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2016년 촛불집회시위의 공간성에 관한 고찰

Analysis on the Spatiality of the 2016 Candlelight Protests in South Korea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8, v.28 no.3, pp.166-200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3.166
황진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박배균 (서울대학교)

Abstract

이 연구는 2016년 촛불집회 시위의 공간성에 주목한다. 특히, 광화문광장의 물리적 범위를 넘어선 서울 도심과 부도심, 지방도시에서 나타난 수많은 이질적이고 다양한 힘들 간의 다중적이고 복합적인 접합의 양상을 드러내는 데 주력했다. 또한, 시기마다 촛불집회가 발생한 광장의 물리적, 담론적, 관계적 특성은 상이했으며, 집회에 참가한 사회세력들은 다양하고, 우발적인 공간적 배치, 의미, 특성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사회운동의 공간을 창발적으로 생산, 재생산했음을 보이고자했다. 이러한 공간적 분석을 통해 2016년의 촛불항쟁을 ‘혁명’으로 서둘러 기념화, 역사화하기보다는 촛불항쟁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좀 더 차분한 접근과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공간적 분석은 이를 통해 드러나는 촛불항쟁의다중성, 복합성, 창발적 역동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2016년의 사례를 과거의달콤한 기억으로 박제화하거나, 혹은 현실의 한계에 굴복한 실패한 운동으로 폄하하기보다는 한국 사회운동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중요한 경험적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The 2016 Candlelight Protest, spatiality of social movement, politics of agora, liberal hegemony, radical democracy, 2016년 촛불집회, 사회운동의 공간성, 광장의 정치, 자유주의 헤게모니, 급진 민주주의

참고문헌

1.

강준만. 2008. 「‘스펙터클’로서의 촛불시위」. ≪인물과사상≫, 제124권, 46~59쪽.

2.

권영숙. 2018. 「촛불의 운동정치와 87년 체제의 ‘이중 전환’」. ≪경제와사회≫, 제117권, 62~103쪽.

3.

김상준. 2017. 「“2016-2017년 촛불혁명의 역사적 위상과 목표: ‘독재의 순환고리 끊기’와 ‘한반도 양국체제 정립’”」. ≪사회와이론≫, 제31집, 63~90쪽.

4.

김윤식. 2009. 「지방화 시대의 issue: 고속도로 개통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빨대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5권 3호, 129~145쪽.

5.

김윤철·서복경·이승원·이철희·김건우. 2017. 「<촛불 1주년 포럼> 촛불은 우리에게무엇이었나 “광장이 던진 질문과 시민사회 운동의 과제”」. ≪시민과 세계≫, 제31호, 225~247쪽.

6.

김형주. 2010. 「광주촛불집회의 참여 주체와 주체성 변화」. ≪진보평론≫, 제43권, 252~284쪽.

7.

랑시에르, 자크(J. Rancière). 2015. 불화 . 진태원 옮김. 길.

8.

문재완. 2011. 「고정출연심의규정, 소위 ‘소셜테이너(socialtainer) 출연금지법’의 헌법적합성 연구」. ≪공법연구≫, 제40권, 291~313쪽.

9.

박배균. 2012. 「한국학 연구에서 사회-공간론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대한지리학회지≫, 제47권 1호, 37~59쪽.

10.

박성진. 2017. 「촛불의 시민성: 시민사회를 넘어서는 시민」. ≪시민과 세계≫, 제30호, 1~25쪽.

11.

서영표. 2017. 「변화를 향한 열망, 하지만 여전히 규율되고 있는 의식: 2016년 촛불시위에 대한 하나의 해석」. ≪마르크스주의 연구≫, 제14권 1호, 65~90쪽.

12.

이동연. 2008. 「촛불집회와 스타일의 정치」. ≪문화과학≫, 제55권, 150~167쪽.

13.

이동연. 2012. 「우리 시대 연예인의 권력을 보는 두 가지 관점」. ≪문화과학≫, 제69권, 148~156쪽.

14.

이동연. 2017. 「촛불의 리듬, 광장의 문화역동: 민주주의 정치를 위한 인식적 지도그리기」. ≪마르크주의 연구≫, 제14권 1호, 91~117쪽.

15.

이원재. 2017. 「블랙리스트 예술검열에 저항하는 예술운동의 실천과 전망」. ≪문화과학≫, 제89권, 127~144쪽.

16.

임채원. 2017. 「마키아벨리적 모멘트로서 시민적 공화주의」. ≪시민과 세계≫, 제30호, 55~108쪽.

17.

정현주. 2006. 「사회운동의 공간성: 사회운동연구에 있어서 지리학적 기여에 대한탐색」. ≪대한지리학회지≫, 제41권 4호, 470~490쪽.

18.

조남건·이훈기·진시현. 2005.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빨대효과 분석 . ≪국토연구≫, 제47권, 107~123쪽.

19.

