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동아시아 (포스트) 발전주의 국가의 도시 포용성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중국·일본·대만의 비교

An empirical analysis of urban inclusivity of (post-) developmental states in East Asia: Comparison of South Korea, China, Japan, and Taiwan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9, v.29 no.2, pp.175-213
https://doi.org/10.19097/kaser.2019.29.2.175
박인권 (서울대학교)
HONG ZHE (서울대학교)

초록

동아시아 국가들은 국가의 강력한 시장개입과 정책을 통한 경제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주의 국가’의 발전 과정을 따라왔다. 이 과정에서 도시는 공간의 기능과 효율성에 초점을 두고 압축적으로 성장하면서, 사회적 포용성 문제를 도시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루지 못하였다. 하지만 그 구체적 양상은 발전주의 국가 발전경로의 상이함으로 인해 다를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는 동아시아 대도시들이 직면한 도시 포용성의 한계와 특성이 발전국가 단계 및특성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시 포용성을 역량형성, 상호의존, 참여, 공간적 개방 4대 차원으로 구분하여 한국·중국·일본·대만 등동아시아 국가 36개 대도시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발전주의 단계와 특성에 따라 도시 포용성 양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먼저 한국과 같이 포스트 발전주의 국가 단계에 들어선 국가 도시들은 역량형성과참여 차원의 포용성이 높다. 다음으로 공간적 개방성은 포스트 발전주의 단계에있는 한국이나 일본보다 중국과 같이 한창 발전주의 단계에 있는 국가가 낮고, 한 국가 내에서는 발전수준이 높은 도시에서 낮게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발전주의 이후 체제로 이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국가 안보의 위기와 사회 내부의 갈등이 발생하면 상호의존 차원의 포용성은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동아시아 도시들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배제 문제의 원인을 이 지역 도시화의 핵심적 특징인‘발전주의’와 관련지어 이들이 도시 포용성에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동아시아, 발전주의 국가, 경제 수준, 도시 포용성, 비교 연구, East Asia, Developmental state, Economic development, Urban inclusivity, Comparative study

Abstract

East Asian countries have follow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developmental state’ characterized by economic growth through strong state policies and market intervention by the state. In this process, the city has grown in a compact way with a focus on the function and efficiency of space, and the problem of social inclusion has not been dealt with at the city level.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specific aspects will be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ce of development path of post-developmental st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limit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inclusivity faced by large cities in East Asia are related to the stage and characteristics of post-developmental states. For this purpose, urban inclusivity is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capability building, interdependence, participation, and spatial openness, and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on 36 metropolitan cities in East Asia including South Korea, China, Japan, and Taiwan.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urban inclusion patterns are different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and characteristics. First, cities in the phase of post-developmental state such as Korea have high level of inclusivity in the dimensions of capability building and participation. Second, spatial openness is lower in China, where the state is in the middle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than in post-developmental states such as Korea and Japan. Within a country, it is low in cities with high levels of development. Finally, even if the system is moving to post-developmentalism, if the crisis of national security and internal conflicts occur, the urban inclusivity in the dimension of interdependence can be reduced.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causes of social exclusion in East Asian cities in relation to ‘(post-) developmental state’, a key feature of urbanization in the region, and how they have influenced urban inclusivity.

keywords
동아시아, 발전주의 국가, 경제 수준, 도시 포용성, 비교 연구, East Asia, Developmental state, Economic development, Urban inclusivity, Comparative study

참고문헌

1.

김민환·정현욱. 2014. 「‘양안서비스무역협정’의 쟁점과 대만 사회 갈등구조 변화. ≪아태연구≫ 21(3), 5~35쪽.

2.

김동완·신혜란. 2016. 「대항품행 그리고 성미산 스타일」. ≪경제와사회≫ 111, 174~204쪽.

3.

김수진. 2015. 『포용도시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국토연구원.

4.

김순양. 2015. 「동아시아의 발전국가와 사회정책: 한국의 사례를 통한 발전주의 복지체제론의 주장들에 대한 재검토」. ≪행정논총≫ 53(2), 27~68쪽.

5.

김혜정. 2012. 「지역사회 시민의 참여활동과 영향요인」. ≪한국행정학보≫ 46(2), 213~240쪽.

6.

문 돈·정진영. 2014. 「‘발전국가모델’에서 ‘신자유주의모델’로: ‘한국발전모델’ 논쟁에 대한 비판적 평가」. ≪아태연구≫ 21(2), 129~164쪽.

7.

박상영. 2012. 「한국 ‘포스트발전국가론’의 발전과 전개: 90년대 이후 한국 발전국가연구 경향과 향후 연구 과제」. ≪현대정치연구≫ 5(1), 63~90쪽.

8.

박종근·왕배우. 2017. 「중국 주택보장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및 향후대책」. ≪중국법연구≫ 29, 211~241쪽.

9.

박인권. 2015. 「포용도시: 개념과 한국의 경험」. ≪공간과 사회≫ 51, 95~139쪽.

10.

박인권·이민주. 2016. 「도시 포용성 구성개념과 지표체계의 개발: 한국의 포용도시의제 설정을 위하여」. ≪공간과 사회≫ 26(4), 109~158쪽.

11.

박인권·이민주·홍철·임인선. 2017. 「한국 도시의 포용성 진단과 유형별 특성 분석」. ≪도시행정학보≫ 30(3), 111~130쪽.

12.

변미리·조권중·박민진·김진아·최윤석·최지원. 2017. 『서울형 포용도시 지표체계 개발과 서울시의 포용성』. 서울연구원.

13.

신현방·김지윤·이선영. 2016. 「발전주의 도시화와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저항의 연대」. ≪공간과 사회≫ 57, 5~14쪽.

14.

