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공간성을 통해 본 아파트 에너지 전환 운동의 확산 양상: 서울시 아파트단지 에너지자립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The Expansion of Apartment Energy Transition Movements from a viewpoint of Spatiality: Focusing on the cases of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 Initiatives by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7, v.27 no.3, pp.190-242
https://doi.org/10.19097/kaser.2017.27.3.190
윤순진 (서울대학교)
박종문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에서는 아파트 단지의 공간적 특성이 에너지 전환 운동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아파트 에너지자립마을 중 대표 사례인 창신동 두산아파트와 신대방동 현대힐스테이트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아파트 단지의 관리소장과 직원, 마을 대표와 주민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위주로 하면서 마을에서 발간한 소개 자료와 신문 기사 등을 함께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아파트 단지의 공간성은 에너지 전환 운동 과정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계성은 집단적인 에너지 소비 관리의 필요성과 함께 에너지 전환 운동을 이끄는 지도자들의 등장 및 그들을 지원하는 주민지원조직과 관련 되어 있었다. 공동성은 에너지 효율화와 생산, 정보 소통, 공동체의 활동 및 인식 확대 역할을 담당하였고, 밀집성은 에너지 절약 극대화, 효율개선 업체 유인, 에너지 생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아파트 공간 특유의 조직인 입주자 대표회의와 관리사무소는 아파트의 공간적 특성을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주체와 지원조직으로 역할하였다. 두 사례에서는 아파트의 공간성이 활용되면서 에너지 전환 인식의 개선뿐만 아니라 아파트와 이웃에 대한 애착과 관심이 향상되기도 하고 공동체가 더욱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서 에너지 전환 운동의 공간으로 아파트 단지가 효과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더 많은 아파트 공간이 에너지 전환 운동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주민과 지방자치단체, 지역활동가들의 기획과 실천이 필요하며, 거주 공간의 에너지 문제에 대해 이해하면서 행동을 변화시켜 나갈 지도자를 발굴하는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energy transition,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s, apartments space, boundedness, commonality, compactedness, council of residents’ representatives, leadership, 에너지 전환, 에너지자립마을, 아파트 공간, 경계성, 공동성, 밀집성, 입주자 대표회의, 리더십

Abstract

This study analysed how spatiality of apartments complexes is utilized in the process of energy transition movements by the cases of Doosan apartments at Changshin-dong and Hyundai Hillstate apartments at Shindaebang-dong. It mobiliz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lated employees and residents, and reviewed village fact sheets and newspaper articles. From the research, it showed that spatiality of apartment complexes has played various functions in the process of energy transition movements as below. Boundedness is connected with the necessity of collective energy consumption management, and allowed to emerge leaders initiating Energy Transition Movements. Boundedness is also related to villagers’ supporting organizations which support leaders. Commonality contributed to improvements of energy efficiency, energy produc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activities of community and increase of community awareness. Compactedness allowed to optimize energy conservation, attract energy efficiency companies, and produce energy through mini-PVs. The Council of Residents’ Representatives and apartments management office, both of which are unique organizations of apartments complexes, worked as subjects directly utilizing spatiality of apartments complexes as well as supporting organizations. Both cases demonstrated that utilization of apartments’ spatiality has resulted in improving awareness on energy transition, attachments to and concerns about apartment complexes and neighbors, and also activating community life. The analysis proved that an apartment complex can be seen as a space to initiate such an energy transition movement. The outcome of this study implies that developing strategies and implementing those by residents in apartments complex, local governments, and local activists are critical in utilizing apartments’ spatiality in energy transition movements and it is essential to discover potential leaders who has well understanding of energy issues and can transform energy consuming behaviors.

keywords
energy transition,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s, apartments space, boundedness, commonality, compactedness, council of residents’ representatives, leadership, 에너지 전환, 에너지자립마을, 아파트 공간, 경계성, 공동성, 밀집성, 입주자 대표회의, 리더십

참고문헌

1.

건축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7972호.

2.

공동주택관리법. 법률 제14793호.

3.

국토교통부. 아파트주거환경통계. http://kosis.kr/index/index.jsp. 최종 검색일: 2017.07.10.

4.

곽현근·유현숙. 2011. 지역사회 주민조직 참여가 인지적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5권 2호, 61∼91쪽.

5.

김덕영. 2007. 아파트의 아파트에 의한 아파트를 위한 나라 . ≪인물과사상≫, 통권 114호, 61∼71쪽.

6.

김순은·권보경. 2016. 도시공동체의 주민자치와 사회자본: 입주자대표회의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지방행정연구≫, 제30권 1호, 41∼76쪽.

7.

김칠준. 1999. 도시공동체운동으로서의 아파트공동체운동의 전망 . 도시와 빈곤, 제39권, 47∼58쪽.

8.

김해숙·정복환·이재성. 2014. 아파트 공동체 주민참여의 사회관계 분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5권 6호, 75∼84쪽.

9.

박종문·윤순진. 2016. 서울시 성대골 사례를 통해 본 도시 지역공동체 에너지 전환운동에서의 에너지 시민성 형성 과정 . ≪공간과 사회≫, 제26권 1호, 79∼138쪽.

10.

박인석. 2013. 아파트 한국사회: 단지 공화국에 갇힌 도시와 일상. 서울: 현암사.

11.

박진희. 2009. 지역의 에너지 자립. 어떻게 가능한가?: 전북 부안 하서면을 사례 지역으로 . ≪환경과 생명≫, 통권 61호, 157∼177쪽.

