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공유재로서의 사회주택을 위한 공공성 개념 고찰

A Study on the Concept of Publicness for Social Housing as Commons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0, v.30 no.3, pp.209-239
https://doi.org/10.19097/kaser.2020.30.3.209
신수임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

초록

이 연구는 사회주택 공급에서 기존의 LH 등 정부기관 외에 시민이 새로운 공급 주체로 등장하는 가운데 한국의 사회주택이 추구할 공공성의 모습은 무엇인지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공공성의 개념을 고찰하고 이에 근거하여 사회주택에서 공공성이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동안 공공성에서 公(public)의 개념이 주요하게 부각되고 국가가 공공성을 대변하였지만 사실공공성은 公과 共으로 구성된 단어로, 共의 역할을 고려해야 공공성의 개념을 온전히 이해할수 있다. 역사적 경로에서도 公과 共과 私의 경계는 가변적이었으며 변증법적 관계 속에서 공공성을 만들어 나갔다. 그럼에도 근대에 이르러 국가 합리성을 전제로 영토와 사유재산권을지켜주는 존재로서의 국가가 공공성의 담지자 역할을 맡게 된다. 근대 이후, 국가는 이해관계로부터 독립된 합리적 운영자가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 속에 전략적 선택을 하는 존재로 재해석되고, 公/私 구분에 따른 소유권 개념을 넘은 공유의 실천들이 밝혀지며 지역 사회에 기반한 새로운 공공성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사회주택은 사실 그 목적부터가 공공성을 띄며 다양한 公/共/私 간의 경합을 통해 실현된 역사를 가진다. 반면 한국 주택체제의 경우 발전주의 국가라는 특이성을 지니고, 사회주택은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해 중앙정부라는 단일한공공성의 모습을 보였었다. 새롭게 다양한 共들이 공급하는 사회주택은 역사 속의 공공성이그러했듯이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 왜곡된 公의 모습을 바로 세우고, 公 역시 共의 사적이익추구를 견제하며 국가와 자본과 공동체가 다양하게 결합하는 공유재로서의 사회주택을 창출해 나가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keywords
사회주택, 공공성, 공유재, 국가, 공동체, Social Housing, Publicness, Commons, State, Community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s what the public nature of Korean social housing will be as civic entities appear in addition to the existing LH and other government agencies in the supply of social housing. In the historical path of publicness, the borders of public, common, and private used to be subject to be variable and produce publicness in a dialectical relationship. In the modern period, a state functions as a bearer of publicness which protects territory and private property rights based on state rationality. A state never can be a bearer of publicness because it has to make strategic decisions depending on various interests. Researches with respect to common goods and social activities suggests a new alternative as it has been turned out that practice of sharing is feasible transcending the concept of ownership according to division of public and private. Social housing, in effect, has a characteristic of publicness and has a realized history through the competition of public, common, and private. Whereas, Korean housing system demonstrates the aspect of developmental state and social housing shows single publicness, a state, because of political interests. Social housing supplied by common is able to play as a dialectical relationship which corrects distorted roles of public. This research suggests the potential of social housing as common goods which combinate a state, capital, and community.

keywords
사회주택, 공공성, 공유재, 국가, 공동체, Social Housing, Publicness, Commons, State, Community

참고문헌

1.

강병익. 2015. 「‘발전주의 복지체제’의 두 가지 담론적 기원: 조국근대화론과 대중경제론」. 한국정치연구 제24집 제2호. 205-229

2.

고철·염돈민·진정수·김석주. 1981. 『사회주택정책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3.

곽효문. 1999. 『복지국가론』. 서울: 제일법규

4.

김경희. 2011. 「공공성 담론과 정책연구」. 한국공공사회학회 엮음, 『시민성과 통치성 그리고 공공성』

5.

김수현. 2011. 「한국 복지국가 주택정책의 모색」. ≪복지동향≫, (156), 17-20

6.

김순양. 2015. 「동아시아의 발전국가와 사회정책: 한국의 사례를 통한 발전주의 복지체제론의 주장들에 대한 재검토」. ≪행정논총≫, 53(2).

7.

김원섭·김수한. 2013. 「한국의 국가공공성 형성과 구조 - 발전국가의 복지제도 발전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통권 152호, 42-74

8.

김용창. 2013. 「자산기반 주거복지정책으로서 단기 공공임대주택의 지분공유제 주택으로전환」. ≪공간과 사회≫, 23(2), 5-39.

9.

김용창. 2019. 「자본주의 사적 토지소유의 역사적 한계와 대안적 토지 재산권의 구성」. ≪국토계획≫, 54(2), 141-159

10.

김태성·성경륭, 1993, 『복지국가론』, 파주: 나남.

11.

김형준·한동우, 2012, 「사회생태주의적 관점에서의 한국 복지국가담론 비판과 대안」, 『비판사회정책』, 36: 39-74.

