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수출주의 축적체제에서의 생태위기에 관한 시론적 연구 : 환경적 조정 전략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Mechanism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in Export-oriented Economy :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of Environmental Fix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7, v.27 no.2, pp.185-225
https://doi.org/10.19097/kaser.2017.27.2.185
홍덕화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생태위기가 가속화되면서 물질대사균열, 자본주의 2차모순, 생태적 현대화, 세계체계적 접근, 축적전략적 접근 등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환경문제를 설명하는이론적 논의도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환경문제에 대한 사례연구가늘고 있는데 반해 생태위기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정체되어있다. 본 논문은 ‘축적전략으로서의 자연’과 ‘수출주의 축적체제’ 논의를 토대로 한국사회에서 생태위기가 심화되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출주의는임해공업단지의 조성을 촉진함으로써 자연의 형식적 포섭의 범위를 확대하고 물질대사균열을 가속화시켰다. 더불어 수출주의의 공급주의적 편향은 분업적 개발방식을 발전시키고 생산비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여 환경비용이 내부화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제약했다. 민주화가 진전되고 신자유주의가 확산되었지만 수출주의 축적체제의 기본 구조는 유지되었다. 오히려 기술적·조직적 역량이 강화되면서 자연의 형식적 포섭 방식이 확대되었고 자연의 실질적 포섭을 위한 기술혁신도 늘고 있다. 환경운동이 확산되면서 환경비용의 내부화 압력이 높아졌지만 분업적 개발방식에서 유래한 발전주의적 공공성과 투기적 개발 기대는 환경비용의실질적 내부화를 제한했다. 환경비용의 내부화가 제한되면서 환경산업이 수출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한 결과 자본 주도의 관류 혁신 압력 또한 상당부분 상쇄되었다. 한국사회가 대면하고 있는 환경문제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토건적개발주의를 넘어서 수출주의 축적체제의 형성과 변화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exportism, environmental fix, nature as accumulation strategy, subsumption of nature, construction state, 수출주의, 환경적 조정, 축적전략으로서의 자연, 자연의 포섭, 토건국가

참고문헌

1.

구도완. 2004. 「개발동맹과 녹색연대: 담론구성체 연구」. ≪ECO≫, 7, 43~77쪽.

2.

구도완. 2013. 「한국 환경사회학의 쟁점」」. ≪경제와사회≫, 100, 273~291쪽.

3.

구도완·홍덕화. 2013. 「한국 환경운동의 성장과 분화: 제도화 논의를 중심으로」. ≪ECO≫, 17(1): 79~120쪽.

4.

기미야 다다시. 2008. 「박정희 정부의 선택: 1960년대 수출지향형 공업화와 냉전체제」. 후마니타스.

5.

김도균. 2012. 「국가의 저축동원과 발전주의 복지체제의 형성: 한국과 일본 사례 비교연구」. ≪한국사회정책≫, 19(1), 163~198쪽.

6.

김민정. 2009. 「오코너의 2차 모순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경제와사회≫, 84, 304~328쪽.

7.

김병수. 2014. 「황우석 사태 이후의 배아줄기세포 연구」. ≪사회과학연구≫, 26(2), 235~251쪽.

8.

김수현. 2013. 「동아시아 주택정책 모델 논의와 시사점: 자신기반 복지 논의를 중심으로」. ≪주택연구≫, 21(2), 93~118쪽.

9.

김윤태. 2012. 「한국의 재벌과 발전국가」. 한울.

10.

김종호. 2001. 「생태문제의 경제학적 수용에 관한 비판적 세 논문」.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박사논문

11.

김철규. 2007. 「87년 체제의 해체와 개발주의의 부활」. ≪한국사회≫, 8(2), 33~54쪽.

12.

김형기·서익진. 2006. 「IMF 경제위기 직전에 존재했던 발전모델은? 개발독재인가‘한국적’ 포드주의인가」. ≪경제학연구≫, 54(1), 137~169쪽.

13.

김형아. 신명주 옮김. 2005. 「유신과 중화학공업. 박정희의 양날의 선택」. 일조각.

14.

니시노 준야. 2011. 「일본 모델에서 한국적 혁신으로: 1970년대 중화학공업화를 둘러싼 정책과정」. ≪세계정치≫, 14, 167~207쪽.

15.

드라이젝. 존(Dryzek, J.). 정승진 옮김. 2005. 「지구환경정치학 담론」. 에코리브르

16.

류상영. 2011. 「박정희의 중화학공업과 방위산업정책: 구조-행위자 모델에서 본 제약된 선택」. ≪세계정치≫, 14, 135~167쪽.

17.

리피에츠, 아랑(Lipietz, A.). 김종한 외 옮김. 1991. 「기적과 환상」. 한울.

18.

