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도시 커먼즈와 민주주의: 도시 커먼즈 운동의 특징과 동학에 관한 이론적 재고찰

Urban Commons and Democracy: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the Urban Commons Movements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9, v.29 no.2, pp.134-174
https://doi.org/10.19097/kaser.2019.29.2.134
이승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Abstract

이 글은 도시 커먼즈 운동의 특성과 동학을 시론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오늘날 도시 커먼즈 운동은 투기적 도시화에 대한 저항과 그에 따른 사회경제적 양극화 및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운동의 한 영역으로 우리 사회에 퍼지고 있다. 따라서 이 운동이 사회운동에 기여하기 위한 체계적인 이론화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우선 이 글은 역사적으로 인클로저 과정을 통해 커먼즈의 부정으로 등장하는 사적 소유권과 국가의 관계에 대한 정치이념적 기원을 살피기 위해 John Locke가 주장하는 ‘소유권’과 ‘시민 정부’의 관계를 살피면서 시작한다. 이 글은도시 커먼즈 운동이 투기적 도시화와 사적 소유권의 특권화의 희생자인 여러 사회적 약자들의 회복을 위한 새로운 권리 담론과 결합하고, 다른 한편으로 ‘자연상태’의 새로운 가능성이라 할 수 있는 새로운 권리 담론들의 ‘헤테로토피아’를 공동창조해 가면서, 민주주의의 경계를 급진적으로 확장해 가는 민주주의 운동의동학을 가지고 있음을 주장한다.

keywords
commons, urban commons movements, right to the city, democracy, heterotopia, 커먼즈, 도시 커먼즈 운동, 도시에 대한 권리, 민주주의, 헤테로토피아

참고문헌

1.

강정인. 1998. 「로크 사상의 현대적 재조명: 로크의 재산권 이론에 대한 유럽중심주의적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32권 3호, 53~75쪽.

2.

강현수. 2010. 『도시에 대한 권리-도시의 주인은 누구인가』. 책세상.

3.

권범철. 2017. 「현대 도시의 공통재와 재생산의 문제」. ≪공간과 사회≫, 제27권 2호, 119~149쪽.

4.

김상철. 2017. 「서울 26번째 자치구의 의미: 도시난민과 도시정의」. ≪사회혁신포커스≫, 38호(2017.5.16). 사회혁신리서치랩.

5.

김상철. 2018. 「경의선공유지 운동의 한계: ‘사유화된 공적 공간’이라는 문제설정」. 2018 『한국사회포럼 발표문』.

6.

김용창. 2018. 「신자유주의 도시인클로저와 실존의 위기, 거주자원의 공유화」. 2018 커먼즈 네트워크 워크숍. 지금 여기 커먼즈. 2018년 5월 2일∼5월 4일. 서울경의선 광장.

7.

김용환. 2003. 「존 로크의 재산권 이론: 단서 조항과 정의론에 대한 재해석」. ≪가톨릭철학≫, 제5호, 63~90쪽.

8.

김우영. 1991. 「사유재산권과 로크의 단서들」. ≪철학연구≫, 제16권, 93~115쪽.

9.

김은희. 2016. 「로크의 자유주의와 무산자 배제」. ≪철학연구≫, 제114집, 406~434쪽.

10.

서영표. 2012. 「도시적인 것, 그리고 인권? 도시에 대한 권리 논의에 대한 비판적개입」. ≪마르크스주의 연구≫, 제9권 제4호, 68~102쪽.

11.

서동진. 2009.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신자유주의 한국사회에서 자기계발하는 주체의 탄생』. 돌베개.

12.

이승원. 2008a. 「민주주의와 헤게모니: 현대 민주주의의 특징에 관한 이론적 재검토」. ≪비교민주주의연구≫, 제4집 1호, 67~108쪽.

13.

이승원. 2008b. 「지구화 시대의 민주주의의 문제: <재외동포법>과 <국적법> 개정안을 통해 본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반성」. ≪경제와 사회≫, 통권 79호, 88~111쪽.

14.

이승원. 2010a. 「신자유주의 소비문화적 쉼에 대한 반성적 성찰: ‘소비무능력자’의 해방을 위한 민주주의 전략을 위한 시론」. ≪생명연구≫, 15집, 85~123쪽.

15.

이승원. 2010b. 「소외된 쉼의 회복을 위한 소비주체의 재구성: 집단적 정체성에서 복합적 정체성으로의 인식론적 전환」. ≪경제와 사회≫, 통권 88호, 35~67쪽.

16.

정영신. 2014. 「공유의 이론과 현실. 그리고 가능성」. ≪ECO≫, 18(2), 205~214쪽.

17.

