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재난 대응 거버넌스에서 지역 NGO의 역할 : 안산 세월호 참사 사례를 중심으로

The Roles of Local NGOs in Disaster Governance: The Cas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8, v.28 no.4, pp.210-250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4.210
이용숙 (고려대학교)
박승빈 (고려대학교)
송유정 (고려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지역 NGO들을 재난 대응 거버넌스에서 중요한 행위자로 보면서, 안산시 지역 NGO들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이 큰 지역 NGO들은 옹호형 NGO들과 규제형 NGO들이며, 이들은 사회적·정치적 애도 의례 실행을 통해 참사의 원인 규명을 국가와 사회에 호소하고압박하는 역할을 실행했다. 반면에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은 크지 않았지만, 피해 지역에 위치한 서비스 제공자형 NGO들은 자원봉사자 코디네이팅과 지역 기관 및 자원 연계, 사회적·정치적 애도 의례 실행, 알선자로서 갈등 완화 등과 같은 중재자 역할을 담당하면서, 안산 재난 거버넌스를 작동시키는 데 기여했다. 본연구는 사례 연구법에 입각해 문헌연구, 네트워크 분석,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keywords
재난 대응 거버넌스, 지역 NGO, 중재자, 지역사회, 세월호, disaster governance, local NGOs, mediator, local community, the Sewol Ferry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network of local NGOs and their roles in disaster governance, viewing local NGOs as significant actor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ocal resilience. This study has two major findings. Local NGOs as advocates and as regulators are influential in their network and appeal for the investigation of causes of the disaster, pressing the government through social and political condolence activities. Local NGOs as service providers, which is less influential in their network, act as mediators and thus contribute to vitalizing the disaster governance in Ansan by the following three ways: ① coordinating volunteers and linking local institutions and resources to the victims and the local residents, ② organizing social and political condolence rites, and ③ alleviating local conflicts. This study is mainly based on a case study including archival research, social network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keywords
재난 대응 거버넌스, 지역 NGO, 중재자, 지역사회, 세월호, disaster governance, local NGOs, mediator, local community, the Sewol Ferry

참고문헌

1.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2016. 「단원고 학생 생존자 및 가족 대상 실태조사 연구」.

2.

강미경·전구훈. 2016. 「사회적 재난대응을 위한 복지관 네트워크 ‘우리함께’ 사례연구」. 「2016년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46쪽.

3.

강윤재. 2011. 「원전사고와 민주적 위험 거버넌스의 필요성」. ≪경제와사회≫, 제91호, 12∼39쪽.

4.

강현철. 2016. 「정책네트워크 관점에서 본 세월호 참사 갈등과정 분석」. ≪GRI 연구논총≫, 제18권 2호, 127∼152쪽.

5.

김도균·박재묵. 2012.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이후 재난관리 거버넌스 구축 실패와 재난 복원력의 약화」. ≪환경사회학연구 ECO≫, 제16권 1호, 7∼43쪽.

6.

김명희. 2015. 「고통의 의료화: 세월호 트라우마 담론에 대한 실재론적 검토」. ≪보건과 사회과학≫, 제38권, 225∼245쪽.

7.

김병섭·김정인. 2014. 「관료 (무)책임성의 재해석: 세월호 사고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8권 3호, 5∼38쪽.

8.

김수영·성정숙·김주미. 2016. 「세월호 참사 유가족과의 동고(同苦)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11권 3호, 95∼129쪽.

9.

김왕배. 2014. 「‘트라우마’의 치유과정에 대한 사회학적 탐색과 전망」. ≪보건과 사회과학≫, 제37권, 5∼24쪽.

10.

김종성. 2003. 「제3섹타의 구성범위에 관한 미·유럽에서의 논의 비교」.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0권, 325∼345쪽.

11.

노진철. 2015. 「재난에 노출된 공동체의 탄력성 위기와 시민사회단체의 역할 변화-세월호 참사 사례의 안산시를 중심으로」. ≪신학과 사회≫, 제29권 2호, 133∼179쪽.

12.

민문경·주혜선·안현의. 2016. 「사회적 공감 잠재계층 분류에 따른 재난 이후 사회적 공유와 공동체 리질리언스의 차이」. ≪상담학연구≫, 제17권 6호, 183∼204쪽.

13.

민지원·심기선·이수상·안현의. 2017. 「재난심리지원을 위한 협력네트워크에 관한 사회네트워크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제13권 4호, 1∼18쪽.

14.

박수경. 2017. 「세월호 참사 이후 지역 커뮤니티에 형성된 치유의 공간에 대한 지리적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제52권 8호, 25∼53쪽.

15.