12.

남원석. 2014. 「한국 공공임주택의 미래: 새로운 제도화의 경로와 과제」. ≪공간과 사회≫, 24(2)

13.

남원석. 2017. 「공적 임대주택의 공급체계에 대한 모색: 서울의 경험을 바탕으로」. ≪공간과사회≫, 27(3), 11-48.

14.

네그리·하트. 2014. 『공통체』. 정남영·윤영광 옮김. 고양: 사월의책

15.

로젠펠트, 오르나. 2017. 『UNECE 지역의 사회주택: 모델, 경향, 과제』. 사회주택포럼 옮김. 한국도시연구소·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16.

모어, 토마스. 2012. 『유토피아』. 류경희 옮김. 서울: 북큐브네트웍스

17.

문화공보부. 1980. 「새 시대 새 헌법: 민주복지국가 ‘제5공화국’의 기틀」. 문화체육관광부

18.

맥퍼슨. 1993. 『재산권 사상의 흐름』. 김남두 엮어옮김. 서울: 천지

19.

박성남, 이은석. 2019. 「공동체토지신탁의 국내 도입가능성 고찰」. ≪도시설계≫, 20(1), 5-18

20.

박신영·남원석. 2011. 「공공임대주택 거주 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경제상황 및 자활태도에 대한 조사분석」. ≪부동산학연구≫, 17(3), 135-154.

21.

박신영·진미윤·최은희. 2002, 「도시 주거빈곤의 실태와 정책: 주거빈곤계층의 공공주택소요규명」. ≪도시연구≫, 8, 12-31.

22.

박인권·김진언·신지연. 2019. 「도시 커먼즈 관리의 내재적 모순과 도전들: ‘경의선공 유지’사례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29(3), 63-114

23.

박태호. 1998. 「서구의 근대적 주거공간에 관한 공간사회학적 연구: 근대적 주체의 생산과관련하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발, 아스비에론. 2012. 『지금 복지국가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신자유주의 시대, 복지정책의딜레마』. 남인복 옮김.

25.

발레리 줄레조 저. 길혜연 역 . 2007. 『아파트 공화국』. 후마니타스

26.

볼리어, 데이비드. 2015. 『공유인으로 사고하라: 새로운 공유의 시대를 살아가는 공유인을위한 안내서』. 배수현 옮김. 갈무리.

27.

백승욱. 2006. 『자본주의 역사강의』. 그린비.

28.

백완기. 2007. 「한국행정과 공공성」.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8(2), 1-22

29.

봉인식. 2019. 「Ghekiere의 유형론을 활용한 한국 공공임대주택 정책에 대한 탐구」. ≪주택연구≫. 27 (1), 31-51

30.

사이토 준이치. 2009. 『민주적 공공성: 하버마스와 아렌트를 넘어서』. 윤대석·류수연·윤미란옮김. 이음

31.

서종균. 2011. 「주거복지와 주거권」. 『주거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 사회평론

32.

서종균. 2012. 「사회주택정책의 두 가지 쟁점에 대한 검토」. ≪주택도시연구≫, 2(2), 33-39

33.

송호근·홍경준. 2006. 『복지국가의 태동: 민주화, 세계화, 그리고 한국의 복지정치』. 파주: 나남출판.

34.

스콧, 제임스. 2010. 『국가처럼 보기: 왜 국가는 계획에 실패하는가』. 전상인 옮김. 서울: 에코리브르

35.

신동면. 2009. 「생산레짐과 복지체제의 선택적 친화성에 관한 이론적 검토.」 정무권 편.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II』, 73-112. 서울: 인간과복지.

36.

심상용. 2010. 「한국 발전주의 복지체제 형성 연구: 억압적 발전주의 생산레짐과 비공식 보장의 복지체제」. ≪사회복지정책≫, 37권 4호, 1-25.

37.

아렌트, 한나. 2019. 『전체주의의 기원』. 이진우·박미애 옮김. 서울: 한길사.

38.

아렌트, 한나. 2019. 『인간의 조건』. 이진우·태정호 옮김. 서울: 한길사

39.

오스트롬. 2010. 『공유의 비극을 넘어: 공유자원 관리를 위한 제도의 진화』. 윤홍근·안도경옮김. 랜덤하우스.

40.

윌재스퍼, 제이. 2013. 『우리가 공유하는 모든 것: 세상을 바꾸는 새로운 패러다임』. 박현주옮김. 검둥소.

41.

윤수재·이민호·채종현 (편). 2008. 『새로운 시대의 공공성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시리즈). 서울: 법문사.

42.

이동수 편. 2015. 『정부의 재발견: 공공성과 공동성 사이에서』, 고양: 인간사랑

43.

