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이 논문은 서울시 도시재생 활동가 교육을 사례로 우리의 정부 - 시민사회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것이 도시재생 정책에 갖는 함의가 무엇인지 살피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시는 2015년부터 도시재생 활동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배출된 활동가를 도시재생 현장에 배치해 주민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도시재생 활동가 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그리고 교육 과정의 기획자, 강사 및 수강생들에 대한 심층 면접 결과, 도시재생 활동가는 주민의 이해를 대변하는 현장활동가로서의 역할보다는 정책사업 추진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역할에치중하고 있었다. 정부는 시민사회가 취약한 상황에서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을 위해 ‘참여하는 주민’을 만들어내야 했으며, 이를 현장에서 지원할 수 있는 활동가의역할이 필요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최근 우리 도시 정책에서 증대되고 있는 정부와 시민사회의 협력적 관계는 시민사회의 성장에 따른 결과로 이해할 수 없다. 정부와 시민사회는 어느 때보다 상호 침투하는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만, 정부와 시민사회가 균형적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 새로운관계에서 정부의 역할은 더욱 정교해지고 시민사회는 정책의 여건에 맞게 새롭게구성된다.
강명구. 2000. 「정부와 NGO 관계」. 2000년 한국행정학회 세미나 자료집.
관계부처 합동. 2018. 「내 삶을 바꾸는 도시재생 뉴딜」.
국토교통부. 2016. 「도시재생활성화 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김동노. 2013. 「시민운동의 정치 참여를 통해 본 시민운동의 성장과 한계」. ≪현상과인식≫, 제37권 3호, 59∼85쪽.
김동춘. 2011. 「1971년 8•10 광주대단지 주민항거의 배경과 성격」. ≪공간과 사회≫, 제38권, 5∼33쪽.
김정원. 2017. 「영국 지역주권주의와 주민자치」. ≪서울마을≫, 제1호.
마을만들기 전국네트워크(편). 2013. 『마을만들기지원센터의 전국적 현황과 전망』. 경기: 국토연구원.
민병로. 2010. 「일본 시민사회의 구조와 법인화-NPO법인 제도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제10권 2호, 125∼160쪽.
박세훈. 2015.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 운영특성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28집3호, 75∼104쪽.
박세훈•임상연. 2014. 「도시재생 중간지원조직 연구」. 경기: 국토연구원.
서순복. 2011. 「지방자치단체와 시민사회단체 간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광주광역시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5권 4호, 53∼79쪽.
서울특별시 도시재생지원센터. 2017. 『희망지에서 도시재생의 희망을 찾다』.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살고 싶은 마을만들기: 시범사업의 성과와 과제』. 경기: 국토연구원.
윤광재. 2008. 「정부와 NGO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공무원 인식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20권 2호, 575~601쪽.
이숙종. 2006. 「일본의 NPO 부문과 정부-NPO 관계의 변화」. 『한국사회와 일본사회의 변용』.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정규호. 2012. 「한국 도시공동체운동의 전개과정과 협력형 모델의 의미」. ≪정신문화연구≫, 제35권 2호, 7∼34쪽.
정정화. 2006. 「정부와 NGO의 관계 비교연구: 미국, 일본, 한국의 NGO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7권 1호, 47∼79쪽.
조명래. 2011. 「8•10 성남대단지사건의 재해석과 성남 도시정체성의 모색: 도시권리의 관점에서」. ≪공간과 사회≫, 제38권, 34∼66쪽.
하성규. 2003. 『한국도시 재개발의 사회경제론』. 박영사.
Alcock, Pete. 2012. “The Big Society: a New Policy Environment for the Third Sector?”Voluntary Sector Review, 1(3), pp. 379∼390.
Bode, I. 2006. “Disorganized Welfare Mixes: Voluntary Agencies and New Governance Regimes in Western Europe.”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16(4), pp. 346∼359.
Carmel, Emma and Jenny Harlock. 2008. “Instituting the ‘Third Sector’ as a Governable Terrain: Partnership, Procurement and Performance in the UK.” Policy & Politics, 36(2), pp. 155∼171.
Chanpman, Tony, Judith Brown and Robert Crow. 2008. “Entering a Brave New World? An Assessment of Third Sector Readiness to Tender for the Delivery of Public Services.” Policy Studies, 29(1), pp. 1∼17.
Garon, Sheldon. 1998. Molding Japanese Minds: the State in Everyday Life. Princeton University Press.
Haddad, Mary Alice. 2011. “A State-in-Society Approach to the Nonprofit Sector: Welfare Services in Japan.” Voluntas, 22(1), pp. 26∼47.
Jessop, B. 2002. “Governance and Meta-governance in the Face of Complexity: on the Roles of Requisite Variety, Reflexive Observation, and Romantic Irony in Participatory Governance.” in H. Heinelt, P. Getimis, G. Kafkalas, R. Smith and E. Swyngedouw (eds.) Particpatory Governance in Multi-level Context. Concepts and Experience. Opladen: Leske & Budrich.
Kaufmann, F-X. 2001. “Towards a Theory of the Welfare State.” in S. Leibfried (ed.)Welfare State Futur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Kim, Sangmin. 2017. “From Protest to Collaboration: The Evolution of the Community Movements amid Sociopolitical Transformation in South Korea.” Urban Studies, 54(16), pp.3806~3825.
Kooiman, J. 2003. Governing as Governance. London: Sage.
Shin, Haeran and Kyungeun Lee. 2017. “Participatory Governance and Trans-sectoral Mobilities: The New Dynamics of Adaptive Preferences in the Case of Transport Planning in Seoul, South Korea.” Cities, 65, pp. 87∼93.
Shin, Hyun Bang. 2018. “Urban Movements and the Genealogy of Urban Rights Discourses: The Case of Urban Protesters against Redevelopment and Displacement in Seoul, South Korea.” Annal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Geographers, 108(2), pp. 356∼369.
Young, Dennis R. 2000. “Alternative Models of Government-Nonprofit Sector Relations:Theoretic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29(1), pp. 149∼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