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지방적 주체의 경계만들기: 대만과 한국의 미시적 경계작업을 사례로

Local Practices of Borderworks in the Border Regions of Taiwan and Korea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1, v.31 no.3, pp.163-197
https://doi.org/10.19097/kaser.2021.31.3.163
박배균 (서울대학교)
쉬진위 (國立臺灣大學)
신진숙 (경희대학교)

초록

이 논문은 경계에 대한 포스트 영토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국경과 접경을 국가 영토성의 단순한 표현으로 보기를 거부하고, 국경을 통해 살아가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역동적 실천들 속에서 만들어지는 사회-공간적 구성물이라 바라본다. 이런 관점을 더욱 심화하기 위해 본 논문은 접경지역에서 살아온 다양한 지방적 주체들의 일상적 삶과 우발적 실천들이 경계의 형성/해체/재구성의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려 한다. 특히, 지방적 주체의 경계만들기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① 지방적 차원의 우발적 사건들이 국가 공간과 영토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② 국경과 영토에 대한 국가주의적 재현과 다르게 이루어지는 지방적 주체들의 비재현적 수행들이 국경/접경의 사회-문화적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대만과 한국의 접경지역을 사례로 살펴볼 것이다

keywords
경계, 경계작업, 우발적 경계, 비재현적 수행, 금문, Border, Borderwork, Accidental Border, Non-representational Performativity, Jinmen(Taiwan)

Abstract

On the basis of the post-territorailist view to the border, this article sees the border not as a mere expression of the state territoriality, but as the socio-spatial construct made through the complex interactions among, and the dynamic practices of, various actors and forces operating in and through the border regions. As a way of deepening this perspective, it aims at exploring how the daily lives and accidental practices of various local subjects can give impacts on the ways in which borders are made, dismantled, or remade. In particular,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bordering processes of local subjects more concretely by addressing ① how local accidents can give impacts on the ways in which the state spaces and territories are materially and discursively constructed, and ② how the non-representational performances of local subjects, which are made differently from the statist representations on borders and territories, can give impacts on the ways in which borders are socio-culturally formed, and through empirical case studies on the border regions in Taiwan and Korea.

keywords
경계, 경계작업, 우발적 경계, 비재현적 수행, 금문, Border, Borderwork, Accidental Border, Non-representational Performativity, Jinmen(Taiwan)

참고문헌

1.

그레그․시그워스 (Gregg, M. and G. J. Seigworth) 편저. 2015. 『정동이론: 몸과 문화, 윤리, 정치의 마주침에서 생겨나는 것들에 대한 연구』. 최성희․김지영․박혜정 옮김. 갈무리.

2.

박배균. 2017. 「동아시아에서 국가의 영토성과 예외적 공간: 동아시아 특구의 보편성과 특수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2), 288~ 310쪽.

3.

박배균․백일순. 2019. 「한반도 접경지역에서 나타나는 ‘안보-경제 연계’와 영토화와 탈영토화의 지정-지경학」. ≪대한지리학회지≫, 54(2), 199~228쪽.

4.

박배균․이승욱․지상현 편. 2019. 『한반도의 신지정학: 경계, 분단, 통일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 한울.

5.

박배균·김민환. 2015. 「단절과 이동의 변증법과 금문 지역경제의 변화-고량주 경제를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27(2), 79~102쪽.

6.

박소영․권태상․김덕우. 2018. 「강원도 민북마을의 경험과 기억, 그리고 미래」. 강원학연구센터-강원연구원.

7.

조주현. 2016. 「과학적 실천이론과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접점 : 캐런 바라드의 경우」. ≪한국여성철학≫, 25, 65~104쪽.

8.

지상현․이승욱․박배균. 2019. 「한반도 경계와 접경지역에 대한 포스트 영토주의 접근의 함의」. ≪공간과 사회≫, 29(1), 206~234쪽.

9.