정태욱. 2016. 「존 롤즈의 정의론과 재산소유 민주주의론」. ≪법학연구≫, 27(3), 11~41쪽.

18.

조희연. 2014. 「탈독점 민주주의론과 아시아 민주주의 지표: 민주주의 질 지표 개발을 위한 이론적·개념적 논의」. 조희연 외 지음. 『민주주의의 질과 아시아 민주주의 지표』. 한울아카데미.

19.

최현·따이싱셩. 2015. 「공동자원론과 한국 공동자원 연구의 현황과 과제」. ≪경제와사회≫, 108호, 166~198쪽.

20.

한병철. 2012. 『피로사회』. 돌베개.

21.

한윤애. 2016. 「도시공유재의 인클로저와 테이크아웃드로잉의 반란적 공유 실천 운동」. ≪공간과 사회≫, 26권 3호, 42~76쪽.

22.

홍성우. 2013. 「재산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 미드와 롤즈의 비교」. ≪범한철학≫, 70, 275~314쪽.

23.

황진태. 2016. 「발전주의 도시에서 도시 공유재 개념의 이론적·실천적 전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9권 2호, 1~16쪽.

24.

Agamben. G. 1998. Homo Sovereign Power and Bare Life. trans. Daniel Heller-Roazen. Stanford University Press(조르조 아감벤. 2008. 『호모 사케르-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서울: 새물결).

25.

Augé, Marc. 1994. 마르크 오제. 「La ville et l’identification urbaine 도시 그리고 도시적인 것의 식별」. ≪불어문화권연구≫, 4권, 114~131쪽.

26.

Berge, Erling. 2007. “Protected areas and traditional commons: values and institutions.”Norsk Geografisk Tidsskrift-Norwegian Journal of Geography, 60:1, pp. 65~76.

27.

Blomley, B. 2008. “Enclosure. Common Right and the Property of the Poor.” Social &Legal Studies, 17:3, pp. 311~331.

28.

Bollier, D. 2014. Think Like a Commoner. Gabriola: New Society Publishers(데이비드 볼리어. 2015. 『공유인으로 사고하라』. 배수현 역. 서울: 갈무리).

29.

Borch, C., and Kornberger, M.(eds.). 2015. Urban Commons: Rethinking the City. New York:Routledge.

30.

Brenner, Neil & Schmid, Christian. 2011. “Planetary Urbanization.” in Matthew Gandy (ed.). Global Constellations. Berlin: Jovis.

31.

Crouch, Colin. 2004. Post-Democracy. Cambridge, UK: Polity(콜린 크라우치. 2008. 『포스트 민주주의: 민주주의 시대의 종말』. 이한 옮김. 미지북스).

32.

Bresnihan, P., & Byrne, M. 2015. “Escape into the city: everyday practices of commoning and the production of urban space in Dublin.” Antipode, 47: 1, pp. 36~54.

33.

Deleixhe, Martin. 2018. “Conflicts in common(s)?: Radical Democracy and the governance of the commons.” Thesis Eleven, 144(I), pp. 59~79.

34.

De Angelis, Massimo & Stavrides, Stavros. 2010. “On the Commons: A Public Interview with Massimo De Angelis and Stravos Stavrides.” An Architektur & e-flux journal, no. 17, August, pp. 4∼7.

35.

De Angelis, Massimo. 2007. The Beginning of History: Value Struggles and Global Capital. London: Pluto

36.

Foster, S. R., & Iaione, C. 2016. “The City as a Commons.” Yale Law & Policy Review, 34: 2, pp. 281~349.

37.

Gill, Stephen. 1995a. “Theorising the Interregnum: The Double Movement and Global Politics in the 1990s.” in Hettne. Bjorn.(ed.).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Understanding Global Disorder. London: Zed Books.

38.

Gill, Stephen. 1995b. “Globalisation. Market civilisation., and Disciplinary Neoli-beralism.”Millennium: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vol. 24, no. 3, pp. 399∼423.

39.

Hardin, G. 1968. “The tragedy of the commons.” Science, 162(3859), pp. 1243~1248.

40.

Harvey, D. 2003. The New Imperi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41.

Harvey, D. 2012. Rebel Cities: from the right to the city to the urban revolution. London: Verso(데이비드 하비. 2014. 『반란의 도시』. 한상연 역. 서울: 에이도스).

42.

Hess, Charlotte. 2008. “Mapping the New Commons.” Presented at “Governing Shared Resources: Connecting Local Experience to Global Challenges” the 12th Bienni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Commons. University of Gloucestershire. Cheltenham. England. July 14-18. 2008. http://ssrn.com/abstract=1356835.

43.

Howard, E. 1965. Garden Cities of To-Morrow. Cambridge. MA: The MIT Press.

44.

