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주민참여기반 사회적경제조직의 역할과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and the Roles of the Community-led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for Urban Regeneration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8, v.28 no.3, pp.12-47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3.12
서수정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 연구위원)
성은영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서 새로운 핵심 주체로 등장한 사회적 경제 조직이 현재와 같은 정책 추진 기반에서 지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체로 지속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사회적 경제 조직이 지역 활성화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주체로서 지속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도시재생사업 초기 단계부터 핵심 주체가 참여해 비전을 공유하고 사업 계획을 수립하는 데 직접 참여해야 하며, 자립성 확보를 위한 전문성을 갖추도록 역량 강화에 힘써야 한다. 또한 다양한 관련 주체와의 협력과 긴밀한 연대가필요하며, 전문가의 지원이 수반되어야 하며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거버넌스로 구축되어야 한다. 사회적 경제 조직이 자립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면이러한 네 가지 조건을 바탕으로 조직원들의 역량이 결집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에서 사회적 경제 조직의 탄생과 성장 과정을 영주시 선도지역을 대상으로 심층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경제 조직의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영향 요인을 네 가지 전제 조건에 따라 진단했다. 그 결과로서 사회적 경제 조직의 자립성과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시재생활성화 계획 수립 절차의 개선, 사회적 경제 조직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 경제 조직의역할 재정립, 사회적 경제 조직이 운영 가능한 규모의 거점 시설 조성과 사회적 경제 조직의 도시재생사업 참여를 위한 ‘공유재산법’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keywords
Urban Regeneration, Social Economy,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lan, Community-led Urban Regeneration, 도시재생, 사회적 경제,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주민참여기반 도시재생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 2016. 「근린재생형 사업시행가이드라인」.

2.

김경희. 2013. 「사회적 경제를 통한 지역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마을기업과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제3권 2호, 126~150쪽.

3.

김의영·임기홍. 2015.5. 「한국 사회적 경제 조직 지형도」. ≪OUGHTOPIA≫, 30(1). 경의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61~92쪽.

4.

김태영. 2012.9. 「사회적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공동체 정신」. ≪한국도시행정학보≫, 제25집 3호, 31~64쪽.

5.

김현종·김성근·김혜원·이영수. 2015. 「2014 사회적 기업 성과 분석」.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42~130쪽.

6.

박세훈·임상연·정소양·김영빈. 2014. 「도시재생 추진을 위한 사회적 경제 조직 마스터를랜 수립연구」. 세종: 국토교통부, 14~16쪽.

7.

부산시. 2015. 「마을공동체 현황보고서」.

8.

사회투자지원재단. 2014. 「조직진단 컨설팅 결과보고서」.

9.

사회투자지원재단. 2013. 「사회적 기업의 전략적 조직운영」.

10.

사회투자지원재단. 2012. 「늘푸름조직 진단 설문조사」.

11.

산업자원부. 2006. 「지속가능경영 자가 진단 지표」.

12.

서수정·차주영·성은영·박지은. 2018. 「영주시 도시재생 선도 사업 종합운영체계 및성과관리방안」. 영주: 영주시.

13.

신우진·신우화·박세훈·김재경·나주몽. 2016. 「도시재생과 사회적 경제」. ≪도시정보≫, 통권410호, 3~18쪽.

14.

아름다운재단. 2012. 「아름다운재단 조직진단도구」.

15.

이석현. 2016.5. 「사회적 경제가 결합된 도시재생의 방향」. ≪도시정보≫, 통권410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6.

장원봉. 2015. 「지역재생을 위한 사회적 경제의 의미와 역할」. ≪국토≫, 통권409호, 국토연구원, 6~11쪽.

17.

최영출·이상엽. 2015. 「사회적 기업의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QCA방법의적용」.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9권 1호, 157~178쪽.

18.

최조순·김태영·김종수. 2011. 「도시재생과 사회적 기업의 역할」. ≪도시행정학보≫, 제24집 1호, 한국도시행정학회, 283~302쪽.

19.

Duncan, Pete and Sally Thomas. 2002. Neighbourhood regeneration. Joseph Rowntree Foundation.

20.

Williams, Gwyndaf. 2003. The Enterprising City Centre. Spon Press: London.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