12.

박철수. 2006. 아파트의 문화사. 파주: 살림.

13.

박철수. 2013. 아파트: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이 지배하는 사회. 서울: 마티.

14.

산업통상자원부. 2016. 에너지총조사. http://kosis.kr/index/index.jsp. 최종 검색일: 2017.07.10.

15.

서울특별시. 2013. 아파트 관리비 내리기 길라잡이.

16.

신대방 현대힐스테이트 아파트. 2016. 2014~2016년 에너지자립마을-자립과 생산을 이야기하다.

17.

윤순진·이유진. 2008. 제5장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지역에너지 자립 . 박순애 ·윤순진·문태훈·조용성·김정인. 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 서울: 법문사.

18.

윤순진·김소연·정민지. 2011. 한국과 일본 원자력 사회기술체계 발전 경로의 유사성과 상이성 . ≪ECO: 환경사회학연구≫, 제15권 2호, 147∼195쪽.

19.

윤순진·심혜영. 2015.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략적 틈새로서 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의가능성과 제도적 한계: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 ≪공간과 사회≫, 제25권1호, 140~178쪽.

20.

은난순·곽도. 2005. 공동주택 입주자대표회의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연구: 신도시를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16권 1호, 37∼45쪽.

21.

이유진·이승지·김희선, 2008. 에너지자립마을 만들기 가이드북.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22.

이유진. 2009. [지역에너지분과] 집중·의존에서 분산·자립으로: 에너지 자립형 지역만들기 . ≪전국지역리더대회≫, 235~268쪽.

23.

이유진. 2016. 에너지전환을 위한 주민주도 에너지자립마을의 틈새전략: 성대골 에너지자립마을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4.

이정필·한재각. 2014. 영국 에너지전환에서의 공동체에너지와 에너지시티즌십의 함의 . ≪ECO: 환경사회학연구≫, 제18권 1호, 73~112쪽.

25.

임석회·이철우·전형수. 2003. 아파트 주거공간에 기초한 지역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9권 3호, 314∼328쪽.

26.

임연수. 2011. 국내 아파트단지 공용공간계획의 질(質)적 변화특성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7권 3호, 253∼260쪽.

27.

전상인. 2009. 아파트에 미치다: 현대한국의 주거사회학. 서울: 디자인하우스.

28.

정헌목. 2012. 게이티드 커뮤니티의 공간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함의 . ≪서울도시연구≫, 제13권 1호, 37∼56쪽.

29.

정헌목. 2016. 가치 있는 아파트 만들기: 수도권 브랜드 단지에서의 공동체 형성의 조건과 실천 . ≪비교문화연구≫, 제22권 1호, 485∼540쪽.

30.

조미성·윤순진. 2016. 에너지전환운동과정에서의 생태시민성 학습: 서울시 관악구 에너지자립마을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 ≪공간과사회≫, 제26권4호, 191∼229쪽.

31.

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7794호.

32.

주택법, 법률 제14344호.

33.

주택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8095호.

34.

최근열·장영두. 2002. 주민자치를 위한 지역공동체로서 아파트공동체형성의 가능성과 강화방안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4권 2호, 159∼180쪽.

35.

최병두. 2000. 특집/위기의 도시, 어떻게 할 것인가 6-도시 공동체 운동의 실태와 전망-아파트 주민 운동을 중심으로 . ≪환경과생명≫, 통권 24호, 90∼103쪽.

36.

최병두. 2005. 도시공동체를 위한 아파트 단지 공유공간의 활성화 .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8권 3호, 35∼52쪽.

37.

통계청. 인구총조사. http://kosis.kr/index/index.jsp. 최종 검색일: 2017.07.10.

38.

한국전력공사. 전기공급약관 세칙. http://cyber.kepco.co.kr/ckepco/front/jsp/CY/D/C/CYDCHP00101.jsp. 최종검색일:2017.07.10.

39.

홍덕화·이영희. 2014. 한국의 에너지 운동과 에너지 시티즌십 . ≪ECO: 환경사회학연구≫, 제18권 1호, 7∼44쪽.

40.

Atkinson, R. & Blandy, S. 2005. “Introduc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he New Enclavism and the Rise of Gated Communities.” Housing Studies, 20(2), pp.177∼186.

41.

Devine-Wright, P. 2007. “Energy Citizenship: Psychological Aspects of Evolution in Sustainable Energy Technologies.” Governing Technology for Sustainability, pp.63∼86.

42.

Geels, F. W. 2002. “Technological transitions as evolutionary reconfiguration processes: a multi-level perspective and a case-study.” Research Policy, 31 (8/9), pp.1257∼1274.

43.

Geels, F. W. 2004. “From sectoral systems of innovation to socio-technical systems: insights about dynamics and change from sociology and institutional theory.” Research Policy, 33(6/7), pp.897∼920.

44.

Gelézeau, V. 2003. Séoul, ville géante, cités radieuses. 길혜연 옮김. 2007. 아파트 공화국: 프랑스 지리학자가 본 한국의 아파트. 서울: 후마니타스.

45.

Hillery, G. 1955.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1), pp.111∼123.

46.

Walker, G. & Devine-Wright. 2008. “Community renewable energy: What should it mean?” Energy Policy, 36(2), pp.497∼500.

47.

Yin, R. K. 200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신경식·서아영 공역. 2005. 사례연구방법. 서울: 한경사.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