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텔레비젼 폭력장면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찰

A Critical Review of TV Violence Effects on Adolescents' Aggressio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79, v.2 no.4, pp.259-272
崔祥鎭(Sang-Chin Choi)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洪性奫(Sung-Yun Hong)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텔레비전 暴力이 青少年의 공격성에 미치는 影響에 대한 問題와 関聯해 相反되는 理論이 讨峙되어 왔다. 社会学習理論의 立場은 공격성의 増加를, 카타르시스의 立埸은 공격성의 诚少를 予測했다, 庚証的 研究의 結果而에서도 貫性을 発見하기 어렵다. 研究形態別로 結果의 傾向性을 考察할때, 먼저 調杏研究와 室験室荚験研究는 공격성의 増加傾向을 보이며, 現場実験研究는 無影饗쪽으로 기운다. 그러나 이같은 研究의 結果를 그대로 받아드리기 어렵다는 点에서 問題가 더 복잡해진다. 調丧研究의 人部分은 텔레비전暴力의 影饗与否를 本人自信에게 直接問議하는 過去指向的 自己報告方法을 使用한다는 点에서 応答의 妥当性이 問題된다. 実験室実験研究는 操作된 独立変因, 即 暴力場面이 実際의 텔레비전 暴力과 다르며, 知時間의 填力場面露出이란 点에서 外的妥当度의 問題가 深刻하게 대두된다. 끝으로 現場突験研究는 起験室実験研究의 脆弱点을 어느정도 감소시킬수 있다. 그러나 暴力埸曲을 長期問 自然스럽게 露出視聴시키기 어렵고, 多様한 事態下에서의 攻繫行動 覼察이 어렵다. 앞으로의 研究에서는 现場実験研究의 補強方法이 模索되어야 할것 같다. 即 比較的 長期問 多回数의 공격장면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独立変因處贗方案과, 攻擊性 即 從城変因의 測定이 多様한 自然參態에서 直接 또는 問接으로 測定할수 있는 方法論的 改善이 뒤따라야 하겠다.

keywords

Abstract

There has been a long controversy about the effect of TV violence on adolescents' aggression. Social learning theory predicts modelling effect of TV violence while catharsis hypothesis posits its' cathartic effect. Results of empirical studi.es on the issue revealed inconsistency. Survey and laboratory experiment studies tend to support the learning theory prediction while field experiment studies have been inclined to show negative data. Regardless of the results, most of those previous studies suffer from methodological weakness. Survey studies were mostly relied on retrospective type of self report on TV effect, which subsequently leads to validity problem and difficulty with causal interpretation of the obtained data. Laboratory experiments are susceptible to the question of external validity. The duration of exposure to violent scenes or acts was too short in comparison with TV exposure time in real life. The dependent measures, e.g., aggressive acts in laboratory studies were not the kind of antisocial aggression about which society has been concerned. Field experimental studies are considered superior in that it could reduce the: problem of external validity. However, further sophistications of field experiment in methodology are demanded. Time of exposure to violence needs to be lengthened and dependent measures of aggression are better obtained in diverse natural setting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