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다중위기의 시대, 한국 지정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In the Age of Polycrisis, Trends and Perspectives in Geopolitical Studies in South Korea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4, v.34 no.1, pp.69-106
https://doi.org/10.19097/kaser.2024.34.1.69
이승욱 (한국과학기술원)

초록

이 논문은 한국 지정학 연구의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여전히 고전지정학 접근이 지배적이지만 비판지리학자들을 중심으로 페미니스트 지정학, 도시지정학 등 새로운 지정학적 연구가 나타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특히 다중위기의 시대를 이해하는 데 있어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지정-지경학적 전략의 함의에 대해 분석하고, 윤석열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자유, 평화, 번영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중심으로 한미동맹에 갇힌 한국 사회의 주류 지정학 담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탐색하였다. 또한 지정학 연구가 국가중심의 전략적 접근을 넘어서 페미니즘, 포스트식민주의 등 다양한 사회이론의 성과들을적극적으로 공간과 권력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 담아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지정학의 한계들을 극복하고, 지정학적 갈등과 폭력이 어떻게 사람들의 일상을 뒤흔들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저항들이 어떻게 지배적인 지정학적 질서를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keywords
Polycrisis, Geopolitics, Geoeconomics, New Washington Consensus, Subaltern Geopolitics, 다중위기, 지정학, 지경학, 신(新)워싱턴 컨센서스, 서발턴 지정학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s in geopolitical research in Korea, highlighting that while the classical geopolitical approach remains dominant, new approaches such as feminist geopolitics and urban geopolitics are emerging, spearheaded by critical geographers.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new geopolitical-geoeconomic strategy of the Biden administration in the United States for understanding the era of polycrisis. By examining the Indo-Pacific Strategy of Freedom, Peace, and Prosperity promoted by the Yoon Suk Yeol administration, it also critically explores the mainstream geopolitical discourse in Korean society, which seems entrenched within the framework of U.S.-ROK alliance. The paper further argues that geopolitical research should move beyond the state-centered strategic approach and actively incorporate insights from various social theories, such as feminism and postcolonialism, into the analysis of the interplay between space and power. In doing so, it posits that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contemporary geopolitics requires a focus on how geopolitical conflict and violence disrupt people’s daily lives and how resistance to these forces can transform the prevailing geopolitical order.

keywords
Polycrisis, Geopolitics, Geoeconomics, New Washington Consensus, Subaltern Geopolitics, 다중위기, 지정학, 지경학, 신(新)워싱턴 컨센서스, 서발턴 지정학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