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Reply Citizen-sensing: Risk Communication in Post-Fukushima Radioactive Pollution Map Drawing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0, v.30 no.3, pp.319-371
https://doi.org/10.19097/kaser.2020.30.3.319

Abstract

이 연구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직후 방사능오염을 탐지하고 데이터를 지도화 해서 SNS를통해 공유했던 시민센싱의 전개를 기술한다. 그럼으로써 방사능 위험에 대한 새로운 감수성과 책임의 양식이 생성되는 과정을 부각시키려는 시도이다. 특히, 후쿠시마 원전사고 직후 해커스페이스, DIY센싱, 그리고 크라우드소싱을 중심으로 구성된 세이프캐스트의 활동에 주목해서, 시민의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장치와 개념을 매개로 방사능 오염에 대한 시민의 감각능력과 응답능력이 강화되는 과정을 다루었다. 감수성과 책임을 각각 감각+역량(sense+ability) 과 응답+역량(response+ability)으로 재번역함으로써, 포스트후쿠시마 시민센싱이 과학과 정치, 지식과 믿음, 가치와 사실, 전문가와 대중으로 양분된 세계로부터 대비되어 생성되는 새로운 삶을 양식화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첫째, 포스트후쿠시마 국가-시민 관계를 고찰하고 방사능 오염 이슈를 둘러싼 공중의 형성을 기술한다. 그럼으로써 시민센싱의 아이디어가 새로운 방식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으로 부각되는 계기를 밝힌다. 둘째, 해커스페이스와 DIY센싱의 결합으로 형성된 세이프캐스트의 방사능 오염 탐지 과정을 기술함으로써, 시민센싱이 기존의 정부기구와 시민운동과는 차별화되는 감각능력을 갖추게 되었음을 제시한다. 셋째, 크라우드소싱을 통해서 방사능오염지도가 작성되고 공유되는 과정을 기술함으로써 세이프캐스트가 다른 방사능오염지도 작성 기관들과 차별화된 응답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밝힌다. 넷째, 세이프캐스트의 방사능 오염 탐지와 지도에 대한 타당성 검토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과학적 타당성과 가치를 나누는 대립항과는 다른 세계상의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한다.

keywords
Citizen-sensing, Post-Fukushima, Radioactive contamination, Sensitivity, Responsibility, Risk Communication, 시민센싱, 포스트후쿠시마, 방사능 오염, 감수성, 책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Reference

1.

김은혜. 2015.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위험경관의 공간정치」. ≪지역사회학≫ 제16호, 191~217쪽.

2.

김인아. 2015. 「생(生)과 공생(共生)의 식탁: 동일본대진재 이후 일본 한 생협의 먹거리 안전에 대한 문화적 구성과 실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3.

데란다, 마뉴엘. 2009. 『강도의 과학과 잠재성의 철학: 잠재성에서 현실성으로』. 이정우 역. 그린비.

4.

요시히코, 이케가미. 2012. 「저선량피폭지대로부터」. 『후쿠시마에서 부는 바람』. 조정환 엮음. 갈무리, 67~73쪽.

5.

이강원. 2020. 「지구적 감각, 감각적 지구: 육체-천체 연속체로서의 포스트휴먼 지구되기」. ≪횡단인문학≫, 제5호, 29~46쪽.

6.

이와사부로, 코소. 2012. 「녹색 속에 감추어져 있는 송곳니들」. 『후쿠시마에서 부는 바람』. 조정환 엮음. 갈무리, 168~190쪽.

7.

이선화. 2018. 「초원과 닭의 세계상: 중국 북방 초원 사막화 방지와 생태 실험」. ≪공간과 사회≫, 제28권 1호, 150~193쪽.

8.

조정환 엮음. 2012. 『후쿠시마에서 부는 바람』. 갈무리.

9.

캘디콧, 헬렌 엮음. 2016. 『끝이 없는 위기: 세계 최고 과학자들이 내린 후쿠시마 핵재앙의의학적․생태학적 결론』. 글항아리.

10.

클라인맨, 대니얼 리. 2012. 『과학, 기술, 민주주의: 과학기술에서 전문가주의를 넘어서는 시민참여의 도전』. 김명진․김병윤․오은정 옮김. 갈무리.

11.

황진태. 2016. 「동아시아 맥락에서 바라본 한국에서의 위험경관의 생산」. ≪대한지리학회지≫, 제51호 2권, 283~303쪽.

12.

황진태, 김민영, 배예진, 윤찬희, & 장아련. 2019. 「리슈만편모충은 어떻게 ‘하나의 유럽’에균열을 가했는가?: ‘인간 너머의 위험경관’의 시각에서 바라본 코스모폴리타니즘의한계」. ≪대한지리학회지≫, 제54호 3권, 321~341쪽.

13.

一ノ瀬 正樹 外. 2012. 『低線量被曝のモラル』. 河出書房新社.

14.

小森敦司. 2016. 『日本はなぜ脱原発できないのか: 「原子力村」という利権』. 平凡社.

15.

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2016. 『福島第一原発事故による海と魚の放射能汚染』. 成山堂書店.

16.

NHK ETV特集取材班. 2012.『ホットスポット: ネットワークでつくる放射能汚染地図』. 講談社.

17.

東日本大震災復興対策本部事務局. 2011. 「平成23年10月26日全国の避難者等の数」. https://www.reconstruction.go.jp/topics/hinansyasu.pdf (2020년 4월 25일 접속).

