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다문화가정 사례를 통해 바라본 초국적 이주와 공간 : 최병두의 이주 연구

Transnational Migration and Space from Multicultural Family Cases: Choi Byung-Doo’s Immigration Research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8, v.28 no.4, pp.71-111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4.71
백일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고민경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bstract

이 연구는 최병두의 이주 관련 연구를 정리해 이론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해 최병두의 이주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주 연구를 시작한 2000년대 초반에는 주로 지구, 지방화 시대의 공간으로서 ‘다문화 공간’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이주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후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 천착하여 다문화 공간이 다양한 행위자와 그들이 만들어내는 연결망에의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들을 시도했고 최근에 이르러 근원적인 존재로서의 이방인에 대해 조건 없이 환대해야 한다는 환대의 지리학을 논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최병두의 이주 연구의 특징을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을 대상으로 하여 재해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현실에서 불가능한 환대가 재구성될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해 지구·지방적 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는 토대 공간의 가능성을 해석한 의의가 있다.

keywords
이주, 다문화공간,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환대, 결혼이주여성, immigration, multicultural space, actor-network theory(ANT), hospitality, marriage migrant women

참고문헌

1.

강정희. 2018. 「환대의 윤리 관점에서 본 이주노동자 정책과 한국 교회의 과제」. ≪신학과 사회≫, 32권 3호, 73∼108쪽.

2.

공윤경. 2013. 「다문화공간에 대한 이중적 시선과 차별화」. ≪한국민족문화≫, 48권, 183∼214쪽.

3.

김연희·이교일. 2017. 「초국적 삶의 주체로서 결혼이주여성의 전환경험과 미디어 행위자네트워크의 역할」. ≪아시아여성연구≫, 56권 1호, 107∼153쪽.

4.

김영옥. 2010. 「인정투쟁 공간/장소로서의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공동체: ‘아이다’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 14권, 31∼64쪽.

5.

김영주. 2009. 「음식으로 본 한국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과 적응 전략」. ≪농촌사회≫, 19권 1호, 121∼160쪽.

6.

김정현. 2015. 「도시형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식생활행태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7권 4호, 173∼189쪽.

7.

김종훈. 2016. 「관용을 넘어 정의로: 데리다의 ‘환대(hospitality)’의 철학에 비추어 본 다문화 사회」. ≪다문화교육연구≫, 9권 4호, 119∼137쪽.

8.

김태원. 2015. 「다문화 공간과 결혼이주민의 정체성에 관한 이론적 탐색」. ≪인문사회 21≫, 6권 3호, 527∼548쪽.

9.

김현경. 2015. 「사람, 장소, 환대」. 문학과지성사.

10.

김현미. 2010. 「결혼이주 여성의 가정(Home) 만들기: 문화 접경지대 번역자로서의 이주여성」. ≪비교한국학≫, 18권 3호, 145∼174쪽.

11.

김희경. 2010.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 유형분석」. ≪여성연구≫, 78권 1호, 119∼158쪽.

12.

문옥표. 2012. 「한국인의 식생활 속의 다문화 실천: 국제결혼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45권 2호, 109∼148쪽.

13.

발렌타인, 질(Gill Valentine). 2009. 「공간에 비친 사회, 사회를 읽는 공간: 사회지리학으로의 초대」. 박경환 옮김. 한울 아카데미.

14.

심보선. 2007. 「온정주의 이주노동자 정책의 형성과 변화: 한국의 다문화 정책을 위한 시론적 분석」. ≪담론201≫, 10권 2호, 41∼76쪽.

15.

아렌트, 한나(Hannah Arendt). 1996. 「인간의 조건」. 이진우·태정호 옮김. 한길사

16.

여성가족부. 2016,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분석」.

17.

예동근. 2011. 「한국의 지역 다문화공간에 대한 비판적 접근」. ≪동북아 문화연구≫, 27권, 5∼14쪽.

18.

이민경. 2015. 「노동-유학-자녀교육의 동맹」. ≪교육문제연구≫, 28권 2호, 85∼109쪽.

19.

이민경. 2016. 「이주-정착-귀환의 행위자 네트워크」. ≪다문화콘텐츠연구≫, 22권, 223∼264쪽.

20.

이병하. 2017. 「환대 개념과 이민정책: 이론적 모색」. ≪문화와 정치≫, 4권 2호, 47∼72쪽.

21.

이재용. 2017. 「구성되는 관계에 대한 이해, ANT에 대한 길라잡이: 번역과 동맹(최병두 외. 2017. 푸른길) 서평을 대신하여」. ≪현대사회와 다문화≫, 7권 2호, 140∼149쪽.

22.

