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난민과 이동통치: 예멘 출신 난민 신청자들의 제주에서의 경험 연구

Refugee and Governmobility: Experiences of Yemeni Asylum Seekers in Jeju Island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2, v.32 no.4, pp.260-296
https://doi.org/10.19097/kaser.2022.32.4.260
서선영 (충북대학교)

초록

본 논문은 Bærenholdt의‘이동통치’ 개념과 Sheller와 Urry의 모바일 문화기술지 방법을 기반으로 2018년 제주라는 특정 공간에서 발생한 예멘 난민 신청자들의 경험을 분석한다. 국가와 비국가 기관들이 어떻게 예멘 난민 신청자들의 이동성을 제한했는지, 이 과정에서 어떠한 통치의 기술들이 사용되었는지, 그리고 통치의 과정에서 생산된 담론과 규범, ‘사실’들이 어떻게 예멘 난민 신청자들로 하여금 이동통치를 내면화하게 했는지를 검토한다. 동시에 이들의 주체화(subjectification) 과정이 이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이동성이라는 렌즈를 통해 분석된 이들의 경험은 국가 및 비국가 기관에 절대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예멘 난민 신청자들을 둘러싼 권력의 위계와 다양한 작동방식을 드러낸다. 또한 예멘 난민들이 국가 및 비국가 권력의 이동통치 전략을 수용하기도 하지만 이에 도전함으로써 새로운 공간과 관계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음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난민에 대한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킨 당사자들임에도 숱한 논의에서 배제되었던 예멘 출신 난민 신청자들의 경험과 목소리를 재현함으로써 난민이 겪는 불평등과 배제, 차별과 같은 인권의 문제를 제기하여 한국사회 난민 정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지점을 제공한다.

keywords
Yemeni refugee, Jeju, governmobility, mobilities, mobile ethnography, 예멘 난민, 제주, 이동통치, 모빌리티, 모바일 문화기술지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experiences of asylum seekers from Yemen who entered Jeju Island in 2018, based on Jørgen Bærenholdt’s concept of governmobility and mobile ethnography proposed by Mimi Sheller and John Urry. How state and non-state agents regulated the mobility of Yemeni asylum seekers, how techniques of governmentality were used, and how they internalized the discourse, norms, and ‘truths’ generated during this process are examined. The article also draws attention to how the asylum seekers’ subjectification affected their own mobilities. The experiences analyzed through the lens of mobilities reveal the power dynamics that reflect the hierarchical relations caused by their dependence on state and non-state agents. At the same time, the article illustrates how Yemeni asylum seekers are by no means simple receivers of the state and non-state agents’ governmobility strategies, but are agents themselves that can challenge top-down control and create their own spaces and social relations. Despite heated debate sparked by the presence of Yemeni asylum seekers in Jeju Island in the summer of 2018, their voices have been absent in public discussions. By shedding light on human rights issues such as injustice,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the mobile ethnography of Yemeni asylum seekers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South Korea’s refugee policies from a critical viewpoint.

keywords
Yemeni refugee, Jeju, governmobility, mobilities, mobile ethnography, 예멘 난민, 제주, 이동통치, 모빌리티, 모바일 문화기술지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