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농총 마을공동체발전과 공동자원 관리: 함양군 송전리 세동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Rural Community Development based on ABCD strategy: A Case Study of Sedong-maul in Songjeon-ri, Hamyang-gun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7, v.27 no.3, pp.243-273
https://doi.org/10.19097/kaser.2017.27.3.243
정문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민경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최근 마을만들기 등 마을 구성원의 자치적 협력에 바탕을 둔 공동체활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국가도 정책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마을공동체활동이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내재적 과정에 대한 이해가 불충분한 상황에서, 국가의 행정지원사업이 마을공동체의 자율과 자치를 선험적으로 강조하고, 마을공동체활동에 대한 규범적이고 당위적 접근을 강화하고 있다는 비판 또한 제기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함양군에 소재한 세동마을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마을공동체가 정부의 행정지원사업과 지역의 사회경제적 변화라는 대외적 조건과 환경을 활용하여 마을의 공동자원의 확보와 공동체적 자율관리 방식을 확립해온 과정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는 세동마을 구성원들이 사회공간적 조건과 내부의 자원이 열악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국가의 행정지원사업을 자산확보의 중요한 접근경로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세동마을의 경험이 국가의 행정지원사업의 역할과 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고 지적한다.

keywords
Sedong-maul, Songjeon-ri, rural community, community development, commons, common pool resources(CPRs),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ABCD)., 세동마을, 마을공동체, 공동자원, 자산-기반 공동체발전(ABCD)

참고문헌

1.

구도완. 2016. 공동자원과 생태적 공공성: 공동자원의 섬 제주 . 한국환경사회학회. ≪환경사회학연구 ECO≫, 20(2), 401∼410쪽.

2.

국토교통부 수자원개발과. 2014. 댐 사전검토협의회. 문정댐 사업 갈등영향분석 .

3.

김기흥. 2006. 농촌 ‘마을’ 사회자본 탐구를 위한 이론의 구성 . ≪농촌사회≫, 16(1), 7∼42쪽.

4.

김종수·전은호·홍성효. 2012. 공동체자산기반 접근을 활용한 사회적기업 육성 정책방향 모색 .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25(2), 71∼91쪽.

5.

김창민. 2003. 영보의 친족조직과 친족집단 간 관계 . 역사문화학회 편. ≪지방사와지방문화≫, 6권 2호, 학연문화사.

6.

김창민. 2011. 마을의 사회조직과 통합성: 충청남도 원산도, 의항리, 외암마을의 비교 .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2(3), 29∼44쪽.

7.

박소희·구자춘·윤여창·조경만. 2013. 마을숲 보전 사업에 대한 마을 주민의 참여가능성: 남원시 2개 마을의 경우 . 한국임학회. ≪한국임학회지≫, 102(1): 15∼23쪽.

8.

산림청. 2008. 산촌생태마을 2008년 사업매뉴얼 .

9.

성주인·박대식·정은미·민경찬. 2015.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방향(1/5차년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성주인·송미령·정문수·민경찬. 2016.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방향(2/5차년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

손대원. 2011. 농촌개발사업에 선정된 마을의 정치과정-A 마을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 ≪실천민속학연구≫, (17): 2011.2, 191∼223쪽.

12.

송인하. 2010. 마을공동체운동의 성공조건과 과제 . 전북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지방자치연구≫, 14, 33∼64쪽.

13.

송전산촌생태마을조성사업 발표자료. 2007.

14.

스콧. 2010. 국가처럼 보기: 왜 국가는 계획에 실패하는가. 탄자니아의 강제 촌락화: 미학과 모형화. 전상인 역. 에코리브르, 337∼396쪽. / Scott. J. C. 1998. Seeing Like A State: How Certain Schemes To Improve the Human Condition Have Failed.

15.

오스트롬. 2010. 공유의 비극을 넘어; 공유자원 관리를 위한 제도의 진화. 윤홍근, 안도경 역. 알에이치코리아. / Ostrom, E. 1990.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이선미. 2008. 근대사회이론에서 공동체 의미에 대한 비판적 연구 .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42(5), 101∼139쪽.

17.

전대욱·최인수·김건위. 2016. 지역공동체 소유권과 자산화 전략 . 한국행정학회 60주년 기념 하계공동학술대회 및 국제학술대회 자료.

18.

전종한. 2003. 내포지역 海灣開拓의 전개와 景觀變化의 사회적 주체 . 대한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지≫, 38(2), 206∼223쪽.

19.

전종한. 2005. 근현대 民村의 사회공간적 성격과 영역성: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의사례 . 대한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지≫, 40(6), 613∼630쪽.

20.

정문수. 2016. 지역발전전략으로서 ‘사회적 경제’ 프로젝트: 전북 진안군과 완주군사례 연구 .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1.

정영신. 2016. 엘리너 오스트롬의 자원관리론을 넘어서: 커먼즈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접근을 위하여 . 한국환경사회학회. ≪환경사회학연구 ECO≫, 20(1), 399∼442쪽.

22.

채종훈. 2010.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경제적 성과와 파급효과 분석 . 전남대학교박사학위 논문.

23.

최현·김선필. 2016. 공동자원의 지속가능성과 마을만들기 전략: 제주 가시리의사례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사회≫, 26(4), 267∼295쪽.

24.

최현. 2013. 공동자원 개념과 제주의 공동목장: 공동자원으로서의 특징 . 비판사회학회. ≪경제와사회≫, 98, 12∼39쪽.

25.

한상일·김경희. 2013. 한국 사회적 기업의 지역자산 활용: 자산기반지역공동체발전관점에서의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 모색 . 한국지방행정학회. ≪지방행정연구≫, 27(3): 153∼180쪽.

26.

허장·정기환. 2002. 농촌마을의 리더십 구조와 역할에 대한 연구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7.

Chiristenson, J. A. and Robinson, J. N. 1989. Community Development in Perspective. IA: Iowa University Press.

28.

Haines, A. 2009.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in eds. Phillips, R. and Pittman, R. H. An Introduction to Community Development.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38∼48.

29.

Hardin, G. 1968. “The Tragedy of the Commons.” Science 162(3859).

30.

Kretzmann, J. P. and McKnight, J. L. 1993. Building Communities from the Inside Out: A Path Toward Finding and Mobilizing a Community’s Assets. Chicago, IL: ACTA Publications.

31.

Lasch, C. 1995. The Revolt of the Elites and the Betrayal of Democracy. NY: Norton.

32.

Mattessich, P. and Monsey, M. 2004. Community Building: What Makes It Work. MN:Wilder Foundation.

33.

McKnight, J. L. 1995. The Careless Society: Community and its Counterfeits. NY: Basic Books.

34.

Phillips, R. and Pittman, R. H. 2009. “A framework for community and economic development.” in eds. Phillips, R. and Pittman, R. H. An Introduction to Community Development.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5∼19.

35.

http://www.jirisantour.go.kr/(최종접속일: 2017년 5월 10일)

36.

http://luris.molit.go.kr/(최종접속일: 2017년 5월 10일)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