문만용. 2007. 「박정희 시대의 과학기술정책」. 정성화·강규형 엮음. 「박정희 시대와한국 현대사: 연구자와 체험자의 대화」. 선인.

19.

문순홍 편. 2006. 「녹색국가의 탐색」. 아르케.

20.

미래창조과학부. 2016. 「2015 생명공학백서」.

21.

바람과 물 연구소 편. 2002. 「한국에서의 녹색정치, 녹색국가」. 당대.

22.

박배균. 2009. 「한국에서 토건국가 출현의 배경: 정치적 영역화가 토건지향성에 미친영향에 대한 시론적 연구」. ≪공간과사회≫, 31, 49~87쪽.

23.

박배균·장세훈·김동완 엮음. 2014. 「산업경관의 탄생: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 발전주의 공업단지」. 알트.

24.

박재묵. 2014.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 ≪한국사회≫, 15(1), 55~85쪽.

25.

박찬종. 2014. 「한국 부채경제의 정치경제적 영향에 관한 연구 : 국가, 금융, 기업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회학박사학위논문.

26.

박태원·최정호. 2011. 「우리나라 산업단지 개발과정의 시계열 분류 및 특성 연구」. ≪국토연구≫, 68, 99~119쪽.

27.

박희제‧김은성‧김종영. 2014.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과학기술연구≫, 14(2), 1~47쪽.

28.

변창흠. 2005. 「한국토지공사의 성과와 과제」. 홍성태 엮음. 「개발공사와 토건국가:개발공사의 생태민주적 개혁과 생태사회의 전망」. 한울.

29.

부아예, 로버트(Boyer, R.). 2013. 「조절이론1: 기초」. 뿌리와 이파리.

30.

산업통상자원부·에너지경제연구원. 2016. 「2015 에너지통계연보」.

31.

서익진. 2003. 「한국 산업화의 발전양식」. 이병천 엮음.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우리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창비.

32.

섬, 나이링(Sum, Ngai-Ling). 2001. 「자본주의 시공간적 다양성: 배태된 수출주의와거버넌스-홍콩 과 타이완을 사례로」. ≪공간과사회≫, 15, 40~71쪽.

33.

손정원. 2006. 「개발국가의 공간적 차원에 관한 연구: 1970년대 한국의 경험을 사례로」. ≪공간과사회≫, 25, 41~79쪽.

34.

송위진. 2006. 「기술혁신과 과학기술정책」. 르네상스.

35.

스미스, 닐(Smith, N.). 2007. 「축적전략으로서의 자연」. 리오 패니치, 콜린 레이스 엮음. 허남혁 외 옮김. 「자연과 타협하기」. 필맥.

36.

신진욱. 2011. 「국제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 주거자본주의 체제의 특성」. ≪동향과전망≫, 81, 112~155쪽.

37.

신진욱·이은지. 2012. 「금융화 시대의 주택체제 변동의 네 가지 경로: 국제 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 주택불평등 구조의 특성」. ≪경제와사회≫, 95, 218~253쪽.

38.

안병영‧정무권‧한상일. 2007. 「한국의 공공부문: 이론, 규모와 성격, 개혁방향」. 한림대학교 출판부.

39.

암스덴, 앨리스(Amsden, A.). 이근달 옮김. 1990. 「아시아의 다음 거인: 한국의 후발공업화」. 시사영어사).

40.

오성훈·송영일·손정락. 2005. 「주거복지와 한국주택공사의 문제」. 홍성태 엮음. 「개발공사와 토건국가: 개발공사의 생태민주적 개혁과 생태사회의 전망」. 한울.

41.

오원철. 1996. 「한국형 경제건설 3」. 기아경제연구소.

42.

유훈‧배용수‧이원희. 2010. 「공기업론」. 법문사.

43.

윤순진. 2013. 「≪ECO≫분석을 통해 본 한국 환경사회학 연구의 흐름」. 한국환경사회학회. 「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 한울.

44.

이근. 2014. 「경제추격론의 재창조: 기업‧산업‧국가 차원의 이론과 실증」. 오래.

45.

이미홍. 2005. 「물관리 공기업의 역할: 한국수자원공사의 평가와 과제」. 홍성태 엮음. 「개발공사와 토건국가: 개발공사의 생태민주적 개혁과 생태사회의 전망」. 한울.

46.

이병천. 2003. 「개발독재의 정치경제학과 한국의 경험: 극단의 시대를 넘어서」. 이병천 엮음.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우리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창비.

47.

이삼수. 2013. 「산업단지 정책 및 입지변화 특성 고찰」.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4), 87~110쪽.

48.

이상철. 2003. 「박정희 시대의 산업정책」. 이병천 엮음.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우리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창비.

49.

이상헌. 2009. 「MB정부 ‘저탄소 녹색성장 전략’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고찰」. ≪EC O≫, 13(2), 7~41쪽.

