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This study explores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Han River as part of the accumulation and hegemony project in the developmental urbanization in South Korea.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Han River is accompanied by various nonhuman actors which beyond ‘State-ized Nature’. First of all, the state constantly embodies the strategies to rendering to resources the Han River. This is the process of state-ization of the Han River with the aim of development of Yeoui-do and Gangnam along with the ‘overcoming nature’ such as overcoming high river bed factor and flood control. In addition, the estuaries and upstream of the Han River form an invisible form of border with North Korea. For that reason, South Korea’s developmental state set up various physical and social boundaries in preparation for North Korea’s water offensive. State that have looked at the Han River as a resource and border, have been deploying various non-humans in the Han River since the 1960s called “Han River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This mega river development plan started for preparing 1986 Asian Games and 1988 Seoul Olympics. However, various nonhuman agents deployed by the state have brought unintended consequences in the 1990s. In particular, along with the process of deteriorating water quality, the emergence of Janghang wetland has brought the necessities of new form of urban planning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to the developmental state. Therefore, this study reveals that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Han River is not merely a process of state plans and intentions, but a process that has been formed in a hybrid form through the manifestation of the nonhuman actors. Especiall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n River and the State which is recently requested to be readjusted. The Han River is viewed as merely adjusted by human actors and its intention. But here, I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 of re-interpret the production of Han River as human-nonhuman and state-nature’s intertwined process. Co-constitution of human-nonhuman actors in the urban space ultimately, show us the alternative possibilities of post-developmentalism.
강영희. 2008. 『생명과학대사전』. 서울: 아카데미서적.
고양시. 2013. 『신곡수중보 관련 수리, 수문 및 환경 생태 영향검토 용역』.
고양시보도자료. 2011.3.31. “고양시, 신곡수중보 이전 설치 반대”.
김백영. 2017. 「강남 개발과 올림픽 효과」. ≪도시연구≫, 17, 67∼101쪽.
김선희. 1996. 「광역수질오염문제를 둘러싼 지역 간 갈등 해소방안」. ≪환경정책≫, 4(2), 221∼244쪽.
김은혜. 2016. 「1964년 도쿄올림픽과 도시개조」. ≪사회와역사≫, 109, 229∼257쪽.
김종길. 2001. 「패러독스의 도전과 정책과정에서의 패러독스 활용 전략: 동강댐 건설을 둘러싼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5(3), 83∼108쪽.
김종욱. 2011. 「냉전의 ‘이종적 연결망’으로서 ‘평화의 댐’ 사건: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한 경험적 추적」. ≪동향과전망≫, 83, 79∼112쪽.
김준수. 2018. 「한국의 발전주의 도시화와 ‘국가-자연’관계의 재조정: 감응의 통치를통해 바라본 도시 비둘기」. ≪공간과사회≫, 63, 55∼100쪽.
김준수. 2019. 「한강의 생산: 한국의 발전주의 도시화와 ‘국가-자연’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지혜. 2018. 「한국의 양식 산업 속 적조와 인간의 관계: 작은 것들의 카리스마, 적조」. ≪공간과사회≫, 63, 101∼149쪽.
라도삼. 2012. 「토건도시에서 인문도시로: 문화도시의 개념과 문화도시화를 위한 서울시 전략의 반성적 고찰」. ≪도시인문학연구≫, 4(2), 9∼30쪽.
문화공보부. 1981. 『88서울올림픽』.
박해남. 2016. 「1988 서울올림픽 시선의 사회정치」. ≪사회와역사≫, 110, 353∼389쪽.
배응환. 2003. 「거버넌스의 실험: 네트워크조직의 이론과 실제: 대청호살리기운동본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7(3), 67∼93쪽.
변창흠. 2014. 「신개발주의의 구조적 특성과 유산 극복을 위한 정책 과제: 민선 3기와4기 서울시정을 사례로」. ≪민주사회와정책연구≫, 25, 13∼50쪽.