Huron, Amanda. 2017. “Theorising the urban commons: New Thoughts. tensions and paths forward.” Urban Studies, 54: 4, pp. 1062~1069.

45.

Kostakis, V., & Bauwens, M. 2014. Newtwork Society and Future Scenarios for a Collaborative Economy. New York: Palgrave Macmillan(바실리스 코스타키스·미셀 바우웬서. 2019. 『네트워크 사회와 협력 경제를 위한 미래 시나리오』. 윤자형·황규환 역. 서울: 갈무리).

46.

Kip, Markus et al. 2015. “Seizing the (Every)Day: Welcome to the Urban Commons!”in Markus Kip et al(eds.). Urban Commons: Moving Beyond State and Market. Berlin:Bauverlag.

47.

Kratzwald, Brigitte. 2015. “Urban Commons-Dissident Practices in Emancipatory Space.” in Markus Kip et al(eds.). Urban Commons: Moving Beyond State and Market. Berlin: Bauverlag.

48.

Laclau, E., & Mouffe, C. 1985. Hegemony and Socialist Strategy: Toward a Radical Democratic Politics. London: Verso(에르네스토 라클라우 & 샹탈 무페. 2012. 『헤게모니와사회주의 전략: 급진 민주주의 정치를 향하여』. 이승원 역. 서울: 후마니타스).

49.

Lefebvre, Henry. 2003(1970). The Urban Revolution. trans. Robert Bononno. Minneapolis:Minnesota Press.

50.

Lefort, Claude. 1988. Democracy and Political Theory. trans. David Macey. London: Polity Press.

51.

Linebaugh, Peter. 2008. The Magna Carta Manifesto: Liberties and Commons for All.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정남영 역. 2012. 『마그나카르타 선언』. 갈무리).

52.

Locke, John. 2003. Two Treatises of Government and A Letter Concerning Toleration. edited and with an Introduction by Ian Shapiro with essays by John Dunn, Ruth W. Grant, Ian Shapiro. London: Yale University Press(존 로크. 1996. 『통치론: 시민정부의 참된 기원, 범위 및 그 목적에 관한 시론』. 강정인·문지영 역. 서울:까치).

53.

Macpherson, C. B. 2011(1962). The Political Theory of Possessive Individualism: Hobbes to Lock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C. B. 맥퍼슨. 2010. 『홉스와 로크의 사회철학: 소유적 개인주의의 정치이론』).

54.

Mouffe, Chantal. 2018. For the Left Populism. London: Verso(샹탈 무페. 2019. 『좌파 포퓰리즘을 위하여』. 이승원 역. 서울: 문학세계).

55.

Ostrom, Elinor. 2015(1990).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엘리너 오스트롬. 2010. 『공유의비극을 넘어』. 윤홍근·안도경 역. 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

56.

Papadimitropoulos, Vangelis. 2017. “The Politics of the Commons: Reform or Revolt?”tripleC, 15(2). pp. 563~581.

57.

Rawls, John. 1999. A Theory of Justic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존 롤즈. 2003. 『정의론』. 황경식 역. 이학사).

58.

Rawls, John. 1993. Political Liberalism.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존 롤즈. 2016. 『정치적 자유주의』. 장동진 역. 동명사).

59.

Roggero, Gigi. 2010. “Five Theses on the Common.” Rethinking Marxism, 22: 3, pp. 357~373.

60.

Sasse, Saskia. 2015. “Who Owns our Cities and Why this Urban Takeover Should Concern Us All.” Guardian(Nov. 24. 2015). http://www.thequardian.com/cities/2015/nov/w4/who-owns-our-cities-and-why-thisurba-takeover-shuold-concern-us-all

61.

Stavrides, S. 2016. Common Space: The City as Commons. London: Zed Books.

62.

Unger, Roberto. 2015. “The Task of Social Innovation Movement.” in Alex Nicholls, Julie Simon & Madeleine Gabriel(eds.). New Frontiers in Social Innovation Research. London: Palgrave Macmillan(로베르토 웅거. 2017. 「사회혁신 운동의 과제」. 이승원·장훈교·심은정 역. ≪월간 사회혁신의 시선≫, 2017-03. 사회혁신리서치랩).

63.

http://commonstransition.org/commons-transition-plan-city-ghent/

64.

https://iasc-commons.org/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Commons

65.

https://p2pfoundation.net/wp-content/uploads/2017/09/commons_transition_and_p2p_primer_v9.pdf P2P Foundation. Commons Transition and P2P: a primer.

66.

www.fab.city Fab City Whitepaper: Locally prouductive. globally connected self-sufficientcities

67.

www.comune.bologna.it Regulation on Collaboration between Citizens and the City forthe Care and Regeneration of Urban Commons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