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타문화권 척도 번안과정에서 적용되는 절차들 간의 효과 비교

Effects of Defferent Types of Practice in Cross-Cultural Test Adaptation of Affective Measure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3, v.22 no.1, pp.89-113
AhyoungKim (Ewha Womans University)
Eun-YoungLim (Ewha Womans University)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타문화권에서 만들어진 척도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타문화 검사 번안’ 방법으로 국내에서 주로 적용하고 있는 세 가지 번안 절차, 즉, ‘번역 후 문항검토(번역본)’, ‘번역, 역번역 후 문항검토(역번역본)’, ‘번역, 역번역, 검사 타당화 검증(타당화본)’의 세 가지 절차들 간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 목적이다. 효과의 차이는 각 절차를 적용해 제작된 세 가지 검사지를 711명의 초등학교 남녀 학생들의 세 번에 걸친 반복 측정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세 가지 척도에 대한 반응 경향성의 비교, 신뢰도, 문항-총점간 상관 패턴, 요인간 상호상관 패턴, 외적 준거변인과의 관련 경향성, IRT를 적용한 문항모수치의 특성 및 양호도 비교 등을 통해 원 척도와 번안된 척도의 동등성을 비교하였다. 전체적인 연구 결과는 타당화본이 모든 측면에서 가장 양호한 척도임을 보여주었고 역번역본이 번역본보다 구성요인에 있어서 원본과 더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타문화권 척도를 도입할 때 필수적으로 따라야 하는 역번역 절차와 타당화 절차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국내에서 타문화권에서 제작된 검사를 도입할 때의 적법한 절차 도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타문화권 척도, 검사 번안, 역번역, IRT, cross-cultural research, test adaptation, back-translation, test equivalence, IRT, cross-cultural research, test adaptation, back-translation, test equivalence, IRT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hree types of practice in enhancing the validity and equivalency of test instruments when cross-cultural adaptation of attitude measures is necessary. The three types of practice are: (1) translation and review; (2) translation, back translation, and review; (3) translation, back translation, review, and empirical validation study. Seven hundred and thirty four 5th graders from three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ponses on the three test versions and two other motivation scales were collected within a 3-week period with approximately one-week intervals. Overall results show that the validation version is most superior in all aspects. Furthermore, back translation version is superior to the translation version in terms of its similarity to the validation version and construct-related evidence. Results from IRT analysis reveal that the item qualities of the validation version is superior to the other two versions. Discussions are provided in terms of the nature of the adapted attitude scales.

keywords
타문화권 척도, 검사 번안, 역번역, IRT, cross-cultural research, test adaptation, back-translation, test equivalence, IRT, cross-cultural research, test adaptation, back-translation, test equivalence, IRT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