50.

이상호. 2003. 「생태친화적 경제와 한국경제의 지속가능성: 김대중 정부의 환경정책을 중심으로」. ≪사회경제평론≫, 21, 443~493쪽.

51.

이석희·김수현. 2014. 「한국 주택체제의 성격과 변화: 동아시아 발전주의 국가의 특성을 중심으로」. ≪공간과사회≫, 24(2), 5~37쪽.

52.

이정동. 2015. 「축적의 시간」. 지식노마드.

53.

전병유·정준호. 2015. 「한국경제 성장 체제의 재구성을 위한 시론」. ≪동향과전망≫, 95, 9~43쪽.

54.

정태석. 2013. 「녹색국가와 녹색정치」. 한국환경사회학회. 「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 한울.

55.

조명래. 2001. 「신자유주의 지구화와 환경담론의 대응」. ≪환경과생명≫, 29, 62~85쪽.

56.

조명래. 2006. 「개발정치와 녹색진보」. 환경과생명.

57.

조명래 외. 2005. 「신개발주의를 멈춰라」. 환경과생명.

58.

조희연. 2001. 「동아시아의 자본주의 발전과 국가변화: 남한과 대만을 중심으로」. ≪공간과사회≫, 15, 72~100쪽.

59.

쿠퍼, 멜린다(Cooper, M.). 안성우 옮김. 2016. 「잉여로서의 생명: 신자유주의 시대의생명기술과 자본주의」. 갈무리.

60.

투데이에너지. 2016. 「물산업의 실리콘밸리, 물산업클러스터 착공」(2016.11.9.).

61.

포스터, 존 벨라미(Foster, J. B.). 추선영 옮김. 2007. 「생태계의 파괴자 자본주의」. 책갈피.

62.

포스터, 존 벨라미. 박종일 옮김. 2010. 「생태혁명: 지구와 평화롭게 지내기」. 인간사랑

63.

최병두. 2004. 「참여정부의 정책기조와 환경정책 평가」. ≪도시연구≫, 9, 241~260쪽.

64.

최병두. 2009. 「자연의 신자유주의화(1): 자연과 자본축적 간 관계」. ≪마르크스주의연구≫, 6(1), 10~55쪽.

65.

최병두. 2010. 「신자유주의적 에너지정책과 녹색성장의 한계」. ≪대한지리학회지≫, 45(1), 26~48쪽.

66.

한국수자원공사. 1994. 「한국수자원공사 25년사, 1967~1992」.

67.

홍덕화. 2016. 「한국 원자력산업의 형성과 변형: 원전 사회기술체제의 산업구조와 규제양식을 중심으로, 1967~2010」. 서울대학교 사회학박사학위논문.

68.

홍덕화·구도완. 2014. 「민주화 이후 한국 환경운동의 제도화와 안정화: 저항사건분석을 중심으로」. ≪ECO≫, 18(1), 151~186쪽.

69.

홍성태 엮음. 2005. 「개발공사와 토건국가: 개발공사의 생태민주적 개혁과 생태사회의 전망」. 한울.

70.

홍성태. 2011. 「토건국가를 개혁하라: 개발주의를 넘어 생태복지국가로」. 한울.

71.

황진태. 2016. 「동아시아 맥락에서 바라본 한국에서의 위험경관의 생산」. ≪대한지리학회지≫, 51(2), 283~303쪽.

72.

Bakker, K. 2009. “Commentary.” Environment and Planning A, 41, pp. 1781~1787.

73.

Bakker, K. 2010. “The Limits of ‘Neoliberal Natures’: Debating Green Neoliberalism.”Progress in Human Geography, 34(6), pp. 715~735.

74.

Bunker, S. and P. Ciccantell. 2005. Globalization and the Race for Resource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5.

Bunker, S. 2007. East Asia and the Global Economy: Japan’s ascent, with implications for China’s future.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6.

Buttel, F. H. 2009(2000). “Ecological Modernization as Social Theory,” in A. Mol, D. Sonnenfeld, and G. Spaargaren(eds.). The Ecological Modernisation Reader:Environmental Reform in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Routledge.

77.

Boyd, W., S. Prudham, and R. Schurman. 2001. “Industrial Dynamics and the Problem of Nature.” Society and Natural Resources, 14, pp. 555~570.

78.

Carter, M. 2007. The Politics of the Environment: Ideas, Activism, Policy(2nd). Cambridge, NY:Cambridge University Press.

79.

Castree, N. 2008a. “Neoliberalising Nature: the Logics of Deregulation and Reregulation.”Environment and Planning A, 40, pp. 131~152.

80.

Castree, N. 2008b. “Neoliberalising Nature: Process, Effects, and Evaluations.”Environment and Planning A, 40, pp. 153~173.

