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恨)과 주관적 정서 간 관계에서의 특성메타-기분의 중재효과

The moderator effects of trait meta-mood on the relation between Han and subjective emotio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7, v.26 no.2, pp.245-259
김진영 (고려대학교)
고영건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과 주관적 정서(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의 관계에서의 메타-기분의 중재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대학생 191명(남자 76명, 여자 115명)에게 주관적 행복 척도, BDI(Beck Depression Index), 한국판 TMMS(Trait Meta-Mood Scale), 한 질문지, 사건영향 척도(Impact of Event Scale; IES)를 순서대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과 주관적 정서(우울과 행복)의 관계에서 TMMS의 하위 척도들 중 명료성 하위 척도에서의 상․하 수준은 유의미한 중재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TMMS의 주의집중 및 회복 하위 척도에서의 상․하 수준은 유의미한 중재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떤 사람이 단순히 과거에 한을 체험했다고 해서 그 사람이 일반 사람들보다 더 심한 우울감 속에서 생활하거나 또 누군가가 단순히 과거에 한을 유발하는 생활사건을 체험하지 않았다고 해서 한을 체험한 사람들보다 더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정서적 명료성 수준과 한의 체험이 지니는 심리적 의미 간 관계성이 논의되었다.

keywords
한, 주관적 정서, 우울, 행복, 한국판 TMMS(Trait Meta-Mood Scale), 중재 효과, Han, subjective emotion, depression, happiness, TMMS(Trait Meta-Mood Scale), moderator effects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or effects of trait meta-mood on the relation between Han and subjective emotion (positive and negative). The Subjective Happiness Scale, the BDI (Beck Depression Index), the TMMS (Trait Meta-Mood Scale), the Han Questionnaire and the IES (Impact of Event Scale) were administerd to 191 university students (male 76, female 11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larity among the TMMS subscales exerted significant moderator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Han and subjective emotion (depression and happ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re experience of Han does not necessarily cause individuals to be more depressive than others who do not have Han experience. In the similar context, the absence of Han-provoking life events does not guarantee a life happier than that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Han. However, no significant moderator effect was detected for the Attention and the Repai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motional clarity and the psychological significance of Han experience was discussed.

keywords
한, 주관적 정서, 우울, 행복, 한국판 TMMS(Trait Meta-Mood Scale), 중재 효과, Han, subjective emotion, depression, happiness, TMMS(Trait Meta-Mood Scale), moderator effects

참고문헌

1.

김열규 (1980). 원한: 그 짙은 안개. 서울: 범문화출판사.

2.

김열규 (1998). 한국인의 원한론: 그 이야기의 정체. 라깡과 현대정신분석협회 (편). 코리안 이마고 (pp. 27-39). 서울: 인간사랑.

3.

김종은 (1974). 素月의 病跡: 恨의 精神分析. 문학사상, 7월호, 200-216.

4.

김종주 (1998). 한(恨)의 정신분석. 라깡과 현대정신분석협회 (편). 코리안 이마고 (pp. 71-104). 서울: 인간사랑.

5.

민성길 (1991). 홧병(火病)과 한(恨). 대한의학협회지, 34(11), 1189-1198.

6.

안신호 (1997). 한: 한국인의 부적 감정? 심리과학, 6(2), 61-74.

7.

이규태 (1991). 韓國人의 버릇. 서울: 신원문화사.

8.

이수정, 이훈구 (1997).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95-116.

9.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3.

10.

이재호, 최상진 (2003). 문화적 개념의 인지 표상과 활성화 과정: 한(恨)의 담화 분석 과 온라인 점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7(1), 1-16.

11.

조긍호 (1997). 문화유형과 정서의 차이: 한국인의 정서이해를 위한 시론. 심리과학, 6(2), 1-43.

12.

최상진 (1991). ‘한’의 사회심리학적 개념화 시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초록, 339-350.

13.

천이두 (1985). 한국문학과 한. 서울: 이우출판사.

14.

천이두 (1985). 한(恨)의 미학적 윤리적 위상-그 개념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문학과 한 서울: 이우출판사.

15.

최상진 (1991). ‘한’의 사회심리학적 개념화 시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초록, 339-350.

16.

최상진 (1993). 한국인의 심정심리학: 情과 恨에 대한 현상학적 한 이해.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심포지움 초록, 77-92.

17.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18.

한덕웅, 박준호 (2003).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반복생각과 분노 경험이 주관안녕과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1), 147-168.

1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 C.: Author.

20.

Beck, A.T. (1972) Depression: Causes and treatment.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1.

Extremera, N., & Fernandez-Berrocal, P. (2002). Relation of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Psychological Reports, 91, 47-59.

22.

Frazier, P. A., Tix, A. P., & Barron, K. E. (2004). Testing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 115-134.

23.

Gohm, C. L., & Clore, G. L. (2002). Affect as information: An individual-differences approach. In L. F. Barrett, & P. Salovey (Eds.), The wisdom in feeling: Psychological processes in emotional intelligence (pp. 89-113).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4.

Goldman, S. L., Kraemer, D. T., & Salovey, P. (1996). Beliefs about mood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stress to illness and symptom reporting.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1, 115-128.

25.

Horowitz, M. J., Wilner, N., & Alvarez, W. (1979).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41, 209-218.

26.

Kim, K. B., Kim, J. Y., & Choi, S. C. (2002). Palzha as self-reflective mode and attributional dimension for Korean women's rugged life story, The Korean Journal of Women Psychology, 7, 17-29.

27.

Ko, Y-G, Salovey, P., & Kim, J-Y. (2004). Sakhim of Han as a mature suppression: Implications for cancer patients' emotional coping.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 1003-1026.

28.

Lyubomirsky, S., & Lepper, H.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 137-155.

29.

Newman, L., S., Duff, K., & Baumeister, R., F. (1997). A new look at defensive projection: Thought suppression, accessibility, and biased person percep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 980-1001.

30.

Salovey, P. (1996). Emotional intelligence: another way to be smart? Korea Institute of Social Psychiatry & Samsung Life Insurance Company.

31.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Turvey, C., & Palfai, T.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In J. Pennebaker (Ed.),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pp. 125-254).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2.

Vaillant, G. E. (2000). Adaptive mental mechanism: Their role in a positive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5, 89-98.

33.

Webster, S. K., & Ko, Y-G. (2002). Generational and gender effects on Korean perceptions of Ha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3 Annual Conference. Poster-presented.

34.

Webster, S. K., & Ko, Y-G. (2003). South Korean and American negative emotion attributions: Gender and ag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3 Annual Conference. Poster-presented.

35.

Webster, S. K., & Ko, Y-G. (2004). Gender and generation effects on perceived consequences of Han. 2004 International Congress of Psychology. Poster-presented.

36.

Webster, S. K., & Ko, Y-G. (2006). Linguistic analysis of Korean and English emotion descriptors for Ha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6 Annual Conference. Poster-presented.

한국심리학회지: 일반