이병택. 2011. 「고대 아테네 헌정의 발전과 공동성의 변천: 『아테네 헌정』을 중심으로」. ≪오토피아≫, 26(1), 5-28

44.

이병천. 2018. 「커먼즈론은 공동재산/권을 어떻게 보는가?」. ≪시민과세계≫, 239-262

45.

이상봉. 2016. 「도시와 공동성: 탈근대의 대안적 공동성에 대한 탐구」. ≪인문사회과학연구≫, 51, 5-27.

46.

이승환. 2002. 「한국 및 동양의 공사관과 근대적 변용」. ≪정치사상연구≫, 6: 45-65.

47.

이승훈. 2008. 「근대와 공공성 딜레마: 개념과 사상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13: 13-45.

48.

이영대. 2004. 『소유권 개념의 변화와 지적재산권』.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9.

임병권·강민정·장한익·김병국. 2018. 「유럽국가의 사회주택 현황과 지원정책에 관한 사례연구」. ≪주택금융리서치≫

50.

임의영. 2018. 「공공성 연구의 풍경과 전망」. ≪정부학연구≫, 24(3): 1-42.

51.

임재현·한상삼·정승영·최신융, 2008. 『주택정책론』. 서울: 부연사

52.

임혁백. 2008. 「공공성의 정치학적 접근」. 『새로운 시대의 공공성 연구』. 법문사.

53.

장영희. 1990, 「임대주택의 실태와 문제점: 임대주택의 효과적인 공급과 관리방안」. ≪지방행정≫, 39(438), 87-95.

54.

장영희. 2003. 『공공임대주택의 임대료 및 공급체계 개선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55.

정남영. 2017. 「대안근대로의 이행과 커먼즈 운동」. 오늘의 문예비평, 202-216

56.

정하영. 2008. 「동서양 공공성의 변천」. 『새로운 시대의 공공성 연구』. 법문사.

57.

제솝, 밥. 2010. 『전략관계적 국가이론: 국가의 제자리 찾기』. 유범상·김문귀 옮김. 서울: 한울아카데미.

58.

조대엽, 홍성태. 2013. 「공공성의 사회적 구성과 공공성 프레임의 역사적 유형」, ≪아세아연구≫, 152, 7-41

59.

조승래. 2014. 『공공성 담론의 지적 계보』. 서강대학교 출판부

60.

지주형. 2001. 「자본주의 국가를 관계와 전략으로 이해하기: Bob Jessop, 『전략관계적 국가 이론: 국가의 제자리 찾기』」. 진보평론, 2001 (8), 463-472

61.

차동욱. 2011. 「공(publicness)와 사(privateness)의 대립 속에 묻혀버린 공(commonness):프랑스 혁명기 의 주권론과 헌법담론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12(3), 5-26.

62.

최갑수. 2001.「서양에서 공공성과 공공영역」. ≪진보평론≫, 9, 320-346

63.

최태현. 2019. 「公과 共의 사이에서: ‘작은 共’들의 공공성 가능성의 고찰」. ≪한국행정학보≫, 53(3), 1-27

64.

최현. 2013. 「공동자원 개념과 제주의 공동목장」. ≪경제와사회≫, 12-39

65.

푸코, 미셸. 2011. 『안전·영토·인구』. 오트르망 옮김. 서울: 난장

66.

폴라니, 칼. 2009. 『거대한 전환』. 홍기빈 옮김. 서울: 길

67.

하버마스, 위르겐. 2001. 『공론장의 구조변동: 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한승완 옮김. 나남.

68.

하비, 데이비드. 2014. 『반란의 도시』. 한상연 옮김. 서울: 에이도스

69.

하비, 데이비드. 2005.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 김병화 옮김. 생각의 나무.

70.

하성규. 2000. 『주택. 도시. 공공성』. 박영사

71.

하성규. 2010. 『주택정책론』. 박영사

72.

하승우. 2014. 『공공성』. 책세상.

73.

하호수. 2012. 「자본주의 국가의 생명정치: 푸코의 ‘장치’로 접근한 건강보험의 탄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4.

한동우, 최혜지. 2015. 「복지국가는 사적 공간을 어떻게 식민화하는가」. ≪한국사회복지학≫, 67(2), 161-181

75.

호이써만·지벨. 2014. 『주거사회학』. 서봉원 옮김. 백산서당

76.

황진태. 2016. 「발전주의 도시에서 도시 공유재 개념의 이론적·실천적 전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2)

77.

Gottmann. Jean. 1973. The Significance of Territory.

78.

Massey, Doreen. 1995. “The conceptualization of place”. A place in the world?: places, cultures and globaliz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79.

Satu Kivelä & Sami Moisio. 2016. “The state as a space of health: on the geopolitics and biopolitics of health-care systems”, Territory, Politics, Governance.

80.

Stuart Elden. 2013. “How Should We Do the History of Territory?”. Territory, Politics, Governance.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