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심리학의 모든 분야에 걸쳐서 능력, 성격특질, 혹은 태도, 가치관 등이 대비되는 집단들을 구성하고, 그러한 집단들이 특정한 구성개념(construct) 상에서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를 비교검증하는 연구 및 분석설계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집단 구분 혹은 독립변인의 조작을 위하여 쓰이는 측정도구의 신뢰도가 완벽하지 않은 한, 그러한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집단구분을 하는 경우 반드시 할당오류 혹은 분류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 분류오류는 말하자면 독립변인의 조작에서의 오류(error)이다. 반면에, 이러한 연구 및 분석설계를 위해서 자주 활용되는 분석기법들인 변량분석이나 희귀분석은 독립변인이 오차를 가지지 않는다는 가정을 한다. 측정도구를 이용한 독립변인의 조직에서 분류오류를 완전히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특정한 척도를 집단분류를 위하여 이용하는 경우 분류오류가 어느 정도 발생할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은 결과의 일반화와 해석의 일관성을 위하여 중요한 정보가 된다. 본 논문은 심리척도상의 연속적인 점수에 기초하여 집단을 분류할 경우 분류 오류의 확률이 얼마인지 파악하는 방법과 절차를 항목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의 개념적 틀안에서 실제 자료를 예로 들어 기술한 것이다. Hulin, Drasgow, and Parsons (1983) 가 기술한 방법에 의해 추정된 분류오류확률의 해석에 있어서 주의할 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was to demonstrate a method of estimating the probability of misclcissification when a Scale is used to classify respondents arbitrarily into the high and low groups based upon the scores on the scale. Determination of misclassification probability is made possible because Item Response Theory provides theoretically sound estimation of latent trait. In this study, misclassification was defined by the hypothetical incidents in which the subjects with the actual degree of traits below the median are assigned into the high group and the subjects with the actual degree of traits above the median are assigned into the low group based upon the scores on the scale. The estimated misclassification probability associated with Beck Hopelessness Scale was .06. The interpretive meaning of the misclassification probability as defined in this study was discussed. Finally cut-off pointe on the raw score scale reflecting those probabilities were provided for practical consideration, and important issues for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