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거버넌스 다중이해당사자의 목적 합치성과 참여 : 도시 에너지 전환 ‘에누리’ 사례를 중심으로

Goal Consensus and Participation in Multi-stakeholder Governance: Case Analysis of the Urban Energy Transition ‘Enuri’ Project in Sinchon, Seoul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6, v.26 no.4, pp.159-189
https://doi.org/10.19097/kaser.2016.26.4.159
손효동 (연세대학교)
이태동 (연세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다중이해당사자 거버넌스 시각으로 상업지구에서 진행된 도시 에너지 전환 프로그램인 ‘에너지를 나누는 이로운 공간(에누리)’ 사업을 분석한다. 도시 에너지 프로그램의 거버넌스에서는 다양한 당사자가 참여하지만 그들의 참여목적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는 특히 이 점에 주목해 에누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각기 다른 이해당사자(지방정부, NGO, 상점들)의 목적 합치성이 참여 수준과 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보고자 한다. 다중이해당사자 거버넌스 시각은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사회적·환경적 관리를 분석하는 틀로 거버넌스 참여 당사자 간 참여 목적 일치 여부, 프로그램의 영향력과 이해당사자의 참여 수준의 관계를 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인터뷰 데이터 분석 결과, 프로그램의 낮은 영향력하에서 프로그램과 거버넌스 참여자들의 상이한 목적은 참여수준과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네트워크 차원의 목표와 개별 참여자의 목표가 상이한 경우 협치의 효과를 이끌어내기 힘들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에 본 연구는 참여적 도시 에너지 전환 프로그램의 발전을위해, 프로그램과 거버넌스 참여자 간 목적 합치성을 높이기 위한 소통, 유연성그리고 지원의 확대를 통한 프로그램 영향력 증대를 제안한다.

keywords
Multi-stakeholder governance, Goal consensus, Energy transition, 다중이해당사자 거버넌스, 참여, 목적 합치성, 에너지 전환

Abstract

This study evaluates an urban energy transition program, Enuri Project in Sinchon, Seoul with a perspective of multi-stakeholder governance. When there are many involving actors in a local governance, it is critical to have a goal consensus for effective participation and program practice.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relation between goal consensus among stakeholder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 local government energy program. Our qualitative analysis finds that Enuri has mainly three different stakeholder groups (a local government, a managing NGO, shops) and they all have different goals and interests, which lower th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e argue that goal consensus matters in multi-stakeholder governance along with the influence of the program to facilitate stakeholders’ willingness to participate for energy transition in commercial area.

keywords
Multi-stakeholder governance, Goal consensus, Energy transition, 다중이해당사자 거버넌스, 참여, 목적 합치성, 에너지 전환

참고문헌

1.

강지윤·이태동. 2016. 「중간지원조직과 에너지 레짐 전환: 한국 에너지자립마을의 사례 비교」. ≪공간과 사회≫ 제26권 1호, 139∼176쪽.

2.

고재경·주정현. 2014. 「유럽 에너지자립마을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특징 연구」. ≪환경정책≫ 제22권 2호, 101∼135쪽.

3.

김형양. 2006. 「로컬 거버넌스 (Local Governance) 형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10권 1호, 181∼203쪽.

4.

박종문·윤순진. 2016. 「서울시 성대골 사례를 통해 본 도시 지역공동체 에너지 전환운동에서의 에너지 시민성 형성 과정」. ≪공간과 사회≫ 제26권 1호, 79∼138쪽.

5.

서울특별시. 2012. 『에너지 수요절감과 신재생에너지 생산확대를 통한 원전 하나 줄이기 종합대책』.

6.

안정배·이태동. 2016. 「도시의 에너지 전환 분석-서울시의 원전하나줄이기 정책을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 ECO≫ 제20권 1호, 105∼140쪽.

7.

윤순진·심혜영. 2015.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략적 틈새로서 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의 가능성과 제도적 한계-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제25권1호, 140∼178쪽.

8.

이유진·진상현. 2015. 「에너지자립마을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19권 3호, 153∼176쪽.

9.

이정필·한재각. 2014. 「영국 에너지전환에서의 공동체에너지와 에너지시티즌십의 함의」. ≪환경사회학연구 ECO≫ 제18권 1호, 73∼112쪽.

10.

이태화. 2016. 「에너지 전환-다양한 차원에서의 실험적 모색」. ≪공간과 사회≫ 제26권 1호, 5∼11쪽.

11.

한국로하스협회. 2014a. 『신촌, 원전하나줄이기 공간확대 프로젝트』. 한국로하스협회.

12.

한국로하스협회. 2014b. 『에누리 사업 (에너지 거리, 공간 프로젝트)』.한국로하스협회.

13.

한상연·김순영. 2012. 「사례분석을 통한 도시개발사업의 네트워크 거버넌스 연구」. ≪국토계획≫ 제47권 3호, 133∼158쪽.

14.