사득환. 2003. 「불확실성, 혼돈 그리고 환경정책: 시화호 매립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2(1), 223∼250쪽.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2008. 『서울상수도백년사』.
서울시 한강사업본부. 2008. 『한강 르네상스』.
서울시. 1968. 『漢江建設』.
서울시. 1982. 『한강종합개발사업 건설지』.
서울시. 2007. 『한강르네상스 기본계획』.
서울환경운동연합·대한하천학회. 2010. 『한강의 기적: 콘크리트 걷어내고 도요새 날아드는 한강 탐구생활』. 이매진.
서이종. 2001. 「환경 문제의 ‘과학기술과 사회’적 형성과정: 수돗물 바이러스 논쟁을중심으로」. ≪ECO≫, 1, 64∼91쪽.
설정임·박철수. 2013. 「박정희 대통령 연설문에서 나타난 반공이데올로기의 실현으로서 수도 서울의 요새화」.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9(4), 177∼187쪽.
성하영. 2007. 「수돗물 바이러스 논쟁」. ≪과학기술학연구≫, 14, 125∼154쪽.
손정목. 2016.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1: 서울 격동의 50년과 나의 증언』. 한울.
안상영. 1982. 「88올림픽에 대비한 건설계획」. ≪대한토목학회지≫, 30(2), 55∼59쪽.
염형철. 2006. 「댐 마피아의 해체와 물 정책의 개혁」. 홍성태 엮음. 2006. 『한국의근대화와 물』, 9장. 337∼363. 한울.
우동기·이종규. 1996. 「상수도사업의 민간참여 방안」. ≪환경정책≫, 4(2), 245∼268쪽.
윤동현·이병희·왕차오. 2015. 「국내 생수산업의 성장사 고찰」. ≪경영사학≫, 73, 137∼161쪽.
이덕수. 2016. 『한강개발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이상헌. 2001. 「물 이용을 둘러싼 환경갈등의 담론 분석: 위천국가산업단지 조성과관련된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상헌. 2002. 「칼 비트포겔 수력사회론 재해석과 실천적 함의」. 이론과 실천 모임. 『국토와 환경: 공간계획론의 새로운 접근』. 한울.
이상헌. 2003. 「한국의 근대화와 물: ‘물 운동’을 중심으로」. 『2003년 민주사회정책연구원 학술대회 자료집』, 52∼79쪽.
이상헌. 2005. 「한국의 근대적 물관리체제 형성과 이에 대한 성찰적 운동 전개과정에대한 연구」. ≪경제와사회≫, 68, 236∼258쪽.
이상헌. 2009. 「한국의 물 산업 민영화 논쟁에 대한 경험적 검토」. ≪공간과사회≫, 31: 88∼125.
이상헌. 2016. 「위험경관의 생산과 민주주의의 진화」. ≪동향과전망≫, 96, 113∼152쪽.
이양주·이삼희. 2008. 「장항습지의 위상과 한강하구의 활용 검토」. ≪CEO Report≫, 경기연구원, 1∼27쪽.
장석환. 2017. 「공유하천 임진강의 갈등과 상생방안」. ≪접경지역통일연구≫, 1(2), 51∼72쪽.
장현도·오재경. 1991. 「한강종합개발 이후 한강하구 및 경기만의 퇴적환경」. ≪한국해양학회지≫, 26(1), 13∼23쪽.
전영평. 1994. 「환경규제실패의 모형구성과 그 적용-대구 염색공단 폐수규제의 사례」. ≪한국정책학회≫, 3(2), 89∼108쪽.
전진석. 2003. 「새만금 간척사업의 정치경제와 정책옹호연합모형」.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4(2), 207∼234쪽.
조명래, 2003, 「청계천 복원의 사회학: 재자연화를 둘러싼 갈등과 쟁점」. ≪ECO≫, 4, 130∼165쪽.