신혜란. 2016. 「기억의 영토화: 세월호 기억공간 형성과정을 사례로」. ≪공간과사회≫, 제57권, 115∼154쪽.

16.

엄현섭. 2015. 「한국전쟁과 지역문학의 전개」. ≪우리문학연구≫, 제46권, 267∼291쪽.

17.

유해정. 2018. 「정치적 애도를 통한 삶의 재건」. ≪민주주의와 인권≫, 제18권 2호, 181∼220쪽.

18.

이명석·오수길·배재현·양세진. 2008. 「재난대응 거버넌스 분석-민간자원봉사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17권 3호, 163∼189쪽.

19.

이선영. 2014. 「행정 책임성에 관한 연구: 일본의 설명책임과 한국의 개인책임 비교분석을 통해 본 세월호 참사」. ≪정부와 정책≫, 제7권 1호, 99∼120쪽.

20.

이영희. 2010. 「참여적 위험 거버넌스의 논리와 실천」. ≪동향과 전망≫, 제79호, 281∼314쪽.

21.

이영희. 2014. 「재난 관리, 재난 거버넌스, 재난 시티즌십」. ≪경제와사회≫, 제104호, 56∼80쪽.

22.

이재은·양기근. 2004. 「재난관리의 효과성 제고 방안-시민참여와 거버넌스」. ≪현대사회와 행정≫, 제14권 3호, 53∼81쪽.

23.

이제연. 2016. 「재난지역 공동체 회복 프로그램 개발」. 「한국지역개발학회 2016년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133∼151쪽.

24.

이현정. 2016. 「세월호 참사와 사회적 고통」. ≪보건과 사회과학≫, 제43권, 63∼83쪽.

25.

이호영. 2017. 「세월호 특조위 활동과 박근혜 정부의 방해」. ≪민주법학≫, 제63권, 205∼245쪽.

26.

임남희·김성균·김정진. 2017. 「재난 이후 공동체 회복력 향상을 위한 커뮤니티 지원 방안 연구」. 「안산더좋은사회연구소 2017년 학술보고회 자료집」, 12∼52쪽.

27.

임승빈. 2017. 「재난의 복합화 현상에 따른 복원력(resilience)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21권 4호, 179∼195쪽.

28.

정원옥. 2014. 「세월호 참사의 충격과 애도의 정치」. ≪문학과학≫, 제79권, 48∼66쪽.

29.

정유선. 2014. 「재난 거버넌스와 국가-사회 관계」. ≪아세아연구≫, 제57권 2호, 7∼46쪽.

30.

정지범·최상옥. 2009. 「위기관리와 협력적 거버넌스」. 정지범·김근세 엮음. 「위기관리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법문사, 22∼56쪽.

31.

최미정. 2015. 「특별재난지역에서의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 재난관리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에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최성욱·이재열. 2007. 「지역사회와 위험 거버넌스 구축」. ≪지방정부연구≫, 제10권 4호, 237∼259쪽.

33.

최창현. 2014. 「정부 관료제의 문제점 분석과 대책」.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8권 3호, 55∼84쪽.

34.

최희천. 2010. 「재난관리 단계의 기존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대응단계와 복구단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제6권 1호, 201∼218쪽.

35.

한소정. 2017a. 「세월호 재난이후 지역공동체 회복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안산더좋은사회연구소 2017년 학술보고회자료집」, 54∼78쪽.

36.

한소정. 2017b. 「트라우마 센터에서 근무한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9권 2호, 219∼246쪽.

37.

한소정. 2018. 「재난 관련 사회복지실천 구성 경험 연구: 세월호 참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한소정·박미정. 2017. 「트라우마 센터에서 근무한 사회복지사들의 경험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7권 4호, 476∼509쪽.

39.

Beck, U. 1992. Risk Society: Toward a New Modernity. London: Sage(「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1997. 홍성태 옮김. 새물결).

40.

Beer, C. T., T. Bartley and W. T. Roberts. 2012. “NGOs: Between advocacy, service provision, and regulation.” in David Levi-Faur (ed.). The Oxford Handbook of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41.

Dichter, T. W. 1999. “Globalization and its effects on NGOs: Efflorescence or a blurring of roles and relevance?”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28(1_suppl), pp. 38∼58.

42.

Freeman, L. C. 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 pp. 215∼239.

43.

Koliba, C. J., R. M. Mills and A. Zia. 2011. “Accountability in governance networks:An assessment of public, private, and nonprofit emergency management practices following Hurricane Katrina.”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71(2), pp. 210∼220.

44.

McLoughlin, D. 1985. “A framework for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 pp. 165∼172.

45.

Pestoff, V. 1998. Beyond the Market and the State: Social Enterprises and Civil Democracy in a Welfare Society. Ashgate.