18.

復興庁. 2017. 「全国の避難者等の数」. https://www.reconstruction.go.jp/topics/main-cat2/sub-cat2-1/20170228_hinansha.pdf (2020년 4월 25일 접속).

19.

Akiba. 2011. “Kimono Lantern and Humanitarian Open Source Hardware.” FreakLabs. https://archive.freaklabs.org/index.php/blog/misc/kimono-lantern-and-humanitarian-open-source-hardware.html (2020년 2월 7일 접속).

20.

Aldrich, D. P. 2012. “Post-crisis Japanese nuclear policy: from top-down directives to bottom-up activism.“ Analysis form East-West Center , 103, pp. 1~12.

21.

Aldrich, D. P. 2013. “Rethinking civil society–state relations in Japan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Polity , 45(2), pp. 249~264.

22.

Bäckstrand, K. 2003. “Civic Science for Sustainability: Reframing the Role of Experts, Policy Makers and Citizens in Environmental Governance.”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3(4), pp. 24~41.

23.

Benkler, Y. 2004. “Commons-based Strategies and the Problems of Patents.” Science, 305(5687), pp. 1110~1111.

24.

Bottollier-Depois, Jean-François, et al. 2017. “Open radiation: A collaborative project for radioactivity measurement in the environment by the public.” EPJ Web of Conferences, p. 08002.

25.

Brown, Azby, Pieter Franken, Sean Bonner, Nick Dolezal, and Joe Moross. 2016. “Safecast: successful citizen-science for radiation measurement and communication after Fukushima.” Journal of Radiological Protection, 36(2), pp. 82~101.

26.

Capodici, V., S. Burnie, K. Naoto. 2016. “Reassessing the 3.11 Disaster and the Future of Nuclear Power in Japan: An Interview with Former Prime Minister Kan Naoto.”The Asia-Pacific Journal, 14(18-1), pp. 1~5.

27.

Escobar, A. 2020. Pluriversal Politics: The real and the Possible. Duke Univ. Press.

28.

Feldhoff, T. 2018. “Visual representations of radiation risk and the Question of Public (Mis-) Trust in Post-Fukushima Japan.” Societies, 8(2), pp. 1~20.

29.

Garud, R., & P. Karnøe. 2003. “Bricolage versus breakthrough: distributed and embedded agency in technology entrepreneurship.” Research policy, 32(2), pp. 277~300.

30.

Goodman, E. 2009. “Three environmental discourses in human-computer interaction.”Proceedings of the 2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 CHI EA ’09. New York, USA: ACM Press, pp. 2535~2544.

31.

Hoeve, T., E. John, and Z. Jacobson. 2012. “Worldwide health effects of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accident.”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5(9), pp. 8743~8757.

32.

Kera, Denisa. 2012. “Hackerspaces and DIYbio in Asia: connecting science and community with open data, kits and protocols.” Journal of Peer Production 2, pp. 1~8.

33.

Kera, Denisa, Jan Rod, and Radka Peterova. 2013. “Post-Apocalyptic Citizenship and Humanitarian Hardware.” Nuclear Disaster at Fukushima Daiichi. pp. 1~27. http://www.psypress.com/nuclear-disaster-at-fukushima-daiichi-9780415527835.

34.

Latour, Bruno. 2004. Politics of Nature: How to Bring the Sciences into Democracy. Porter Catherine(trans). Cambridge, Mass: Harvard Univ. Press.

35.

Laurel, Brenda. 2006. “Designed Animism.” Companion to the 21st ACM SIGPLAN symposium on Object-oriented programming systems, languages, and applications. p. 503.

36.

Mansell, R. 2013. “Employing digital crowdsourced information resources: managing the emerging information comm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ons, 7(2), pp. 255~277.

37.

Marres, door Noortje Suzanne. 2005a. No Issue, No Public: Democratic Deficits after the Displacement of Politics, ter verkrijging van de graad van doctor aan de Universiteit van Amsterdam op gezag van de Rector Magnificus.

38.

Marres, door Noortje Suzanne. 2005b. “Issues Spark a Public into Being: A Key But Often Forgotten Point of the Lippmann-Dewey Debate.” in Making Things Public: Atmospheres of Democracy. Bruno Latour and Peter Weibel eds.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39.

Ono, Eiri et al. 2018. “Increasing crowd science projects in Japan: Case study of online citizen particip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itutional Research and Management, 2(1), pp. 19~34.

40.

Peterová, R. 2011. “Urban Interfaces & Extensions: Sensors, Chips, and Ad Hoc Networks as Tools for Urban Culture.” MA thesis, Charles University.

41.

Peterová, R., & J. Hybler. 2011. “Do-it-yourself environmental sensing,” Procedia Computer Science, 7, pp. 303~304.

42.

Samet, J. M., and D. Chanson. 2015. “Fukushima Daiichi Power Plant Disaster: How Many People Were Affected? 2015 Report.” Green Cross International: Kyoto, Japan.

43.

Stengers, Isabelle. 2010. Cosmopolitics I. Univ. of Minnesota Press.

44.

Stengers, Isabelle. 2011. Thinking with Whitehead: A Free and Wild Creation of Concepts. Cambridge, Massachusetts and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45.

Sternsdorff-Cisterna, N. 2020. Food Safety after Fukushima: Scientific Citizenship and the Politics of Risk. University of Hawaii Press.

Spac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