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본 도시새뜰마을사업 주체 간 네트워크 특성 및 역할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Actors Involved in the Network of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0, v.30 no.2, pp.254-279
https://doi.org/10.19097/kaser.2020.30.2.254
김홍주 (대한주택공사주택도시연구원)
이영환 (대한주택공사주택도시연구원)
임정민 (대한주택공사주택도시연구원)
백혜선 (대한주택공사주택도시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도시새뜰마을사업은 주거지원사업의 사각지대인 도심 취약지역을 집중적으로 재생하고자 시작된 정책사업이다. 본 연구는 도시새뜰마을사업의 실행과정에서 중요 행위자로참여하고 있는 총괄코디네이터, 마을활동가, 마을대표, 공무원의 네트워크 내의 각 주체별역할을 살펴보았다. 2015년 시작된 도시새뜰마을사업은 2019년 대부분 준공단계로, 전체 30개 지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행위자들의 네트워크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실제 도시새뜰마을사업의 진행과정에서 초기정책수립단계에서 의도했던 바와 같이 각 주체들이 역할을 수행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새뜰마을사업 초기 전 지역을 대상으로 주체별 역할을 네트워크 측면에서 규명한 데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Social Network Analysis, role of Actors, Network structure, 도시새뜰마을사업, 네트워크분석, 활동가, 총괄코디, 공무원, 마을대표

Abstract

The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is a policy project started to intensively regenerate the vulnerable areas in the city center, a blind spot of the residential support project, and was implemented by separating the city from the rural area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governance structure of general coordinators, village activists, village representatives, and civil servants, who are participating as important 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which started in 2015, is mostly completed in 2019, and a network of major actors was analyzed through a survey of all 30 selected areas. Through this, we analyzed whether the governance of communication for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worked as intended in the initial policy-making stage in the process of actual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and how the effect and satisfaction of the project were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demonstrated the governance structure for all of the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and clarified the role of each actors.

keywords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Social Network Analysis, role of Actors, Network structure, 도시새뜰마을사업, 네트워크분석, 활동가, 총괄코디, 공무원, 마을대표

참고문헌

1.

임정민·이영환·김홍주·조필규·최원철·박보근·황영호. 2016. 『새뜰마을사업 추진체계 및 평가방안 연구』. 대전: 토지주택연구원.

2.

김홍주·임정민·이영환. 2017. 『도시 새뜰마을사업 활성화 방안』. 서울: 균형발전위원회.

3.

이영환·백혜선·임정민·김홍주·최보미·박윤재. 2019. 『새뜰마을사업 성과 진단 및 평가에 관한연구』. 대전: 토지주택연구원.

4.

이성근·김태구·이관률. 2011.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참여주체간 협력수준과 협력네트워크구조분석」. ≪국토계획≫, 제46권 제4호, 297-309.

5.

전희재·박수영·이준혁·조재욱·강석진. 2019. 「새뜰마을 사업지역의 주민 만족도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9권 제2호, 836-837.

6.

정성문·강신겸. 2015. 「커뮤니티 관광개발에서의 애해관계자간 네트워크 구조분석:양림동도시재생과정을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제27권 제4호, 215-239.

7.

박훈·이상수·김정현. 2018. 「노후 불량주거지역 환경개선사업의 계획과 실천 연구: 동해시 새뜰 마을 사업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38권 제2호(통권 제70집), 240-243.

8.

이상수·박훈. 2019.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노후 불량주거지역 환경개선사업의 실천과 한계:동해시 새뜰마을 사업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제3호, 49-60.

9.

강기훈·김성길. 2019. 「마을만들기사업 주민참여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공동체의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제54권 제1호, 95-107.

10.

김어진·구자훈. 2019. 「도시재생사업 주요 참여주체 변화에 따른 연결중심성 변화 특성 분석:순천시 원도심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통권 제103권, 61-78.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