조명래. 2005. 「신개발주의에 따른 도시환경파괴와 ‘녹색새벽’의 과제」. 조명래·최병두. 2005. 『신개발주의를 멈춰라』. 환경과생명.
최병두. 2013. 「대구의 도시 발달과 물의 사회적 순환」.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1), 75∼96쪽.
토목용어편찬위원회. 2010. 『토목용어사전』. 건설연구사.
홍성만·주재복, 2003. 「자율규칙형성을 통한 공유재 관리: 대표적 수질개선 사례를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보≫, 37(2), 469∼494쪽.
홍성태. 2004. 「한국의 근대화와 물-‘조국 근대화’와 물의 파괴를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62, 296∼316쪽.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 2014.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수립 연구』.
환경부. 2010. 『환경30년사』.
환경부. 2016. 『한국하수도발전사』. 환경부.
황진태·박배균. 2013. 「한국의 국가와 자연의 관계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연구를 위한시론」. ≪대한지리학회지≫, 48(3), 348~365쪽.
황진태·이지은. 2007. 「서울숲을 둘러싼 신개발주의」. ≪환경과생명≫, 53, 269∼279쪽.
Bakker, K. 2003. “Archipelagos and networks: urbanization and water privatization in the South.” Geographical Journal, 169(4), pp.328∼341.
Bakker, K. 2010. Privatizing water: governance failure and the world’s urban water crisis. Cornell University Press.
Baviskar, A(eds.). 2007. Waterscapes: The cultural politics of a natural resource. Delhi:Permanent Black.
Boelens, R. 2015. Water, power and identity: The cultural politics of water in the Andes. Routledge.
Boelens, R., J. Hoogesteger, E. Swyngedouw, J. Vos and P. Wester. 2016. “Hydrosocial territories: a political ecology perspective.” Water International, 41(1), pp.1∼14.
Bruns, B. R., and R. S. Meinzen-Dick(eds.). 2000. Negotiating water rights. Vistaar Publications.
Desai, R., C. McFarlane and S. Graham. 2015. “The politics of open defecation: informality, body, and infrastructure in Mumbai.” Antipode, 47(1), pp.98∼120.
Gandy, M. 2014. The fabric of space: Water, modernity, and the urban imagination. MIT Press.
Hwang, J. T. 2015. A study of state–nature relations in a developmental state: The case of South Korea’s water resource policy, 1961-2015.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Bonn.
Hwang, J. T. 2016. “The Chun Doo-Hwan Authoritarian Regime’s Securitisation of Water: The Case of the Peace Dam, South Korea.” Scottish Geographical Journal, 132(3-4), pp.234∼245.
Jessop, B. 1990. State theory: Putting the capitalist state in its place. Penn State Press.
Jessop, B. 2007. State Power: A Strategic-Relational Approach. Polity.
Narain, V. 2018. “Urbanization and Water.” in Globalization of Water Governance in South Asia, pp.195∼203.
Neumann, R. P. 2009. “Political ecology: theorizing scale.”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3(3), pp.398∼406.
Swyngedouw, E. and N. C. Heynen. 2003. “Urban political ecology, justice and the politics of scale.” Antipode, 35(5), pp.898∼918.
Whitehead, M., R. Jones and M. Jones. 2007. The nature of the state: excavating the political ecologies of the modern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경인일보≫. 2018.10.12. “한강 하구 ‘애물단지’ 전락한 신곡수중보 향후 과제”
≪경향신문≫. 1966.7.25. “아직 호우연속선에”.
≪경향신문≫. 1968.5.11. “국민교 꼬마를 동원”.
≪경향신문≫. 1968.9.25. “환상도로”.
≪경향신문≫. 1969.10.7. “간첩은 물개처럼 수중침투”.
≪경향신문≫. 1972.5.26. “오염심한 한강상수도 취수장 75년까지 팔당 이전”.