지상현․이진수․조현진․류제원․장한별. 2018. 「냉전의 진열과 쇼핑: DMZ 전망대를 통해 살펴본 냉전경관의 구성」. ≪대한지리학회지≫, 53(5), 605~623쪽.

10.

포페스쿠(Popescu, Gabriel) 편저. 2018. 『국가, 경계, 질서: 21세기 경계의 비판적 이해』. 이영민․이용균․이현욱․김수정․이종희․이지선․장유정 옮김. 푸른길.

11.

Ahmed, S. 2004. “Affective Economies.” Social Text, 22(2), pp. 117~139.

12.

Anderson, B. 2014. Encountering Affect: Capacities, Apparatuses, Conditions. Routledge.

13.

Anderson, J. and L. O’dowd. 1999. “Borders, Border Regions and Territoriality: Contradictory Meanings, Changing Significance.” Regional Studies, 33(7), pp. 593~604. doi:10.1080/ 00343409950078648.

14.

Balibar, E. 2004. We, the People of Europe? Reflections on Transnational Citizenship.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Barad, Karen. 2003. “Posthumanist Performativity: Toward an Understanding of How Matter Comes to Matter.” Gender and Science, 28(3), pp. 801~831.

16.

Chu, Ling-I and Jinn-Yuh Hsu. 2021. “Accidental Border: Kinma Islands and the Making of Taiwan.” Geopolitics, doi:10.1080/14650045.2021.1919628

17.

Coleman, M. 2005. “U.S. Statecraft and the U.S.: Mexico Border as Security/Economy Nexus.” Political Geography, 24(2), pp. 185~209. doi:10.1016/j.polgeo.2004.09.016.

18.

Derrida, J. 2005. Rogues: Two Essays on Reas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

Jessop, B. 1990. State Theory: Putting Capitalist State in their Place. University Park, PA: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

Kim, Eleana J. 2016. “Toward an Anthropology of Landmines: Rogue Infrastructure and Military Waste in the Korean DMZ.”Cultural Anthropology, 31(2), pp. 162~187.

21.

Larkin, Brian. 2013. “The Politics and Poetics of Infrastructure.” The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42, pp. 327~343. doi:10.1146/annurev-anthro-092412-155522.

22.

Passi, Anssi. 2011. “A Border Theory: An Unattainable Dream or a Realistic Aim for Border Scholars?.” in Doris Wastl-Walter (ed.).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Border Studies. Burlington: Ashgate, pp. 11~32.

23.

Pile, S. 2010. “Emotions and Affect in Recent Human Geography.”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5(1), pp. 5~20

24.

Rumford, Chris. 2014. Cosmopolitan Borders.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5.

Rumley, D. and J. V. Minghi. 2014. The geography of border landscapes. London: Routledge.

26.

Sayer, R. A. 1992. Method in social Science: A Realist Approach. London: Psychology Press.

27.

Thrift, N. 2004. “Intensities of Feeling: Towards a Spatial Politics of Affect.” Geografiska Annaler. Series B, Human Geography, 86(1), pp. 57~78. doi: 10.1111/j.0435-3684.2004.00154.x

28.

Thrift, N. 2007. Non-representational Theory: Space, Politics, Affect. Routledge.

29.

KBS 뉴스. 2021년 6월 4일. “고양 장항습지서 지뢰 폭발…한강변에서 지뢰 종종 발견”.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02101 (2021년 8월 23일 검색)

30.

녹색연합, 2021. ≪지뢰지대, 생명의 땅으로: IMAS 에서 답을 찾다≫. 녹색연합 홈페이지 (https://www.greenkorea.org/category/archive/publication/)

31.

연합뉴스. 2020년 10월 21일. “민통선 내 마을 주민들, '유실 지뢰' 피해호소·대책촉구.” https://www.yna.co.kr/view/AKR20201021087900004 (2021년 8월 23일 검색)

32.

춘천 MBC. 2021년 12월 18일. ≪지뢰, 비극의 반복≫. https://www.youtube.com/watch?v=oCOC3KAtJ9M (2021년 8월 23일 검색)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