Alyett, Alex. 2013. “Networked Urban Climate Governance: Neighborhood-Scale Residential Solar Energy Systems and the Example of Solarize Portland.” Environment and Planning C: Government and Policy 31, pp. 858∼875.

15.

Ansell, Chris, and Alison Gash. 2008.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8, pp. 543∼571.

16.

Babbie, Earl. 2013.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Cengage Learning. (고성호 외 옮김. 2013. 『사회조사방법론』.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17.

Bäckstrand, Karin. 2006. “Multi‐Stakeholder Partnerships for Sustainable Development:Rethinking Legitimacy, Accountability and Effectiveness.” European Environment 16, pp. 290∼306.

18.

Bulkeley, Harriet, and Arthur P.J. Mol. 2003.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Governance: Consensus, Ambivalence and Debate.” Environmental Values 12, pp. 143∼154.

19.

Carley, Sanya. 2012. “Energy Demand‐Side Management: New Perspectives for a New Era.”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31, pp. 6∼32.

20.

Hemmati, Minu. 2002. Multi-Stakeholder Processes for Governance and Sustainability: Beyond Deadlock and Conflict. London: Routledge.

21.

Hoppe, Thomas, and Ellen van Bueren. 2015. “Guest Editorial: Governing the Challenges of Climate Change and Energy Transition in Cities.” Energy, Sustainability and Society 5.

22.

Hyman, James B. 2002. “Exploring Social Capital and Civic Engagement to Create a Framework for Community Building.”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6, pp. 196∼202.

23.

Kim, Hana. 2016. “An Analysis of Seoul’s Energy Transition from an Integrated Multilevel Governance Perspective.” Space & Environment 56, pp. 334∼364.

24.

Kim, Hoseok, Eui-soon Shin, and Woo-jin Chung. 2011. “Energy Demand and Supply, Energy Policies, and Energy Security in the Republic of Korea.” Energy Policy 39, pp. 6882∼6897.

25.

Lee, Taehwa, Taedong Lee, and Yujin Lee. 2014. “An Experiment for Urban Energy Autonomy in Seoul: The One ‘Less’ Nuclear Power Plant Policy.” Energy Policy 74, pp. 311∼318.

26.

Loorbach, Derk. 2007. Transition Management: New Mode of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trecht: Dutch Research Institute for Transitions (DRIFT).

27.

Mattes, Jannika, Andreas Huber, and Jens Koehrsen. 2015. “Energy Transitions in Small-Scale Regions - What We Can Learn from a Regional Innovation Systems Perspective.” Energy Policy 78, pp. 255∼264.

28.

McConnell, Allan. 2010. “Policy Success, Policy Failure and Grey Areas in-Between.”Journal of Public Policy 30, pp. 345∼362.

29.

McGuire, Michael. 2002. “Managing Networks: Propositions on What Managers Do and Why They Do I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2, pp. 599∼609.

30.

McKenzie-Mohr, Doug. 2000. “Promoting Sustainable Behavior: An Introduction to Community-Based Social Marketing.” Journal of Social Issues 56, pp. 543∼554.

31.

McMakin, Andrea H, Elizabeth L Malone, and Regina E Lundgren. 2002. “Motivating Residents to Conserve Energy without Financial Incentives.” Environment and Behavior 34, pp. 848∼863.

32.

Meadowcroft, James. 2004. “Particip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Modes of Citizen, Community and Organisational Involvement.” In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hallenge of Adapting Form to Function, ed. William Lafferty. Cheltenham: Edward Elgar Publishing. pp. 162∼190.

33.

Meadowcroft, James. 2009. “What About the Politics? Sustainable Development, Transition Management, and Long Term Energy Transitions.” Policy Sciences 42, pp. 323∼340.

34.

O’Leary, Rosemary, and Lisa B. Bignham. 2009. The Collaborative Public Manager.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35.

Provan, Keith G, and Patrick Kenis. 2008. “Modes of Network Governance: Structure, Management, and Effectivenes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8, pp. 229∼252.

36.

Rutherford, Jonathan, and Olivier Coutard. 2014. “Urban Energy Transitions: Places, Processes and Politics of Socio-Technical Change.” Urban Studies 51, pp. 1353∼1377.

37.

UNDP. 2011. UNDP Practitioner’s Guide: Capacity Development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New York: UNDP.

38.

Vallejo, Nancy, and Pierre Hauselmann. 2004. Governance and Multi-Stakeholder Processes:Winnipeg: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39.

Vangen, Siv, and Chris Huxham. 2012. “The Tangled Web: Unraveling the Principle of Common Goals in Collaboration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22, pp. 731∼760.

40.

Xu, Qingwen. 2007. “Community Participation in Urban China: Identifying Mobilization Factor.”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36, pp. 622∼642.

41.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http://www.seoul.go.kr/main/index.html.

42.

에너지 살림도시 서울 홈페이지 http://energy.seoul.go.kr/seoul/energy/city.

43.

한국로하스협회 홈페이지 http://www.lohaskorea.or.kr.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