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택지개발사업에서 행정의 역할에 대한 연구: 촉진과 절차를 중심으로

The Role of Public Administration in State-Driven Land Development Projects: Acceleration Policy and Administrative Procedure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8, v.28 no.4, pp.112-141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4.112
최혜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택지개발촉진법’에 근거한 택지개발사업은 공급 중심의 양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정부 주도 개발 및 주택보급정책으로 알려져 왔다. 이에 따라 기존의 연구는 주로 주택의 신속한 대량 공급의 결과에 대한 평가가 주를 이루어 왔으며, 촉진 과정의 특성이나 절차에 대한 논의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경제개발시기 공공 부문이 주도적으로 추진했던 ‘택지개발촉진법’에 근거한 개발사업의 특성을 사업현황 자료와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개발 과정에서 민주적이고 법에 근거한 행정 과정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하여 1980년부터 1997까지의 ‘택지개발촉진법’에 근거한 사업을 정권별, 면적별, 지역별, 사업주체별, 사업기간별로 특성을 기술하였다. 또한 ‘택지개발촉진법’을 통한 개발사업들 중 가장 시대적속성을 띄며 다양한 행위자 조직들의 개입이 공개된 수서지구 사례를 통하여 비공식적인 절차의 작동기제를 분석함으로써 현황 자료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행정과정의 속도, 행정의 역할, 행정조직의 민주화, 합법적 절차와 공공가치가 공간의 개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cceleration of Land Development Law, administrative procedure, government-led urban development, 공영개발사업, 택지개발촉진법, 도시개발, 절차적 합리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vestigate the mechanism of urban development during Korea’s rapid economic growth era. Since ‘Acceleration of Land Development Law’ was formulated in 1981, strong government-led development allowed supplying large quantity of housing until 1990s. However, existing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the evaluation and quality of policy outcome and did not attempt to understand internal mechanism of accelerated development. In order to fill this research gap, this study examines formal process of ‘Acceleration of Land Development Law’ from administrative procedure perspective using project data from 1980 to 1997 and empirically described development law by region, area, presidency cycle and project type. Additionally, ‘Suseo-area housing land development’ was chosen as a case study to explain informal side of development mechanism. Combined findings show that speed of administrative process, the role of administration, democratization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egal process and public value ar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urban space.

keywords
Acceleration of Land Development Law, administrative procedure, government-led urban development, 공영개발사업, 택지개발촉진법, 도시개발, 절차적 합리성

참고문헌

1.

공보처. 1996. 「신한국년 개혁백서」. 서울: 공보처 정부간행물.

2.

국토교통통계누리. http://index.go.kr/potal/stts/idxMain/selectPoSttsIdxMainPrint.do?idx_cd=2731&board_cd=INDX_001=(검색일: 2018.12.12).

3.

김광웅. 1986. 「관료와발전」. 평민사.

4.

김병섭. 1999. 「부패통제 방법의 변천과 방향」.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행정학회 Conference 자료.

5.

김종보. 2007. 「택지개발사업과 환매권의 헌법문제」. ≪행정법연구≫, 17, 285∼311쪽.

6.

김충남. 2006. 「대통령과 국가경영: 이승만에서 김대중까지」. 서울대학교 출판부.

7.

김학환. 2009. 「토지거래허가와 토지거래계약의 효력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39, 356~379쪽

8.

노정현·박우서·박경원. 1992. 「지방자치시대의 도시행정」.

9.

박경원. 「共編」. 서울: 나남.

10.

박동서·최병선·이달곤·권해수. 1992. 「작은 정부의 개념 논의」. ≪한국행정학보≫, 26(1), 39∼55쪽.

11.

박찬욱. 1995. 「한국 의회정치의 회고와 전망: 한국 의회정치의 특성」. ≪의정연구≫, 1, 14∼39쪽.

12.

박천오. 1998. 「국회의원의 상임위원회 선호성향과 동기」. ≪한국정책학회보≫, 7(1), 293∼315쪽.

13.

박 필. 2008.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한 택지개발사업 시행자의 역할배분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32, 288∼295쪽.

14.

백완기. 1984. 「行政學」. 서울: 博英社.

15.

백완기. 2006. 「행정학」. 박영사.

16.

변창흠. 2006. 「지속가능성 기준으로 본 대규모 국책개발사업의 평가」. ≪공간과사회≫, 26, 120∼153쪽.

17.

안문석. 1995. 「문민정부의 행정개혁」. 한국정책학회 기타자료, 1995(3), 180∼212쪽.

18.

엄석진. 2009. 「행정의 책임성: 행정이론간 충돌과 논쟁」. ≪한국행정학보≫, 43(4), 19∼45쪽.

19.

유기현·서순탁. 2014.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토지구획정리사업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공간과사회≫, 48, 178∼219쪽.

20.

유성용. 2005. 「공영 택지개발사업에서의 주민참여에 관한 고찰」. ≪국토연구≫, 125∼144쪽.

21.

윤태범. 1999. 「부패와 개혁: 체제적 접근」.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515∼535쪽.

22.

e-나라지표. 2018. 「택지개발사업지구 현황 리스트」.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31(검색일: 2018.12.12)

23.

이병철. 2006. 「행정기획의 역사와 이론」. 울산: UUP.

24.

임도빈. 1997.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자율권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행정학보≫, 31(3), 57∼71쪽.

25.

임도빈. 2008. 「역대 대통령 국정철학의 변화: 한국행정 60년의 회고와 과제」.

26.

임현. 2014. 「정책과 법의 관계에 대한 모색」. ≪공법학연구≫, 15(2), 85~102쪽.

27.

조석준·임도빈. 2016. 「한국행정조직론」(제2전정판). 파주: 法文社.

28.

택지개발촉진법. 법률 제15682호.

29.

Kingdon, J. W. 1995. Agenda setting. Public policy: The essential readings, pp. 105∼113.

30.

Scott. W. R. and P. Blau. 1962. Formal Organizations. San Francisco: Chandler.

31.

Weber, M. 1968. On charisma and institution build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