Thomese. F. & Walker. A.(eds.). Social Quality: A Vision for Europe. The Hague: Kluwer Law International, pp. 307∼360.

35.

Berger. B. 2009. “Political Theory, Political Science, and the End of Civic Engagement.”Perspectives on Politics 7(2), pp. 335∼350.

36.

Berghman. G. 1995. “Social Exclusion in Europe: Policy Context and Analytical Framework.” in G. Room (ed.). Beyond the Threshold. Bristol: Policy Press, pp. 10∼28.

37.

Bernard. P. 1999. “Social Cohesion: A Critique.” CPRN Discussion Paper F|09. Ottawa, Ontario: Canadian Policy Research Networks, Inc. Retrieved Nov. 2, 2016 from http://www.cprn.org/doc.cfm?doc=311&l=en.

38.

British Council Brussels, Foreign Policy Centre, & Migration Policy Group. 2005. European Civic Citizenship and Inclusion Index 2004. Brussels, Belgium: British Council Brussels.

39.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UK). 2007. Opportunity for All: Indicators Update 2007. London: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40.

Eade. D. 1997. Capacity-building: An Approach to People-centered Development. Oxford, UK:Oxfam UK and Ireland.

41.

Ekman. J. & Amnå. E. 2012.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ivic Engagement: Towards a New Typology.” Human Affairs 22(3), pp. 283∼300.

42.

Espino. N. A. 2015. Building the Inclusive City: Theory and Practice for Confronting Urban Segregation. New York, NY: Routledge.

43.

EU. 2015. Portfolio of EU Social Indicators for the Monitoring of Progress Towards the EU Objectives for Social Protection and Social Inclusion.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44.

Gerometta. J. Haussermann. H. & Longo. G. 2005. “Social Innovation and Civil Society in Urban Governance Strategies for Inclusive City.” Urban Studies 42(11), pp. 2007∼2021.

45.

Griffin. R. W. & Moorehead. G. 2013.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ing People and Organization (11th ed.). Mason, OH: South-Western Cengage Learning.

46.

Jehoel-Gijsbers. G & Vrooman. C. 2007. Explaining Social Exclusion: A Theoretical Model Tested in the Netherlands. The Hague: The Netherlands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SCP).

47.

Lequian. A. A. Tewari V. K. Hanley. L. M. 2007. The Inclusive City: Infrastructure and Public Services for the Urban Poor in Asia, Washington, D.C.: Woodrow Wilson Center Press.

48.

Nussbaum. M. 2011. Creating Capabilities: The Human Development Approach.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9.

OECD. 2014. Society at a Glance: Asia/Pacific 2014. OECD Publishing. http://dx.doi.org/10.1787/9789264220553-en.

50.

Putnam. R. D. 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51.

Putnam. R. D.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Simon & Schuster.

52.

Putnam. R. D. Leonardi R. & Nanetti. R. 1993.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53.

Rajulton. F. Ravanera. Z. R. & Beaujot. R. 2007. “Measuring Social Cohesion: An Experiment Using the Canadian National Survey of Giving, Volunteering, and Participat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80, pp. 461∼492.

54.

Room. G. 1995.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The New European Agenda for Policy and Research.” in: G. Room (ed.). Beyond the Threshold. Bristol: Policy Press, pp. 1∼9.

55.

Saaty. R. W. 1987.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hat It Is and How It Is Used.”Mathematical Modeling 9(3-5), pp. 161∼176.

56.

Sen. A. 1992. Inequality Reexamined. Oxford: Clarendon Press.

57.

Sen. A. 2001. Development as Freedo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58.

Shrestha. K. K. 2015. Inclusive Urbanization: Rethinking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in the Age of Climate Change. New York, NY: Routledge.

59.

Silver. H. 1994. “Social Exclusion and Social Solidarity: Three Paradigms.” International Labour Review 133, pp. 531∼578.

60.

Steinberg. F. & Lindfeld. M. (eds.). 2011. Inclusive Cities. Asian Development Bank.

61.

Thompson. J. D. 1967. Organizations in Action: Social Science Bases of Administrative Theory. New York: McGraw-Hill.

62.

UN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DESA). 2007. Indica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Guidelines and Methodologies. New York: United Nations Publications.

63.

UN Economic and Social Council. 2016. Report of the Inter-Agency and Expert Group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Indicators. Document E/CN.3/2016/2/Rev.1. Retrieved Nov. 2, 2016 from http://unstats.un.org/unsd/statcom/47th-session/documents/2016-2-IAEG- SDGs-Rev1-E.pdf

64.

UN Habitat. 2004. The Global Campaign on Urban Governance. UN-Habitat. Retrieved Jan. 26, 2015 from http://ww2.unhabitat.org/campaigns/governance/documents/Urban%20Governance _english-July04.pdf.

65.

UN Habitat. 2016. HABITAT III New Urban Agenda: Draft Outcome Document for Adoption in Quito, October 2016. Retrieved Oct. 19, 2016 from https://www.habitat3. org/file/535859/view/588897.

66.

UNCHS(Habitat). 2000. “UNCHS(Habitat): The Global Campaign for Good Urban Governance.” Environment & Urbanization 12(1), pp. 197∼202.

67.

Victor. B. & Blackburn. R. 1987. “Interdependence: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3), pp. 486∼498.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