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Feminist spatial epistemology: for the imaginative turn in the human geography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9, v.29 no.2, pp.5-13
https://doi.org/10.19097/kaser.2019.29.2.5


Abstract

keywords

Reference

1.

권민지. 2018. 「‘내 집’ 만들기 주거불안계급 청년 여성의 공간전략」. ≪공간과사회≫28(3), 271∼301쪽.

2.

김주락. 2015. 「드러냄으로 물들이는 공간」. ≪문화역사지리≫ 27(3), 100∼113쪽.

3.

김하나. 2017. 「중학교 <사회①>교과서 지리 영역에 재현된 성차별주의(Sexism):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현철. 2015. 「성적 반체제자와 도시공간의 공공성: 2014 신촌 퀴어퍼레이드를 중심으로」. ≪공간과사회≫ 51, 12∼62쪽.

5.

도린 매시 저. 정현주 역. 2015. 『공간, 장소, 젠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6.

루인, 정희성. 2018. 「퀴어와 공간의 관계 재구성: 영화 <불온한 당신>(이영, 2015)의 바지씨 이묵을 통해 한국이라는 공간의 이성애 규범성과 도시-촌락 이분법탐문하기」. ≪공간과사회≫ 63, 194∼226쪽.

7.

린다 맥도웰 저. 여성과 공간 연구회 역. 2010. 『젠더, 정체성, 장소: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이해』. 파주: 한울.

8.

박경환. 2009. 「교차성의 지리와 접합의 정치: 페미니즘과 지리학의 경계 넘기를 위하여」. ≪문화역사지리≫ 21(3), 1∼16쪽.

9.

배진희. 2019. 「‘퀴어’정치의 가능성: 제주사례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 영. 2015. <불온한 당신>. 여성영상집단 움.

11.

정현주. 2007. 「공간의 덫에 갇힌 그녀들?: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이동성에 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2), 53∼68쪽.

12.

정현주. 2009. 「경계를 가로지르는 결혼과 여성의 에이전시; 국제결혼이주연구에서에이전시를 둘러싼 이론적 쟁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12(1), 101∼121쪽.

13.

정현주. 2012. 「이주여성들의 역설적 공간: 억압과 저항의 매개체로서 공간성을 페미니스트 이주연구에 접목시키기」. ≪젠더와문화≫ 5(1), 105∼144쪽.

14.

정현주. 2015a.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경계지대,’ 억압의 ‘교차성,’ ‘변위’ 개념에 대한 검토 및 적용」. ≪대한지리학회≫ 50(3), 289∼303쪽.

15.

정현주. 2015b. 「시각적 방법론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쟁점에 대한 시론적 고찰: 한국결혼이주여성의 심상지도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3), 161∼170쪽.

16.

정현주. 2016. 「젠더화된 도시담론 구축을 위한 시론적 검토: 서구 페미니스트 도시연구의 기여와 한계 및 한국 도시지리학의 과제」. ≪한국도시지리학회지≫19(2), 283∼300쪽.

17.

정현주. 2018.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의 공간적 변증법」. ≪공간과사회≫ 66, 264∼272쪽.

18.

정희성. 2018. 「역설적 공간으로써 퀴어문화축제 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조앤 샤프 저. 이영민·박경환 역. 2011. 『포스트식민주의의 지리』. 여이연.

20.

패트리샤 힐 콜린스 저. 박미선·주해연 역. 2009. 『흑인 페미니즘 사상』. 여이연.

21.

한유석. 2013. 「성소수자들의 공간 전유와 커뮤니티 만들기」. ≪서울도시연구≫14(1), 253∼269쪽.

22.

홍예륜. 2019. 「지방도시의 퀴어 축제를 통해 형성된 다양성 레짐: 대구, 제주, 부산을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역사학연구소 홈페이지: http://www.ihs21.com/modules/doc/index.php?doc=intro.

Spac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