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주택장(housing field)의 정치경제학: 도시중산층의 젠더화된 투기아비투스

The Political Economics of Gendered Urban Housing Field in South Korea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1, v.31 no.3, pp.8-47
https://doi.org/10.19097/kaser.2021.31.3.8
최시현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부동산 투기는 도시 사회 불평등 유발 요인이다. 이 연구는 부동산 투기장에서 주택실천으로 자본이익을 추구하는 한국 도시 중산층의 독특한 가치 체계가 구축되어 온 문화적 구조를 논의한다. 서울권 지역 자가 소유 경험이 있는 도시 중산층 여성 10명의 주거경험을 중심으로 생애사적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도시중산층 가족에서 여성들의 투기적 주택실천은 부동산 자산의 축적을 통해 자가소유를 상징으로 하는 중산층 가족의 계급성을 구축하고 가족주의에 이바지하는 가치 있는 일로 여겨져 왔다. 한국 사회의 가부장적 가족주의와 젠더 규범은 투기아비투스를 경제적 합리성뿐만 아니라 가치 있는 일로 만드는 문화적 배경으로 기능한다. 지대 수익과 시세 차익을 추구하는 중산층의 투기아비투스는 자가소유 이후에도 끊임없이 이동하는 불안정성을 특징으로 하는 독특한 계급성을 형성하며 이는 중산층의 보수적 계급연대를 강화하는 정치적 효과를 갖는다.

keywords
field theory, habitus, middle class women, housing practice, real estate, 장이론, 아비투스, 중산층 여성, 주택실천, 부동산

Abstract

By understanding the speculative housing practice of the urban middle class as an interaction between patriarchal familism and gender norms, this study differs from the existing perspective that considered the household as a gender-neutral individual unit. By applying Bourdieu’s field theory to the analysis of women’s housing life history, the constriction process of speculative capital through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households, markets, and the state through women’s housing practices is analyzed. In this process, the cultural consensus structure for speculation was made, and Korean urban middle class became conservative as a result of the consolidation of speculative habitus. As a result, the urban middle class in Korea forms a unique class character characterized by instability; it kept its life trajectory of constant movement and reinvestment even after house-ownership.

keywords
field theory, habitus, middle class women, housing practice, real estate, 장이론, 아비투스, 중산층 여성, 주택실천, 부동산

참고문헌

1.

권민지. 2018. 「‘내 집’만들기 주거불안계급 청년 여성의 공간전략」. 《공간과 사회》, 통권 65, 271~301쪽.

2.

김경휘·김선미. 2010. 「소득계층에 따른 주거불평등에 관한 연구―주거이동 경험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3, 148~176쪽.

3.

김명수. 2018. 「한국 주거문제의 구조적 기원 (1970~ 1985): 자원동원형 주택공급연쇄와 그내부 긴장」. 《공간과 사회》」. 통권 64호, 158~205쪽.

4.

김명수. 2019. 「자가소유권의 기능 전환과 중산층의 변화: 투기적 가계금융 지위의 부상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53권 3호, 89~127쪽.

5.

김모란. 1994. 「한국사회의 혼인거래관행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과 박사학위논문.

6.

김미숙·상종렬. 2015. 「중산층 주거지역의 자녀교육과 이웃효과: 분당구 사례」. 『한국교육사회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3~54쪽.

7.

김주희. 2005. 「해방 후 혼수문화의 변천에 대한 사례연구: 부거제 의식과 가족주의의 지속」. ≪가족과 문화》, 통권 17호, 127~154쪽.

8.

남원석. 2014. 「한국 공공임대주택의 미래 새로운 제도화의 경로와 과제」. ≪공간과 사회≫, 통권 48호, 136~177쪽.

9.

맥도웰, 린다, 2010. 『젠더, 정체성, 장소: 페미니시트 지리학의 이해』, 서울: 한울

10.

박미선. 2017. 「한국 주거불안계급의 특징과 양상: 1인 청년가구를 중심으로」 . ≪공간과 사회≫, 제27권 4호, 110∼140쪽.

11.

박배균·장진범. 2017.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와 한국의 도시 이데올로기」, 박배균 황진태 엮음.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 서울: 동녘, 13~58쪽.

12.

박애리·심미승·박지현. 2017. 「청년세대의 주거 빈곤 진입과 주거 불안정성 인식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제19권 2호, 1~20쪽.

13.

박지혁·황진태. 2017. 「수성구는 어떻게 ‘대구의 강남’이 되었나?」. ≪지역사회학≫, 제18권 1호, 43~77쪽

14.