≪경향신문≫. 1972.5.27. “공해에 쫓기는 수도권 급수원 팔당으로 옮기는 4취수장”.
≪경향신문≫. 1982.8.4. “한강 수리 실험모형 완성”.
≪경향신문≫. 1982.9.28. “한강이 다시 태어난다”.
≪경향신문≫. 1982.9.28. “한강을 민족웅비의 원천으로”.
≪경향신문≫. 1982.11.15. “한강종합개발 공구분할도”.
≪경향신문≫. 1982.11.23. “한강이 되살아난다”.
≪경향신문≫. 1986.11.6. “금강산댐 이것이 문제다 국방당국의 분석”.
≪경향신문≫. 1986.11.26. “북괴수공 봉쇄 대응댐 건설”.
≪경향신문≫. 1999.6.9. “시민과 함께 흐르는 ‘푸른 강 푸른 쉼터’ 한강 5개 권역 나눠 특화 개발 ‘새설울 우리한강’ 세부계획 내용”.
≪고양신문≫. 2016.12.9. “서울시 분뇨처리 ‘악취 수질오염으로 고양시민 피해’”.
≪그린포스트코리아≫. 2012.8.14. “국토부, 한강 수중보 녹조 원인 아니다”.
≪동아일보≫. 1965.7.16. “한강범람 막심한 수해”.
≪동아일보≫. 1968.4.30. “여의도 개발 좌담”.
≪동아일보≫. 1968.4.30. “여의도 개발 축석 모으기 운동”.
≪동아일보≫. 1968.6.1. “수중도시 꿈 실현 주택은 6층 이상만”.
≪동아일보≫. 1972.5.27. “수질오탁과 상수도”.
≪동아일보≫. 1982.9.28. “물의 공원 병든 한강 치유”.
≪동아일보≫. 1982.9.28. “유람 화물선도 운항 한강 종합개발 세부계획”.
≪동아일보≫. 1986.7.18. “서울시 분류하수관로 및 하수처리장 현황”.
≪동아일보≫. 1990.11.24. “자유로 공사 선박 8척 한강 비무장지대 통과”.
≪동아일보≫. 1997.7.20. “한강8경 서울 새명소 조성”.
≪매일경제≫. 1966.9.22. “새서울 건설단이란?”.
≪매일경제≫. 1968.3.28. “시민에게 드리는 인사말씀”.
≪매일경제≫. 1969.7.24. “열쇠는 다목적 댐 건설”.
≪매일경제≫. 1982.6.24. “맑고 푸른 한강건설”.
≪매일경제≫. 1982.9.28. “전대통령 한강을 민족웅비의 강으로”.
e-김포마루, 2009.3.16. “시, 수중보 이설시 장항습지 물에 잠기지 않는다!”
≪프레시안≫. 2015.8.14. “한강 녹조라떼, 신곡수중보 철거가 답”.
≪한겨레≫. 1996.10.28. “팔당호 독성 식물플랑크톤 비상”.
≪한겨레≫. 2018.2.22. “서울시, 신곡수중보 철거 나서나? 또 미루나?”
≪한겨레≫. 2018.3.16. “24년 전 오늘, 생수를 ‘합법적’으로 사 마시기 시작했다”.
노태우 대통령 연설문 1992년 9월 8일. http://pa.go.kr/research/contents/speech/index.jsp?spMode=view&artid=1307581&catid=c_pa02062.
서울 환경운동연합. 한강복원 평가와 과제 토론회 2018년 3월 14일. http://ecoseoul.or.kr/archives/29307.
서울시 한강 르네상스 홈페이지. http://www.seoul.go.kr/v2007/seoul/publicinfo/minsun4th_project/6th/project06_01_02.html.
환경부 녹조정보시스템. http://water.nier.go.kr/front/algaeInfo/algaeBloom.jsp.
환경부 한강홍수통제소. http://www.hrfco.go.kr/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