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How Does a Society Cope with COVID-19 Pandemic?: Observing the Possibility of Society and Changes of Social Systems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0, v.30 no.3, pp.62-98
https://doi.org/10.19097/kaser.2020.30.3.62

Abstract

이 글은 코로나-19와 같은 생태적 위험에 사회가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가를 루만의 체계이론을 활용하여 탐색한다. 코로나-19 사태는 사람과 사람들의 관계로 구성된 사회, 그리고그런 사회와 존재론적으로 구분되는 사회-환경 도식에 의해서 분석되고 대안이 모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사회-환경 도식은 기능분화된 현대사회에 더 이상 적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생태적 위험을 해결하는 데 오히려 장애물이 된다. 이 글에서 사회는 사람으로 구성되는 것이아니다. 사회는 그것의 환경과 작동적으로 구분되는 커뮤니케이션 체계로서 자기준거적으로재생산된다. 코로나-19와 같은 생태적 위험은 전체 사회가 아니라 기능적으로 분화된, 사람들로 구성되지 않은 사회체계들과 사회조직들의 고유한 작동들에 의해서만 처리될 수 있다. 코로나-19와 관련된 리스크 결정과 K-방역에 대한 분석은, 전체 사회의 이름으로 요청되고행해지는 결정과 대처는 불가능하고, 사회적 체계들이 위험과 리스크에 대처할 수 있는 고유의 작동들을 교란시킬 뿐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코로나-19와 같은 생태적 위험에 대한 최선의 대처는 기능분화된 사회적 체계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 작동의 맹점은 무엇인지를 관찰하는 것이다.

keywords
체계이론, 사회체계, 커뮤니케이션, 사회-환경, 코로나-19, 리스크, K방역, 니클라스 루만, System theory, Social System, Communication, Society-environment, COVID-19, Risk, K-Prevent Epidemics, N. Luhmann

Reference

1.

기든스, 앤소니 & 필립 서튼. 2018. 김미숙,김용학,박길성,송호근,신광영,유홍준,정성호 옮김. 『현대사회학』 8판. 을유문화사.

2.

김광기. 2008. 「정상과 비정상, 그리고 이방인」. ≪사회이론≫, 33호. 281~316쪽.

3.

김환석외.2020. 『21세기 사상의 최전선-전 지구적 공존을 위한 사유의 대전환』. 이성과 감성

4.

노진철, 2014. 「불확실성 시대의 위험들과 정치에 대한 요구 증대: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의관점에서」. ≪사회와이론≫, 25호. 7-39쪽.

5.

루만, 니클라스. 2014a. 서영조옮김. 『생태적 커뮤니케이션』. 에코리브르.

6.

루만, 니클라스. 2014b. 윤재왕역.『체계이론입문』. 새물결

7.

루만, 니클라스. 이철옮김. 2015. 『사회이론입문』. 이론출판

8.

루만, 니클라스. 2018. 서영조옮김.『사회의 정치』 이론출판.

9.

마굴리스, 린·도리언 세이건. 2018. 김영옮김. 『생명이란 무엇인가』. 리수.

10.

마뚜라나, 움베르토·프란시스코 바렐라. 2007. 최호영옮김. 『앎의 나무: 인간 인지능력의 생물학적 뿌리』. 갈무리.

11.

박순열. 2019. 「생태시티즌십: 생명과 자유를 구현하는 새로운 시민의 모색」. ≪환경사회학연구 ECO≫, 23-2. 67~98쪽.

12.

베르크하우스, 마르고트. 2012. 이철옮김. 『쉽게 읽는 루만』. 한울아카데미.

13.

이수진. 2011. 「강요된 열정, 불안한 젊음. 한윤형 외 저,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웅진지식하우스, 2011.5)」. ≪플랫폼≫. 2011년 7·8월호(통권 28호). 66~69쪽.

14.

이철. 2017.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적 세계사회 분석 - 소통으로서의 사회적인 것과 소통의 총체로서의 사회」. ≪사회와 이론≫, 통권 제30집, 171~210쪽.

15.

이철. 2020. 「한국사회 분석을 위한 ‘체계/환경-차이’ 이론의 함의 - 계층적 분화의 사회질서원칙과 기능적 분화의 사회질서 원칙의 경합테데」. ≪사회와이론≫, 통권 제36집, 93~121쪽.

16.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http://ncov.mohw.go.kr/

17.

해밀턴, 클라이브. 2018. 장서진 옮김. 『인류세: 거대한 전환 앞에서 선 인간과 지구시스템』. 이상북스.

18.

헬가그립-하겔슈탕에. 이철 옮김. 2016. 『니클라스 루만-인식론적 입문』. 이론출판.

19.

Esterman, Adrian. (2020. 5). “We may well be able to eliminate coronavirus, but we’ll probably never eradicate it. Here’s the difference”, The conversation (https://theconversation.com/global)

20.

Baecker, Dirk(2020.5). ”Corona XVII: Die Individualisierung des Risikos. https://kure.hypotheses.org/934

21.

Ball, Lauren(2020.6). “Employers, schools, take note. Coronavirus ‘clearance certificates’ are a waste of everybody’s time”. The conversation(https://theconversation.com/global)

22.

Johns Hopkins University & Medicine Coronavirus Resource Center 홈페이지:https://coronavirus.jhu.edu/map.html

23.

Worldometer 홈페이지: https://www.worldometers.info/coronavirus/

Spac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