46.

Petak, W. J. 1985. “Emergency management: A 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 pp. 3∼7.

47.

Pickett, J. H. and A. B. Block. 1991. “Day-to-day management.” in ICMA Press. Emergency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Local Government.

48.

Rodin, J. 2015. The Resilience Dividend. Profile Books.

49.

Salamon, L. M. and H. K. Anheier. 1994. The Emerging Sector: The Nonprofit Sector in Comparative Perspective: An Overview. Johns Hopkins University,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50.

Takeda, M. B. and M. M. Helms. 2006. “‘Bureaucracy, meet catastrophe’ Analysis of Hurricane Katrina relief efforts and their implications for emergency response govern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Sector Management, 19(4), pp. 397∼411.

51.

Tierney, K. 2012. “Disaster governanc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dimensions.” Annual Review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37, pp. 341∼363.

52.

Wasserman, S. and K. Faust.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Waugh Jr, W. L. and G. Streib. 2006. “Collaboration and leadership for effective emergency manage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6, pp. 131∼140.

54.

김기성. 2014.7.23. “인터넷카페 ‘엄마의 노란 손수건’ … “자식 둔 엄마이기에 행동 나선 것”.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48288.html(검색일: 2018.9.11).

55.

김신의. 2017.9.18. “세월호 참사 치유회복공간 <힐링센터0416 쉼과힘> 마무리 감사예배”. ≪크리스천투데이≫. http://www.christiantoday.co.kr/news/304072(검색일: 2018.9.6).

56.

박준배. 2015.7.15. “세월호 생존학생 쉼터 마련 ‘하루밥집’”. ≪광주in≫.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87529(검색일: 2018.9.6).

57.

박준배. 2015.11.13. “세월호 생존학생 쉼터 ‘쉼표’ 14일 개관”. ≪광주in≫.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88860(검색일: 2018.9.6).

58.

박호열. 2014.9.15. “단원고 앞에 세월호 치유 ‘힐링센터’ 문 열었다”. ≪오마이뉴스≫. 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33220(검색일: 2018.8.22).

59.

박호열. 2015.1.1. “97년생 수학여행, 왜 이다지도 힘들었을까”.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68598&PAGE_CD=&BLCK_NO=&CMPT_CD=M0028(검색일: 2018.9.11).

60.

서준영. 2017.4.14. “전국 각지 세월호참사 추모문화제 일정”.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16507(검색일: 2018.9.11).

61.

이복한. 2014.9.15. “세월호 치유공간 ‘힐링센터 0416 쉼과 힘’ 개관”. 연합뉴스. 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9/15/0200000000AKR20140915102700061.HTML(검색일: 2018.9.6).

62.

이종구. 2018.4.15. “‘잊지 않을게요’ 세월호 4주기 전국에 추모 물결”.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a7589f3c9257449292eed07ad95add21(검색일:2018.9.11).

63.

이종일. 2017.4.14. “[세월호 3주기]안산 사회단체, 피해자 지원 ‘지속’ … “끝까지 함께””.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413_0014829770(검색일: 2018.9.6).

64.

이종일. 2016.6.30. “4·16안산시민연대 창립 … “진상규명, 새 사회 건설””. 뉴시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630_0014189248&cID=10201&pID=10200(검색일: 2018.9.6).

65.

장재욱. 2015.7.4. “[인터뷰]안산복지관네트워크 ‘우리함께’ 박성현 사무국장”. 강장공장 블로그. http://kj-factory.com/%EC%9D%B8%ED%84%B0%EB%B7%B0-%EC%95%88%EC%82%B0%EB%B3%B5%EC%A7%80%EA%B4%80%EB%84%A4%ED%8A%B8%EC%9B%8C%ED%81%AC-%EC%9A%B0%EB%A6%AC%ED%95%A8%EA%BB%98-%EB%B0%95%EC%84%B1%ED%98%84/(검색일: 2018.9.6).

66.

홍용덕. 2014.10.28. “세월호 200일 … 안산서 촛불 다시 밝힌다”.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PRINT/661916.html(검색일: 2018.9.11).

67.

4·16기억저장소 홈페이지. http://416memory.org.

68.

4·16안산시민연대 홈페이지. http://416ansan.com.

69.

김승범 Github. https://github.com/vuski/admdongkor.

70.

안산새사회연대 일:다 홈페이지. http://new1da330.com.

71.

안산의제21 홈페이지. http://www.asag21.org.

72.

안산환경운동연합 홈페이지. http://ansan.ekfem.or.kr.

73.

안산YWCA 홈페이지. http://www.ansanywca.or.kr.

74.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서비스. https://sgis.kostat.go.kr/view/index.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