이희영. 2014. 「결혼-관광-유학의 동맹과 신체-공간의 재구성」. ≪경제와사회≫, 102호, 110∼148쪽.

23.

정현주. 2015.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경계 지대’, 억압의 ‘교차성’, ‘변위’개념에 대한 검토 및 적용」. ≪대한지리학회지≫, 50권 3호, 289∼303쪽.

24.

최금해. 2007.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결혼생활 적응유형에 관한 질적 연구」. ≪여성연구≫, 72권 1호, 143∼188쪽.

25.

최병두. 2009. 「다문화공간과 지구-지방적 윤리: 초국적 자본주의의 문화공간에서 인정투쟁의 공간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권 5호, 635∼654쪽.

26.

최병두. 2011. 「다문화 공생 일본의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과 지역사회의 역할」. 푸른길.

27.

최병두. 2012. 「초국적 이주와 한국의 사회공간적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7권 1호, 13∼36쪽.

28.

최병두. 2017. 「초국적 결혼이주가정의 음식: 네트워크와 경계 넘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권 10호, 1∼22쪽.

29.

최병두. 2018. 「초국적 이주와 환대의 지리학」. 푸른길.

30.

최병두·안영진·박배균·임석회. 2011. 「지구, 지방화와 다문화 공간」. 푸른길.

31.

최병두·김연희·이희영·이민경. 2017. 「번역과 동맹: 초국적 이주의 행위자, 네트워크와 사회공간적 전환」. 푸른길.

32.

하비, 데이비드(David Harvey). 1982. 「사회 정의와 도시」. 최병두 옮김. 종로서적.

33.

한윤희·신원선·김지나. 2011.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 식생활 적응요인 및 식행동 연구」. ≪비교한국학≫, 19권 1호, 115∼159쪽.

34.

홍태영. 2011. 「이주자의 문화적 권리와 정체성」. ≪다문화사회연구≫, 4권 2호, 5∼34쪽.

35.

Anzaldúa, G. 1981. “Speaking in tongues: a letter to 3rd world women writers.” in C. Moraga and G. Anzaldúa(eds.). This Bridge Called My Back: Writings by Radical Women of Color. London: Persephone, pp. 165∼174.

36.

Blunt, A. 2005. “Cultural geography: cultural geographies of home.”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9(4), pp. 505∼515.

37.

Domosh, M. 1998. “Geography and gender: home, again?”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2(2), pp. 276∼282.

38.

Douglass, M. 2006. “Global householding in pacific Asia.” International Development Planning Review, 28(4), pp. 421∼446.

39.

Douglass, M. 2012. “Global householding and social reproduction: migration research, dynamics and public policy in East and Southeast Asia.” Asia Research Institute Working Paper, No. 188, August 2012, http://www.ari.nus.edu.sg/wps/wps12_188.pdf.

40.

Faier, L. 2009. Intimate Encounters: Filipina Women and the Remaking of Rural Japan. Oakland,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1.

Harvey, D. 2009. Cosmopolitanism and the Geographies of Freedom.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42.

Hochschild, A. R. 2000. “Global care chains and emotional surplus value.” in W. Hutton and A. Giddens(eds). On The Edge: Living with Global Capitalism. London: Jonathan Cape, pp. 130∼146.

43.

Hwang, J. M. 2016. “Cross-border marriages and transnational family networks for care:a study of marriage-migrant women in Korea.” PNU Journal of Women’s Studies, 26(2), pp. 195∼226.

44.

Lan, P. C. 2008. “New global politics of reproductive labor: Gendered labor and marriage migration.” Sociology Compass, 2(6), pp. 1801∼1815.

45.

Lie, M. L. 2010. “Across the oceans: childcare and grandparenting in UK Chinese and Bangladeshi households.” Journal of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36(9), pp. 1425∼1443.

46.

Ralph, D. and L. A. Staeheli. 2011. “Home and migration: mobilities, belongings and identities.” Geography Compass, 5(7), pp. 517∼530.

47.

Parreñas, R. S. 2001. Servants of Globalization: Women, Migration and Domestic Work. Page Mill Roa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48.

Sassen, S. 2000. “Women’s burden: counter-geographies of globalization and the feminization of survival.”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53(2), pp. 503∼524.

49.

Zhou, Y. R. 2012. “Space, time, and self: rethinking aging in the contexts of immigration and transnationalism.” Journal of Aging Studies, 26(3), pp. 232∼242.

50.

Zhou, Y. R. 2013a. “Transnational aging: the impacts of adult children’s immigration on their parents’ later lives.” Transnational Social Review, 3(1), pp. 49∼64.

51.

Zhou, Y. R. 2013b. “Toward transnational care interdependence: rethink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 immigration and social policy.” Global Social Policy, 13(3), pp. 280∼298.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