81.

Castree, N. 2010. “Neoliberalism and the Biophysical Environment 2: Theorising the Neoliberalisation of Nature.” Geography Compass 4(12), pp. 1734~1746.

82.

Castree, N. 2011. “Neoliberalism and the Biophysical Environment 3: Putting Theory into Practice,” Geography Compass 5(1), pp. 35~49.

83.

Chester, L. 2010. “Determining the Economic-Environment Relation: a Régulationist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Green Economics, 4(1), pp. 17~42.

84.

Christoff, P. 2009(1996). “Ecological Modernisation, Ecological Modernity,” in A. Mol, D. Sonnenfeld, and G. Spaargaren(eds.). The Ecological Modernisation Reader:Environmental Reform in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Routledge

85.

Hajer, M. A. 1995. The Politics of Environmental Discourse: Ecological Modernization and the Policy Process. New York: Oxford.

86.

Hajer, M. A. 2009(1996). “Ecological Modernization as Cultural Politics,” in A. Mol, D. Sonnenfeld, and G. Spaargaren(eds.). The Ecological Modernisation Reader:Environmental Reform in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Routledge.

87.

Heynen, N., J. McCarty, S. Prudham, and P. Robbins. 2007. Neoliberal Environments: False Promises and Unnatural Consequences. New York: Routledge.

88.

Hwang, Jin-Tae. 2015. “A study of state–nature relations in a developmental state: the water resource policy of the Park Jung-Hee regime, 1961–79.” Environment and Planning A, 47(9), pp. 1926~1943.

89.

Jessop, Bob. 1999. “Reflections on Globalisation and its (Il)logic,” in Kris Olds, Peter Dicken, Philip Kelly, Lily Kong, and Henry Wai-chung Yeung(eds.). Globalisation and the Asia-Pacific: Contested Territories. New York: Routledge.

90.

Lee Yih-Jiunn, Ku Yeun-wen. 2007. “East Asian Welfare Regimes: Testing the Hypothesis of the Developmental Welfare State.”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41(2), pp. 197~212.

91.

Mol, A. and M. Janicke. 2009. “The Origins and Theoretical Foundations of Ecological Modernization Theory,” in A. Mol, D. Sonnenfeld, and G. Spaargaren(eds.). The Ecological Modernisation Reader: Environmental Reform in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Routledge.

92.

Mol, A., D. Sonnenfeld, and G. Spaargaren(eds). 2009. The Ecological Modernisation Reader: Environmental Reform in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Routledge.

93.

Moore, J. 2011a. “Ecology, Capital, and the Nature of our Times: Accumulation and Crisis in the Capitalist World-Ecology.” Journal of World-Systems Research, 17(1), pp. 107~146.

94.

Moore, J. 2011b. “Transcending the Metabolic Rift: a Theory of Crises in the Capitalist World-Ecology.” The Journal of Peasant Studies, 38(1), pp. 1~46.

95.

O’Connor, J. 1998. Natural Causes. New York: Guilford Press.

96.

Pepper, D. 1999. “Ecological Modernisation or the ‘Ideal Model’ of Sustainable Development? Questions Prompted at Europe’s Periphery.” Environmental Politics, 8(4), pp. 1~34.

97.

Spaargaren, G., A. Mol, and D. Sonnenfeld. 2009. “Ecological modernisation: Assessment, critical debates and future directions,” in A. Mol, D. Sonnenfeld, and G. Spaargaren(eds.). The Ecological Modernisation Reader: Environmental reform in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Routledge.

98.

Spaargaren, G. and A. Mol. 2009(1992). “Sociology, Environment and Modernity,” in A. Mol, D. Sonnenfeld, and G. Spaargaren(eds.). The Ecological Modernisation Reader:Environmental Reform in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Routledge.

99.

Sum, Ngai-Ling. 1998. “Theorizing Export-Oriented Economic Development in East Asian Newly-Industrializing Countries: A Regulationist Perspective,” in Ian Cook(ed). Dynamic Asia: Business, Trade and Economic evelopment in Pacific Asia. Ashgate, pp. 41~77.

100.

York, R., E. Rosa, and T. Dietz. “Ecological Modernization Theory: Theoretical and Empirical Challenges,” in M. Redclift, G. Woodgate(eds.). 2010.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Environmental Sociology(2nd). Northhampton, MA: Edward Elgar.

101.

Young, S. C. 2000. “Introduction: the Origin and Evolving Nature of Ecological Modernization,” in S. C. Young(ed). The Emergence of Ecological Modernisation:Intergrating the Environment and the Economy?. New York: Routledge.

102.

Zuindeau, B. 2007. “Régulation School and Environment: Theoretical Proposals and Avenues of Research.” Ecological Economics, 62, pp. 281~290.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