왕 징. 2018. 「중국 도시 주택보장 정책의 발전과 최근 동향」. ≪국제사회보장리뷰≫2018(겨울), 102~111쪽.

15.

이경아. 2018. 「대만의 성별문화와 가사노동분담 연구」. ≪중국학연구≫ 85, 297~336쪽.

16.

이성우. 2014. 「발전국가의 물가정책의 다양성: 한국, 일본, 대만 비교연구」. ≪OUGHTOPIA≫29(1), 105~147쪽.

17.

이주하. 2011. 「빈곤에 대한 정치사회학적 이해」. ≪한국사회정책≫ 18(1), 11~42쪽.

18.

정병순. 2016. 『서울 대도시론 위기를 넘어서 희망의 도시로: 서울형 포용도시를 향하여』. 서울연구원.

19.

정영식·김경훈·김효상·양다영·강은정. 2018. 『글로벌 부동산 버블 위험 진단 및 영향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

지주형. 2016. 「한국의 발전국가와 신자유주의 국가: 역사적 변동과 형태분석」. ≪인문논총≫ 41, 219~261쪽.

21.

최병두. 2007. 「발전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의 이행과 공간정책의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1), 82~103쪽.

22.

최병두. 2017. 「관계적 공간과 포용의 지리학」. ≪대한지리학회지≫ 52(6), 661~682쪽.

23.

황선아·김종구·손지현. 2016. 「포용도시를 위한 사회적· 물리적 지표의 구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6(4), 735~745쪽.

24.

Beeghley, L. 1986. “Social cla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 review and an explanation.”In Sociological Forum 1(3), pp. 496~513.

25.

Chang, H-J. 2010. 23 things they don’t tell you about capitalism. London: Allen Lane.

26.

Chang, H-J., & Grabel, I. 2004. Reclaiming development: An alternative economic policy manual. London & New York: Zed Books.

27.

Espino. N. A. 2015. Building the Inclusive City: Theory and Practice for Confronting Urban Segregation. New York, NY: Routledge.

28.

Gerometta. J. Haussermann. H., & Longo. G. 2005. “Social innovation and civil society in urban governance: Strategies for an inclusive city.” Urban studies 42(11), pp. 2007~2021.

29.

Holliday. I. 2000. “Productivist welfare capitalism: Social policy in East Asia.” Political studies, 48(4), pp. 706~723.

30.

Hort. S. O., & Kuhnle. S. 2000. “The coming of East and South-East Asian welfare states.”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10(2), pp. 162~184.

31.

Huang, Y. 2012. “Low-income housing in Chinese cities: Policies and practices.” The China Quarterly, 212, pp. 941~964.

32.

Johnson. C. 1982. MITI and the Japanese miracle: the growth of industrial policy, 1925-1975.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33.

Johnson. C. 1999. The development state: Odyssey of a concept. In M. Woo-Cumings (Ed.), The developmental state (pp. 32~60).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34.

Kwon. H. J. 2005. “Transforming the developmental welfare state in East Asia.”Development and Change, 36(3), pp. 477~497.

35.

Shrestha. K. K. 2015. Inclusive Urbanization: Rethinking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in the Age of Climate Change. New York, NY: Routledge.

36.

Tsukamoto. T. 2012. “Neoliberalization of the developmental state: Tokyo’s bottom‐up politics and state rescaling in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6(1), pp. 71~89.

37.

Tsukamoto. T. 2012. “Why Is Japan Neoliberalizing? Rescaling of the Japanese Developmental State and Ideology of State-Capital Fixing.” Journal of Urban Affairs, 34(4), pp. 395~418.

38.

Wang. Z., & Su. Y. 2002. “Different Ways for the Rise and Fall of Developmental States:Comparison between Taiwan and Hong Kong.” In Taiwan Society of Sociology Annual Meeting. Taichung City, Taiwan: Tunghai University.

39.

Weiss. L. 2004. States in the Global Economy: Bringing Domestic Institutions Back In. L. Weiss, Ed.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Wong. T. C., & Liu. R. 2017. “Developmental urbanism, city image branding and the ‘Right to the City’ in transitional China.” Urban Policy and research, 35(2), pp. 210~223.

41.

Woo-Cumings. M. 1999. Introduction: Chalmers Johnson and the Politics of Nationalism and Development. In M. Woo-Cumings (Ed.), The developmental state (pp. 1~31.)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42.

Zhang. F. 2017. “The Chinese developmental state: Standard accounts and new characteristics.”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Development, 21(3), pp. 739~768.

43.

Zhu. J. 2004. “Local developmental state and order in China’s urban development during trans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8(2), pp. 424~447.

44.

국가별 통계자료(평균 가구원수).

45.

한국통계청.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JC1516&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2019년 6월 18일 최종확인.

46.

중국통계청. https://www.ceicdata.com/zh-hans/china/population-no-of-person-per-household/population-average-household-size, 2019년 6월 18일 최종확인.

47.

일본통계청. https://www.stat.go.jp/english/data/handbook/c0117.html, 2019년 6월 18일 최종확인.

48.

대만통계청. https://www.ris.gov.tw/app/portal/346, 2019년 6월 18일 최종확인.

49.

넘베오(NUMBEO) 사이트(도시별 주택가격 및 개인 월 근로소득). https://www.numbeo.com, 2019년 6월 18일 최종확인.

50.

세계성별차보고서. https://www.weforum.org/reports/the-global-gender-gap-report-2017, 2019년 6월 2일 최종확인.

51.

중국보건통계(의료서비스). http://www.nhfpc.gov.cn/guihuaxxs/s10743/201806/44e3cdfe11fa4c7f928c879d435b6a18.shtml, 2019년 6월 4일 최종확인.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