박혜경. 2008. 「중산층 기혼여성의 경험 세계를 통해 본 가사노동의 성격과 가사노동 가치인식」. 《페미니즘 연구》 제8권 2호, 159~196쪽

15.

변창흠. 2008. 「도시재생방식으로서 뉴타운사업의 정책결정 과정과 정책효과에 대한 비판적고찰」. 《공간과 사회》, 통권 29호, 176~208쪽.

16.

부르디외, 피에르. 2004. 『사회학의 문제들』. 서울: 동문선.

17.

부르디외, 피에르. · 로익, 바캉. 2015.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서울: 그린비.

18.

신진욱. 2011. 「국제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 주거자본주의 체제의 특성」. 《동향과 전망》, 통권81호, 112~155쪽.

19.

신진욱·이은지. 2012. 「금융화 시대의 주택체제 변동의 네 가지 경로」. 《경제와 사회》, 통권95호, 218~253쪽.

20.

심한별. 2020. 「사교육과 한국 중산층 주거지 근린의 구성. 《공간과 사회》, 통권 71호, 356~400쪽.

21.

오승민. 2015. 「가치투자의 수행성과 대중투자문화의 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화학협동과정 석사학위논문

22.

이은지. 2013. 「한국에서 주택 담론의 역사적 변화 : 1970~2000년대 신문기사를 통해 본 '내집마련' 담론」.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23.

장경섭. 2018. 「가족자유주의와 한국사회: 사회재생산 위기의 미시정치경제적 해석」. 《사회와이론》, 통권 32집. 189~218쪽.

24.

장세훈. 2008. 『중산층의 주거현실에 비춰본 중산층 육성정책의 방향. 한국사회학회 (편). 기로에 선 중산층 : 현실진단과 복원의 과제』. 고양: 인간사랑.

25.

장세훈. 2007. 「주택소유의 관점에 입각한 중산층의 재해석」. 《경제와 사회》, 통권 74호, 199~226쪽.

26.

전상인. 2009. 『아파트에 미치다: 현대한국의 주거사회학』. 서울: 이숲.

27.

정민우·이나영. 2011. 「청년 세대,‘집’의 의미를 묻다: 고시원 주거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5권 2호, 130~175쪽.

28.

지주형, 2017, 「강남 개발과 강남적 도시성의 형성: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의 공간선택성을 중심으로」, 박배균 황진태 엮음.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 서울: 동녘, 179~230쪽.

29.

최시현, 2020. 「한국 도시중산층여성 주택실천에서의 젠더불평등」. 《한국여성학》, 제36권 4호, 1~32쪽

30.

푸코, 미셸. 2012.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오트르망 옮김. 서울: 난장.

31.

하성규·서종녀. 2006. 「공공임대주택과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제14권 3호, 159~181쪽.

32.

Barrett, Michele.· McIntosh, Mary. 2015. The anti-social family. Verso Trade.

33.

Bourdieu, Pierre. 2005. The social structures of the economy. Polity.

34.

Crawford, Joe, McKee, Kim. 2018. Hysteresis: Understanding the housing aspirations gap. Sociology, Vol. 52, No.1, pp.182~197.

35.

Heidegger, Martin. 1971. Poetry, language, thought. trans and collected by Hofstadter, A. New York: Harper & Row.

36.

Hoolachan, Jennifer, et al. 2017. ‘Generation rent’and the ability to ‘settle down’:economic and geographical variation in young people’s housing transitions.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0, No. 1, pp.63~78.

37.

Kemeny, Jim. 1986. The myth of home-ownership: Private versus public choices in housing tenure. London: Routledge.

38.

Kendall, Laurel. 1996. Getting married in Korea: Of gender, morality, and modern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9.

Langley, Paul. 2008. The everyday life of global finance: Saving and borrowing in Anglo-America.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0.

Preda, Alex. 2005. The investor as a cultural figure of global capitalism. The sociology of financial markets, pp.141~162.

41.

Yang, Myungji. 2018. The rise of ‘Gangnam style’: Manufacturing the urban middle class in Seoul, 1976–1996. Urban Studies, Vol. 55, No. 15, pp. 3404~3420.

42.

Young, Iris. 2005. House and home: Feminist variations on a theme. in Sarah HardyCaroline Wiedmer(ed)Motherhood and space (pp. 115~147). New York:Palgrave Macmillan.

43.

Vogel, Lise. 1982. Hidden in the Household: Women's Domestic Labour under Capitalism.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