황진태. 2011a. 「2008년 촛불집회시위의 공간성에 관한 고찰」. ≪경제와사회≫, 제90권, 262~289쪽.

20.

황진태. 2011b. 「도시권의 측면에서 바라본 광장의 정치」. ≪공간과사회≫, 제35권, 42~70쪽.

21.

황진태. 2016. 「발전주의 도시에서 도시 공유재 개념의 이론적·실천적 전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9권 2호, 1~16쪽.

22.

황진태·권희조. 2017. 「‘차이들을 위한 영역화’ 전략에 대한 고찰: 2016년 광화문 촛불집회에서의 페미존을 사례로」. 2017 비판사회학대회 학술대회자료집, 역사적 전환과 체제 변동: 2017년, 희망의 변곡점 , 439~452쪽.

23.

황진태·정현주. 2015. 「페미니스트 공간연구에 다중스케일적 접근 접목하기: 여성운동연구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제50권 1호, 123~139쪽.

24.

Brenner, N. 2013. “Theses on urbanization.” Public Culture, Vol. 25, No. 1, pp. 85~114.

25.

Merrifield, A. 2013. “The urban question under planetary urbaniz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Vol. 37, No. 3, pp. 909~922.

26.

Soja, E. W. 1980. “The socio-spatial Dialectic.”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Vol. 70, No. 2, pp. 207~225. <기사>

27.

≪경향신문≫. 2016.11.3. “전국서 촛불, 부산은 3만 명 모여 … 6월항쟁 이후 최대규모”.

28.

≪내일신문≫. 2016.11.21. “부산·대구·광주·대전 … 바람 탄 촛불 전국 확산”.

29.

≪노컷뉴스≫. 2016.11.19. “‘박근혜 퇴진’ 전국 95만 촛불 타올라 … 부산·광주도 10만 운집”.

30.

≪뉴스1≫. 2016.11.26. “[5차촛불] 꽃 스티커·하야초·그만두유 … 개성만점 집회 퍼포먼스”.

31.

≪뉴시스≫. 2016.11.12. “[광화문 촛불집회][종합] 靑, 비상근무체제 … “촛불 민심 무겁게 느낀다””.

32.

≪뉴시스≫. 2016.12.19. “촛불은 어떻게 저항했나 … 평화시위 ‘찬란한 유산’”.

33.

≪민중의 소리≫. 2015.11.13. “‘노동 개악·쌀값 폭락·국정교과서 반대’ 15만 명 모인다”.

34.

≪서울신문≫. 2016.12.3. “232만 촛불, 6월 항쟁을 넘었다”.

35.

≪세계일보≫. 2016.11.13. “‘풍자와 소통’ 평화시위, 즐기다 … 달라진 집회문화”.

36.

≪시사저널≫. 2016.12.6. “촛불집회 현장 문화코드 따라잡기: ‘11월 항쟁’ 민주주의축제가 되었다”.

37.

≪YTN뉴스≫. 2016.12.3. “6번째 촛불 집회 … “靑 100m 앞 첫 허용””.

38.

≪SBS뉴스≫. 2016.12.24. “청와대, ‘성탄 촛불’ 앞 9주째 비상근무”.

39.

≪MBN뉴스≫. 2016.11.14. “100만 촛불집회 이후 … 대학생들 동시다발 시위 벌인다”.

40.

≪연합뉴스≫. 2017.6.4. “촛불집회 열린 2016년 폭력시위 10년 중 가장 적었다”.

41.

≪제주의 소리≫. 2016.12.3. “제주, 역대 최대 1만여 촛불 … ‘범죄자 박근혜’”.

42.

≪중앙일보≫. 2016.11.13. “6월항쟁 넘은 사상 최대 … 법원, 청와대 인근 행진 첫허용”.

43.

≪중앙일보≫. 2016.11.24. “대학생들, 오늘 저녁 서울 도심 곳곳서 ‘2차 동시다발 시위’”.

44.

≪한겨레≫. 2016.11.17. “경찰 ‘율곡로 촛불행진’ 제동 … 청와대 지침 있었나?”

45.

≪한겨레≫. 2016.11.19. “[전국 촛불] 10만 부산 시민의 외침 ‘박근혜 하야’”.

46.

≪한겨레≫. 2016.11.23. “평일에도 이어지는 ‘하야 운동’ … 우리 동네 ‘촛불 지도’도등장”.

47.

≪한겨레≫. 2016.11.29. “불통 상징 ‘차벽’ 없어질 때까지 ‘꽃벽’으로 저항해요”.

48.

≪한겨레≫. 2016.12.2. “박근혜 퇴진 촉구하는 ‘전북하야지도’ 나와”.

49.

≪헤럴드경제≫. 2016.11.25. “이번 주말엔 ‘200만 촛불’② ‘광화문 평일 촛불집회’한 달, ‘100만 촛불’ 밑거름됐다”.

50.

2016 민중총궐기 서울지역 투쟁본부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2016seoulpeople.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